"공인중개사 자격증 가진 사람만이 중개업" vs "변호사도 부동산매매와 관련된 법률사무 가능" 논란

 

변호사들로 구성된 부동산 중개서비스업체 '트러스트부동산' 홈페이지에 올라온 광고문구. / 자료=홈페이지 캡처
변호사들로 구성된 부동산 중개서비스업체 '트러스트부동산' 홈페이지에 올라온 광고문구. / 자료=홈페이지 캡처
MT단독정부가 변호사 부동산중개 서비스 '트러스트'에 대해 불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변호사들은 법적인 문제가 전혀 없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한국공인중개사협회가 제출한 건의에 대한 회신을 통해 "변호사들이 중개사무소 개설등록을 하지 않고 트러스트를 설립해 중개행위를 할 경우 공인중개사법에 위반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회사명에 '부동산'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중개사무소 개설 등록을 하지 않고 부동산 명칭을 사용할 경우 공인중개사법 규정에 위반될 소지가 크다"고 회신했다.

공인중개사법 제18조 2항의 규정에 따르면 개업공인중개사가 아닌 자는 '공인중개사무소', '부동산 중개'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해 7월 있었던 대법원 판례(2014도 13437)를 들어 일반인으로 하여금 개업공인중개사로 오인될 위험성이 있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트러스트부동산'는 변호사들로 구성된 부동산 중개서비스업체로, 올해 1월부터 영업을 개시했다. 중개수수료를 최대 99만원으로 책정해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법정 중개료는 6억~9억원 주택 매매의 경우 0.5%가 적용돼 300만~450만원 가량이다. 이를 감안하면 수백만 원을 아낄 수 있는 셈이다.

이에 반발한 공인중개사협회는 지난달 초 트러스트에 영업 중단을 요구하며 응하지 않을 경우 법정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9일 공인중개사들로 구성된 '민주공인중개사모임'은 '트러스트부동산' 사옥 앞에서 집회를 열기도 했다.

공인중개사들은 "변호사가 공인중개업을 하는 것은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만이 중개업을 하도록 제한한 현행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변호사의 법률서비스가 일반적 공인중개사들의 서비스보다 탁월한 것처럼 홍보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단독] 국토부 "변호사 '99만원' 부동산 중개서비스는 불법"

이에 대해 변호사들은 적절한 가격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일 뿐 법적으로 문제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매수·매도자 간 직거래를 유도하기 때문에 중개업무가 아니라 법률자문이라는 것이다.

공승배 트러스트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는 "중개수수료를 받고 중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직거래를 하고, 계약의 법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합법"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변협 법제연구원도 최근 연구자료를 통해 "변호사의 주요 업무 중 하나가 부동산매매와 관련된 법률사무를 업으로 처리하는 것"이라면서 "부동산매매계약 자문과정의 일환으로 중개행위 내지 알선은 당연히 할 수 있고 이러한 행위는 일반 법률사무의 부수적이고 부대되는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변호사의 중개업무는 부동산거래에 대한 변호사의 법률사무와의 밀접성 내지 일체성을 가지므로 변호사는 공인중개사 자격이 없어도 중개업무를 할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입장이다.

하지만 공인중개사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민주공인중개사모임 관계자는 "변호사가 할 수 있는 법률중개인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인중개법인을 차리고 대리로 공인중개사를 고용한 다음 실제로 공인중개업을 하고 있다"며 "실물을 거래하는데 계약만 중개하니 문제가 없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출처: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32110243054723&outlink=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대출금리 우대 등으로 소비자 관심 증가"…"제도 정착까지 3~4년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

    부동산 전자계약 석달, 실적은 달랑 1건 "소득노출 꺼려서…"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이 도입된 지 3개월 가량 지났지만 실적이 1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금리 우대 등으로 소비자 관심은 증가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용을 꺼리는 분위기다. 제도 정착까지 3~4년가량이 걸릴 것으로 전문가는 보고있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부터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운용을 시작했으나 실적은 단 1건으로 나타났다. 이마저도 해당 시스템 개발 관련자의 친인척이 진행한 계약으로 사실상 일반인 실적은 전무한 셈이다.

