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대부분 낙제점…'기술 상용화' 능력 키워 격차 좁혀야

 

알파고도 매료된 韓 IT, 정작 AI는 후진국?


구글의 인공지능(AI) 알파고가 프로바둑 기사 이세돌 9단에게 완승을 거두면서 미국 등 선진국의 AI 기술 수준이 생각했던 것보다 높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번 대국을 계기로 더욱 주목을 끄는 것은 AI와 함께 빅데이터, 지능형 로봇,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최근 발전하고 있는 새로운 기술의 흐름이다. 인류의 삶을 바꿀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이 가시권에 성큼 다가온 셈이다.

AI는 산업혁명 4번째 무대에 주연급이다. 화석연료, 증기기관이 촉발한 1차 산업혁명이 '기계화', 중화학 공업이 등장한 2차는 '대량생산', 정보화 혁명이 주도한 3차는 '자동화'가 핵심이었다면, 4차는 통신으로 연결된 인간과 로봇, 자동차, 환경, 제품 등의 모든 구성 요소가 '지능화'된 초연결 사회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구글이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 장소로 서울을 낙점한 이유는 우리나라가 AI의 뇌 신경망과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초고속통신망, 빅데이터·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최적의 IT 인프라를 갖췄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4차 핵심 기술 역량을 여지껏 확보하지 못한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초라한 韓 4차 산업 역량=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경쟁력은 전반적으로 부진하다. 하지만 그 격차가 크지 않아 추격이 가능하다는 관측이 아직은 우세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 따르면 AI 기술에서 미국을 100으로 했을 때 한국은 75 수준에 그쳤다. 미국과의 기술격차 기간은 AI 소프트웨어(SW)가 2년, 응용 SW는 2년 3개월 정도로 추산된다. 일본(89.3)에 크게 뒤지고 중국(71.9)보다 약간 앞섰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AI 산업은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한 번 격차가 벌어지면 따라잡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AI와 관련된 나머지 기술 경쟁력도 떨어지긴 마찬가지다. 국가과학기술심의위원회(이하 국과심)가 가장 최근 발표한 '13대 미래성장동력산업별 기술수준 평가'에 따르면 '5세대(G) 이동통신'은 최고 기술국(미국) 대비 기술수준 84.7%, 기술격차 2년 1개월로 조사됐다. △지능형 반도체는 83.8%, 3년 1개월 △실감형(VR) 콘텐츠는 83.1%, 2년 8개월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는 82.5% 2년 9개월 △지능형 로봇은 74.8%, 4년 2개월로 나타났다.

◇"황금알 잡아라" 각국 각축戰=각 국의 주도권 다툼이 치열하다.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의 맥을 잡지 못하고 헤맬 때 미국과 독일 일본, 중국은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10여 년 간 체계적인 준비를 해왔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국가는 독일이다. 독일 정부는 정체된 제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인더스트리4.0'이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IoT으로 생산기기와 생산품 간 정보교환이 가능한 자동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생산과정을 최적화하는 프로젝트다. 미국은 IoT 생태계 주도권 확보를 위한 '산업 인터넷 컨소시엄'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총리 직속 기구인 '로봇 혁명 실현 회의'를 출범해 '로봇 신전략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를 AI 로봇으로 대체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1000억엔(약 1조 3000억 원)을 투자해 오는 2020년까지 로봇시장 규모를 2조 4000억 엔(약 22조 6080억 원)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를 신성장동력 확보 방안으로 내세웠다. 인터넷, 모바일, 빅데이터 등 정보기술을 전통 제조업과 융합해 산업 구조를 전환하고, 제조업을 향상시키겠다는 내용이다. 인도도 비슷한 맥락의 '디지털 인도'를 시행하고 있다.

각 국이 4차 산업혁명관 관련한 기술 혁신에 뛰어드는 이유는 앞으로 수십·수백조 원대 규모의 황금시장이 펼쳐질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인 IDC는 세계 AI 시장이 내년 1650억 달러(약 196조1000억 원)에 육박하며, 매년 1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AI를 탑재한 자율주행차가 2035년 연간 생산량이 1억대를 넘어서고, 지능형 로봇과 보안시스템도 매년 10~2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지능형 로봇이 2020년까지 총 43조원의 생산유발효과, 12조원의 부가가치유발, 2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지름길은 '기술 상용화=한국 산업의 대전환과 재편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4차 산업혁명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향후 10~20년 간,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재정적 위기가 심각하게 고조될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나오면서 대기업이 R&D 투자를 주저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저출산·고령화 늪에 빠져 추진력마저도 상실한 것이란 우려도 있다. 정부 차원의 획기적인 대책도 보이지 않는다. R&D 투자 확대, 인재 육성, 세제·금융 지원 확대 등의 정석에 맞춰 산업을 견인한다는 게 여의치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상황에서 한국을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견인할 가장 빠른 비책은 있을까. 전문가들은 '기술 상용화'에 해결카드가 있다고 조언한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부 출연연구소들이 보유한 특허는 3만 6414개로, 이중 활용되었거나 활용되고 있는 특허수는 28.4%인 1만 351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체 72%가 휴면 중인 ‘장롱특허’라는 것.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 234개 대학교가 받은 총 6만 4413개(국내 5만 8860개, 해외 5553개)의 특허 중 상용화에 성공한 기술이전 계약 건수는 3256건(5%, 2014년 기준)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4차 산업혁명이 꽃피기 위해선 '기술 상용화 수준부터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준정 미래탐험연구소 대표는 "4차 산업혁명 주도는 우리가 개발한 많은 기술들이 우리 기업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얼마나 상용화되었느가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출처: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31618463931850&outlink=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