    현재 국토부는 서울 서초구를 대상으로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내년 전국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다만 소비자는 종이문서계약과 전자계약시스템 중 하나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활성화를 위해 금융권과 업무협약을 맺고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매매·임대차 거래 시 대출금리 우대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 전자계약으로 확정일자 신고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금리우대 혜택 등과 함께 이용자 편의성을 높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있다"며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공인중개사의 업무 편의성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공인중개사들은 전자계약시스템에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특히 일부 집주인·공인중개사들은 계약 정보를 정부가 관리해 계약에 따른 소득 등이 고스란히 드러날 수 있어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조관호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서초구지회장은 "거래 정보 유출 등으로 공인중개사 중 일부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사용을 싫어하고 있다"며 "새로운 시스템 도입에 대한 두려움이 아직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대출금리 우대 혜택 등으로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자 요구가 증가할 경우 공인중개사들도 시스템을 이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택임대업자인 정모씨(53)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해 임대차 거래를 할 경우 관련 정보를 정부가 가지게 된다"며 "임차인 입장에서 별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임대인은 임대소득이, 공인중개사는 중개료가 각각 노출될 수 있어 거부감이 있다"고 귀띔했다.

    국토부는 소비자의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사용 요청을 공인중개사가 거부할 경우 행정조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소비자의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사용 요청을 공인중개사가 거부하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권을 박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 같은 문제 발생 시 행정조치 하기로 서초구와 의견을 모았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은 3~4년 내 정착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전일 한국전자문서산업협회 산업진흥실장은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에 대한 저항이 일부에서 예상되지만 소비자 편리성과 혜택으로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본다"며 "종이문서보다 위변조가 어렵고 정부가 관리한다는 점에서 신뢰성이 높아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 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은 전자문서에 익숙한 젊은층을 중심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며 "전자세금계산서가 전면시행 이후 3~4년 내 정착된 점을 감안해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도 비슷한 기간 내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처: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32214451427860&outlink=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한국엔 빨라야 4월 말~5월 중 출시… 브랜드 충성도 높지만, 대화면 선호 입맛 관건

     

    애플이 공개한 '아이폰SE'의 제품 사양
    애플이 공개한 '아이폰SE'의 제품 사양
    399달러짜리(16GB 기준) '아이폰SE'로 보릿고개를 넘을 수 있을까. 애플이 4인치로 크기를 줄이고 가격을 낮춘 보급형 모델 '아이폰SE'를 공개했다.

    크기와 디자인은 아이폰5s와 비슷하나 성능은 6s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보급형 모델 중에선 크기를 제외하면 최고급 사양에 속한다.

    '애플 아이폰'이란 브랜드 파워에 가격대가 40만원대로 낮은 만큼 중저가폰시장에서의 파급력에 관심이 쏠린다. 5인치이상 대화면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의 입맛이 관건이다.

    ◇40만원대 4인치 '아이폰SE', 가격 낮춘 게 혁신?

    애플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미디어 데이'를 열고 4인치 '아이폰SE'를 선보였다.

    그렉 조스위악(Greg Joswiak) 애플 부사장은 "지난해 4인치 아이폰이 3000만대가 팔렸다"며 "소비자들은 작은 스마트폰을 원하며, 특히 중국은 이 사이즈의 스마트폰 비중이 크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399달러 가격의 4인치 '아이폰SE'
    399달러 가격의 4인치 '아이폰SE'
    아이폰SE는 애플페이가 지원되고 A9칩과 M9 모션 코프로세서가 탑재됐다. LTE 속도는 아이폰5s에 비해 50%이상 빨라졌고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배 이상의 성능을 자랑한다. 카메라는 1200만 화소, 라이브 포토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 아이폰5S보다 배터리 시간이 길고, 4K 비디오 녹화 기능이 들어갔다.

    특별히 혁신적인 요소는 없지만 가격이 착해졌다. 16GB 모델은 399달러(약 46만원), 64GB 모델은 499달러(약 57만원)으로 책정됐다. SK텔레콤 (211,500원 상승500 0.2%)의 기획폰인 루나(LUNA)와 쏠(Sol)보다는 비싸고 삼성전자의 보급형 갤럭시 A시리즈 수준이다.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진행되는 예약구매는 24일부터 시작되며, 출시는 오는 31일로 확정됐다. 하지만 한국은 1·2차 출시국에서 제외돼 빨라야 4월말에서 5월중 출시가 될 전망이다. 애플은 5월 말까지 110개국에 아이폰SE를 내놓는다.

    애플 이번 혁신은 가격? 40만원대 '아이폰SE' 통할까
    ◇국내엔 4월 말~5월 출시… 중저가시장 혈투 예고

    애플은 지난 2013년 9월에 이미 첫 보급형 제품 '아이폰5c'를 내놓은 바 있다. 당시 애플은 제품 사양을 낮추고 메탈 대신 플라스틱을 채용해 가격을 내렸지만 천하의 애플도 중저가 시장에선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후속작도 없었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아이폰 판매증가율이 0.4%에 그치며 역성장 가능성이 거론되자 보급형 시장에 다시 출사표를 냈다. 이번엔 아이폰5s의 메탈 케이스에 6s의 성능을 갖췄다. 화면 크기에 민감하지 않은 소비자라면 구미가 당기는 대목이다.

    하지만 비단 국내뿐 아니라 이미 글로벌시장에서도 대화면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대부분이라 실구매로 얼마나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A, J 시리즈로 LG전자는 K, X 시리즈로 보급형 라인을 두텁게 다져놓은 상태다. 애플이 공들이는 중국시장에선 화웨이, 샤오미 외에도 현지기업들의 중저가제품이 쏟아지는 형국이다.

    21일 애플이 새롭게 공개한 '애플워치' 밴드들
    21일 애플이 새롭게 공개한 '애플워치' 밴드들
    특히, 국내시장에서는 출시 시기가 빨라야 4월 말~5월 중이란 점도 초기 흥행몰이에 발목을 잡는 대목이다. 삼성전자 '갤럭시 S7과 S7엣지', LG전자의 'G5' 등 플래그십 모델의 통신사 공시지원금이 상향된 이후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아이폰SE'의 가격경쟁력은 희석될 수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최근 '보급형 아이폰을 준비하는 애플' 보고서를 통해, "국내 제조사들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대형 화면을 선호하는 한국 사용자들의 취향을 고려하면 성공을 낙관하기가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한편 애플은 이날 '아이폰SE' 외에 9.7인치 '아이패드 프로'를 선보이고 애플워치의 가격도 299달러(34만6840원)로 50달러 가량 낮췄다. 교체 가능한 시계 스트랩은 4가지 색상의 스포츠모델과 함께 가죽, 나일론 등 소재도 다양화했다. 최신 운영체제인 iOS 9.3의 업데이트도 공개했다.

    출처: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32210075482543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탄소섬유 적용 '가볍고 튼튼한' 자전거… "특유의 가성비 사라졌다" 비판도 높아

     

    샤오미가 22일 전격 출시한 스마트 자전거 '치사이클 R1'을 두고, 샤오미 특유의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높다. 이 자전거는 1만9999위안(360만원)으로 샤오미 제품 중 가장 비싸다. 때문에 일반인이 아닌 일부 마니아층을 노렸다는 분석이다.
    샤오미가 22일 전격 출시한 스마트 자전거 '치사이클 R1'을 두고, 샤오미 특유의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높다. 이 자전거는 1만9999위안(360만원)으로 샤오미 제품 중 가장 비싸다. 때문에 일반인이 아닌 일부 마니아층을 노렸다는 분석이다.
    샤오미의 356만원(1만9999위안)짜리 자전거가 베일을 벗었다. 일부에서는 명품 자전거에 비해 샤오미 특유의 가성비가 있다는 지적이지만 또 한편에서는 이 가격대 자전거를 중국에서 누가 사느냐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22일 샤오미는 홈페이지를 통해 자전거 신제품 '치사이클(qicycle) R1'을 공개했다. 오는 5월10일부터 정식 판매에 들어가는 이 자전거의 핵심은 '가볍지만 튼튼하다'는데 있다. 차체 프레임이 850g으로 총 무게가 7kg에 불과해 성인이 한 손으로 들 수 있다. 반면 프레임이나 바퀴에 탄소 섬유 기술을 적용해 어떤 자전거보다 강하다는 설명이다. 바퀴는 급정거시 230도 고열에도 견딜 수 있게 만들었다.

    ◇탄소섬유 기술, 가볍지만 튼튼한 자전거에 방점

    일반 기어 변속기가 아니라 전자 변속 시스템을 도입해 탑승자의 조종이 한결 편리하다. 다른 샤오미 제품과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거리는 물론 운행 궤도까지 한 눈에 볼 수 있다. 매끄러운 체인으로 에너지 효율도 극대화했다. 샤오미는 "베이징과 광저우, 상하이 등 중국 6개 도시에서 체험전을 시작하고 소비자 의견을 모아 최종적으로 출시 제품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비싼 가격이다. 1대에 1만9999위안으로 지금까지 샤오미가 내놓은 제품 중 가장 비싸다. 때문에 샤오미가 최대 경쟁력인 '가성비'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당장 베이징만해도 산악 지형이 거의 없는데다 다른 대도시에서도 이 가격에 탄소 섬유 기술을 적용한 자전거가 팔리겠느냐는 의문도 많다. 레저용이 아닌 출퇴근용이라면 가능하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중국 대도시에서 자전거 출퇴근은 기업의 샤워실 부족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샤오미가 일반 고객이 아닌 자전거 마니아들을 주 고객으로 삼았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마니아들의 폭발적 지지가 없는 한 치사이클 R1 매출은 이전 샤오미 제품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저조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샤오미 특유의 가성비 없다" 정체성 의문 지적도

    일부에서는 샤오미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애플이 스마트 자동차에 주력하는 것과 달리 샤오미는 자전거에 집중하느냐는 비아냥까지 들린다. 샤오미가 핸드폰 충전기와 공기청정기 같은 '대륙의 실수' 시리즈 흥행 이후 막다른 길에 몰렸다는 지적도 있다. 이번 자전거가 당초 계획보다 1년 3개월 이상 늦게 출시된 것이 단적인 예다.

    반면 일부에서는 치사이클 R1이 명품 자전거 브랜드에 비하면 가성비가 충분하다는 반론도 있다. 현재 중국에서 판매하는 아우디 스포츠 레이싱 바이크는 12만위안에 달하며, 푸마의 듀오 시티도 4만2700위안을 호가한다. 이런 명품 자전거에 비해 치사이클 R1은 절반 가격도 되지 않아 샤오미 특유의 가성비는 여전하다는 주장이다.

     

    출처: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32214464088272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뉴스워치=김정민 기자] 전국의 읍면동사무소가 ‘행정복지센터’로 개명한다. ‘행정복지센터’의 이름에 담겨있듯이 기존 행정기능에 복지기능을 강화한다. 이는 읍면동 복지 허브화 전략의 일환이다.

    행정자치부와 보건복지부는 16일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맞춤형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주민의 복지 체감도를 제고하는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추진을 위해 읍면동사무소를 ‘행정복지센터’로 전환하기로 했다.

    명칭 변경에 따라 각 자치단체는 현판과 안내판을 교체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할 예정이다. 행정복지센터의 약칭은 ‘행복센터’가 될 전망이다.

    행자부는 우선 오는 5월 30개 지자체의 33개 읍면동사무소가 행정복지센터로 이름을 바꾸고 올해말 700여개 읍면동으로 확대하고 2018년말까지 전국 3496개 읍면동사무소의 이름을 모두 바꾼다는 계획이다.

    오는 5월 행복센터로 간판을 먼저 바꾸는 33곳은 서울 면목3·8동을 비롯해 부산 모라3동,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강원 속초시 노학동, 충남 서천군 서면, 전남 영암군 삼호읍, 경남 거창군 거창읍, 세종 조치원읍, 제주 제주시 이도2동 등이다.

    한편, 행자부는 지난달 말 선정한 33개 선도 읍면동사무소에 ‘맞춤형 복지팀’을 구성·운영하기 위한 지침을 배포했다.

    기존 복지팀이 동사무소를 방문하는 민원인의 상담을 접수하고 단순 서비스 지원 역할을 했다면 맞춤형 복지팀은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자를 적극 발굴하고 가정 방문상담과 개인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등의 기능을 전담하게 된다.

    맞춤형 복지팀은 팀장을 포함해 3명 이상의 복지 업무 경험이 많은 인력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통·이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과 협력해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발굴하고, 장애인·노인 등 거동 불편자를 대상으로 방문 상담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 전국 읍면동사무의 평균 직원수는 14명으로 이중 4명(28.6%)이 복지업무를 맡고 있지만, 복지허브화가 완료되면 전국 행복센터에는 평균 17명의 공무원 중 7명(41.2%)이 복지업무를 맡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읍면동 사무소가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되면 우리 이웃의 소외된 분들에게 편리하고 효과적인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행정복지센터가 잘 정착돼 지역주민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원문 보기 :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505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오는 28일부터 시행…약 54만명 추가 가입대상에 포함될 전망
    주택금융공사 법정자본금, 현행 2조→5조원으로 상향 조정

    【서울=뉴시스】이근홍 기자 = 앞으로는 부부 중 한 명만 60세 이상이면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

    22일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개정 한국주택금융공사법 공포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현재는 주택소유자가 60세 이상이어야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다.

    개정법은 주택연금 가입연령 기준을 주택소유자에서 부부 중 1인 기준으로 조정했다.

    이에 따라 주택소유자가 60세 미만이더라도 그 배우자가 60세 이상인 경우에는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하다.

    단 주택연금의 월지급금은 부부 중 연소자 연령을 적용해 산정한다.

    주택연금 가입 연령기준 개선안은 오는 2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법 개정을 통해 주택연금 가입희망자에 대한 가입 편의 제고와 형평성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약 54만명이 주택연금 가입대상에 추가로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택연금 가입 후 부부가 이혼할 경우에 대한 해석도 마련됐다.

    1인 소유 주택일 경우 주택소유자는 계속해서 주택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 반면 배우자는 이혼한 뒤부터 주택연금을 받을 수 없다.

    주택이 공동 소유일 때는 이혼 후 6개월 이내에 소유권 전부를 한 사람에게 이전해야 한다. 소유권을 이전 받은 1인 만이 주택연금을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다.

    개정법에는 주택금융공사의 법정자본금을 현행 2조원에서 5조원으로 상향하는 내용도 담겨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향후 주택금융공사에 대한 자본금이 확충될 경우 주택금융 공급을 위한 유동화증권의 안정적 발행과 주택금융공사 재정 건전성 확보가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22_0013973733&cID=10401&pID=10400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많은 정보들을 알 수 있어요! http://www.kidzania.co.kr/web/busan/home
    URl 첨부와 함께 1544-5110 고객센터 전화번호 첨부 해 둘께요. 궁금한게 있으시면 요쪽으로 문의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 오는 6월 개장할 예정인 경남 김해의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김해점 공사 전경.

    오는 6월 경남 김해의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김해점 개장을 앞두고 주변 지역의 부동산이 들썩이고 있다.
     
    21일 김해시 등에 따르면 신세계는 2013년부터 외동의 7만 4천200㎡ 김해여객터미널 부지에 3천억 원을 들여 지상 5층, 연면적 14만 4천500㎡의 백화점(4만 6천300㎡)과 이마트(9천900㎡), 영화관(6천930㎡) 등을 공사 중이다.
     
    대형 음식점 입점도 활발
    아파트 평균 2천 만 원 올라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김해점의 개장이 다가오면서 주변 상가 등의 부동산 가격도 움직이고 있다. 땅값은 지난해보다 배 이상 올랐고, 대형 음식점 등 상가 입점도 활발해지고 있다. 외동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상가 입점 문의가 크게 늘고 있다. 땅값도 현재 3.3㎡당 1천만~1천 200만 원 정도로 배 이상 올랐다"고 말했다. 다만, 문의와 비교하면 실제 매매는 아직 관망 분위기라는 분석을 하고 있다. 인근 B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도 "최근 문을 연 1천652㎡ 규모 점포의 월 임대료는 500만 원이다. 백화점 개장 이후 상권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높은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입점했다"라고 말했다.

    주변의 아파트 시세도 상승세이다. 인근 C, D 아파트의 매매·전세가의 경우 규모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지난해보다 평균 1천만~2천만 원 정도 올랐다.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는 지난해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 C아파트의 경우 매년 1천만 원 안팎으로 가격이 올랐지만, 지난 1년 동안에는 2천 만 원까지 상승했다"라고 말했다.  

    인근 주민 김 모(60·여) 씨는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김해점의 입점을 앞두고 논밭이었거나 상점이 드물었던 지역이 깨끗이 정돈됐다. 오는 6월에 백화점과 이마트가 문을 열면 상황이 더 좋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출처: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322000123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60대 이상·자영업자·저소득층·하우스푸어, 한계가구 비중 높아

     

    전세값 폭등에 "빚내서 집사라"는 등의 무지한 박근혜의 서민말살 경제 정책으로 인해 빚 갚기 힘든 한계가구가 2012년 132만5000 가구에서 2015년 158만3천 가구로 박근혜 집권 3년 동안  25만8천 가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일 발표한 가계부채 한계가구의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전체 가구에서 한계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12.3%(132만5천 가구)에서 지난해 14.8%(158만3천 가구)로 2.5%포인트 올랐다.

     

    한계가구란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의 4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한계가구의 44% "대출 상환 불가능"

     

    이들 한계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은 104.7%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아 원리금 상환을 위해 빚을 내야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한계가구의 44%는 대출기한 내 상환이 불가능하거나 아예 상환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다.

     

    또 한계가구는 1년 후 부채가 늘어나게 된다면 그 원인은 생활비 마련(62.3%)과 부채상환(17.7%) 때문일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비(非)한계가구는 생활비 마련(60.7%)과 부동산 구매(23.9%)를 꼽았다.

    문제는 한계가구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부채가 전체 가구의 금융부채의 29.3%나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연체 가능성이 커 금융시스템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한계가구의 73%는 원리금 상환에 따른 생계부담으로 소비지출을 줄인다고 응답했다. 민간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상황이다.

     

     60대 이상·자영업자·저소득층·하우스푸어, 한계가구 비중 높아

     

    한계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60대 이상 가구주의 가구 중 17.5%(33만9천 가구)가 한계가구로 나타나 가구주 연령별로 나눴을 때 한계가구 비중이 가장 컸다. 50대는 13.4%(41만 가구), 40대는 15.3%(51만8천 가구), 30대는 14.2%(30만2천 가구)가 한계가구였다.

     

    종사상 지위별로 나눠보면 종업원을 둔 자영업자가구의 한계가구 비중이 20.4%(14만9천 가구)로 가장 컸고, 종업원이 없는 자영업자 가구는 15.8%(35만 가구)가 한계가구였다.

     

    상용근로자가구는 12.7%(67만3천 가구)가 한계가구였고, 임시 일용근로자가구는 14.9%(18만6천 가구)가 한계가구였다.

     

    소득 수준별로는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22.9%(23만6천 가구)가 한계가구였고 5분위 가구는 10.5%(27만6천 가구)만 한계가구였다.

     

    순 자산 규모에서는 순 자산 1분위 중 17.9%(31만4천 가구)가 한계가구로 나타나 한계가구 비중이 가장 컸다.

     

    입주형태별로는 자기 집에 거주하는 사람의 한계가구 비중이 16.4%(111만 가구)로 월세 거주자(12.8%, 18만7천 가구)나 전세 거주자(11.1%, 23만4천 가구)보다 높았다.

     

    이는 집을 소유하고 있지만 무리한 대출에 따른 이자 부담 등으로 빈곤하게 사는 하우스 푸어 가구의 한계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소득층 채무상환능력 높이고 주택연금 활성화 시켜야"

     

    보고서는 한계가구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상황에서 한계가구를 줄이려면 저소득층과 자영업자, 고령층의 소득을 높여 채무상환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집을 사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많은 빚을 지지 않도록 금융기관은 채무상환능력과 자산부채를 고려해 적정한 규모만 대출해주고 처음부터 원리금을 갚아가도록 유도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 하우스푸어로 한계가구가 된 경우에는 주택 연금에서 연금을 일시 인출해 대출을 상환하고 나머지 연금은 매달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을 강조했다.


    출처: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26510&section=&section2=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AI특허 2006년 이후 10년간 2638건미국 2만4054건·일본 4208건 달해미국 등 기업 출원비중 60%대 수준한국은 대학·연구소가 35%로 1위"인공지능 인재양성 전제돼야 성장"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산업에 활용하기 위한 총성 없는 특허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특허출원 건수는 미국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마저도 대학과 연구소 특허 출원 비중이 높고 기업 비중은낮아 산업화 과정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 인공지능 특허출원 미국의 10분의 1

    21일 특허청이 내놓은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에 따르면 인공지능 관련 국내 특허 출원은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난 10년간 모두 2638건이다. 연도별로는 2006년 186건에서 2008년 203건, 2010년 212건, 2012년 295건에서 2013년 371건 등 연평균 5%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같은 기간 미국의 관련 특허출원은 모두 2만 4054건, 일본은 4208건 등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각각 9.1배, 1.6배나 많았다.

    양적인 격차 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차이가 크다. 미국 등 인공지능 개발에서 앞서 나가는 나라들은 관련 특허의 60% 이상을 기업에서 출원했다. 실제 상용화나 산업화를 염두해둔 기술 특허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 우리나라는 대학(26%) 및 연구소(9%) 등에서 출원한 기초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단계에서의 특허가 35%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기업 특허출원 비중은 31%에 그쳤다. 인공지능 연구가 대학과 연구소를 벗어나 기업 중심의 기술개발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W·콘텐츠연구소장은 “구글 등 외국계 글로벌 기업은 대학과 연구소 등의 관련 최고의 전문가들을 스카웃해 집중적인 투자를 계속한 결과 지금과 같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며 “그러나 국내 기업은 광범위한 인공지능 분야 중 어떤 부분에 어떤 사업화 모델을 갖고, 투자에 나설지 내부 방향성을 찾지 못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응용산업별 출원현황을 보면 컴퓨터(64.1%), 통신(9.9%) 등 IT분야에 연구개발이 집중됐다. 이어 정밀기기(6.1%), 의료기기(4.6%), 전기(4.1%) 등의 분야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관계자는 “디지털 컴퓨팅, 경영관리, 유무선 통신, 이미지 데이터 처리 등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데 비해 화학(0.1%)과 식품(0.1%), 의류(0.1%), 건축(0.1%) 등의 비 IT분야에서는 특허 출원이 미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기업 특허출원 비중 美 ‘60%’ VS 韓 ‘ 31%’

    출원주체별로는 삼성전자가 모두 163건의 인공지능 관련 특허를 출원해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9건, 퀄컴 86건, 마이크로소프트 74건 한국과학기술원(KAIST) 58건 등으로 상위 5위권 중 국내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또 국내에 진출해 있는 외국계 기업이 인공지능 관련 국내 특허의 25%를 출원해 향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 시장에서 한국이 후발주자에 머물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산업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융복합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을 육성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한동원 소장은 “현재 한국의 인공지능 관련 기술은 분야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미국의 75% 수준으로 평균 2.7년의 기술격차가 존재한다”며 “얼마만큼 지속적으로 집중 투자하냐에 따라 이 기술격차는 더 벌어질 수도, 좁혀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 소장은 “ 인공지능 관련 기술은 일반적인 인력이 아닌 고도의 특화된 전문가만이 개발해 사업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인력을 양성해야 하고, 이 숙련된 전문가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만이 미국과 같은 세계적인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제현 특허청 컴퓨터시스템심사과장은 “인공지능 기술이 아직 국내에 보편화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관련 특허 출원도 아직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성은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연구개발을 통해 더 많은 특허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http://media.daum.net/digital/all/newsview?newsid=20160322050025476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