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 복선전철로 부산 울산의 생활권이 대폭 확대된다. 이렇게 교통지도가 달라지면 자연스럽게 부동산 지도도 덩달아 달라진다.

부산~울산 구간이 개통되면 지방에서는 최초로 지하철과 광역철도가 환승하는 광역교통망이 구축된다. 수혜지역은 해운대 송정 기장 일광 등 부산 동남권 지역이다. 해운대 등 도심권에서 외곽까지 교통체증 없이 20분 안팎에 도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부산에서 울산까지 종전보다 절반이 줄어든 32분밖에 걸리지 않아 출퇴근이 가능하게 된다. 

교통망의 변화에 따라 부산 울산지역에 아파트 분양도 줄을 이을 예정이다.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5월 이후 연내 부산 울산 분양물량은 총 51개단지 3만4,477가구가 예정돼 있다.

부산에선 연내 37개단지, 2만7,656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포스코건설은 해운대구 반여동 1291-1337에 짓는 해운대 더샵 센텀그린을 5월 분양한다. 총 464가구로 전용면적 59㎡, 72㎡의 중소형 평형으로만 공급된다.

오는 10월 개통하는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재송역은 걸어서 10분 걸린다. 센텀시티의 다양한 생활 인프라를 가깝게 누릴 수 있다. 또 단지 북쪽에 약 208㎡ 규모의 제2 센텀시티 조성 사업이 예정돼 있다.

삼성물산과 현대산업개발은 동래구 온천동 온천2구역을 재개발하는 온천2구역 래미안 아이파크(가칭)를 11월 분양할 예정이다. 3,853가구중 2,488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부산지하철 4호선 미남역 역세권 단지다. 1호선 동래역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광혜병원,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시네마 등 생활인프라가 풍부하다.  

이밖에 부산에서는 △5월 거제센트럴자이(561가구) △5월 힐스테이트 명륜(493가구) △9월 대연5구역 자이(621가구) △10월 명장1구역 e편한세상(828가구) △11월 연지 꿈에그린(712가구) △하반기 연산3구역 반도유보라(1,185가구) 등이 연내 분양될 예정이다.

울산에서는 연내 14개단지 6,821가구가 분양예정이다.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울산~포항(2018년 개통예정) 수혜지역인 송정지구에서 분양물량이 쏟아진다. 태화강역 다음 정거장인 호계역이 반경 2km 안에 위치한다.

송정지구에서는 연내 6개 단지 총 4,108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10월 송정 B1블록 호반베르디움(502가구) △11월 B7블록 울산송정지구 금강펜테리움2차(544가구) △하반기 B5블록 울산 송정 반도유보라(1,162가구) △하반기 B7블록 송정 한양수자인(468가구) 등이 분양예정이다.

한편 울산에서 부산을 잇는 동해남부선 복선전철이 올 하반기 개통될 예정이다. 동해남부선 복선절철은 오는 10월 부전~일광(28.5km) 1단계 개통하고 나머지 일광~태화강(37.2km)은 2018년에 전구간 개통될 예정이다.
 

출처: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429500086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새해 부산, 신규 아파트 2만 8천여 세대 쏟아진다

 

출처: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107000125

-------

온천2구역재개발 34평 급매 있어요# 온천래미안 아파트# ^^

안녕하세요~~
2016년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올 한해도 힘차게 힘차게 달려가 내가 이루고자 하는 바를 이루었으면 좋겠어요.
내집 마련을 꿈꾸시는 분들은 꼭 내집마련을 하고,
회사에서 승진을 원하시는 분들은 꼭 승진을 하세요~
돈을 많이 벌고 싶으신 분들은 돈을 많이 벌고 대박나세요~~~

매매 완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1. 정모(46)씨는 최근 내집 마련의 꿈을 이뤘지만, 자녀 교육비 등으로 계속 돈이 나가서 혼자 사시는 어머니 생활비를 많이 못 드리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정씨는 최근 어머니께 여생을 안정되게 사시도록 주택연금에 가입하시는게 어떠냐고 권유했다.


#2. 이모(여ㆍ68)씨는 시집을 안간 딸이 최근 장사를 하다가 잘 안풀려 접고 직장을 알아보는 중이다. 이 씨는 개인연금에 주택연금까지 받으면 딸 생활비를 조금이라도 지원해줄 수 있을거 같아서 주택연금을 신청하려 한다.




‘자식에게 물려줄 재산에서 노후 대비용으로?’


인생 100세 시대, 집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고 있다. 


베이비부머(1955~1963)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하며, 노령층이건 젊은층이건 할 것 없이 집을 ‘물려줘야 하는 재산’에서 ‘노후 생계를 위한 자산’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주택연금 가입 및 문의가 폭증하고 있는 것이다.

 

노인 빈곤과 핵가족화, 그리고 취업란으로 인해 늦어지는 젊은 층들의 경제활동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2일 주택금융공사와 금융위원회등에 따르면 지난 4월 25일 내집연금 3종세트를 출시한 이후 첫주(5영업일)동안 주택연금 가입신청건수는 일 평균 86.6건에 달했다.


지난해 일 평균 가입신청건수 29.3건의 3배 수준으로 폭증한 셈이다. 


지난 한주간 주택연금에 대한 상담 신청 건수도 일 평균 674.2건으로, 지난 2014년 일 평균 상담건수 62.6건에 비해 11배나 늘었다. 


실제로 최근 명절이나 가족행사때 가족들이 모이면 주로 논의되는 주제가 바로 부모님이 살고 있는 집 처리 문제다. 





과거에는 노령층이나 젊은층이나 서로 집은 물려주는 재산이라 생각하고 부모님의 생활비를 자녀들이 어떻게 분담할지를 놓고 고민했다면 최근에는 부모님이 살고 있는 집으로 주택연금에 가입해 생활비를 쓰도록 권유하는 집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모(37)씨는 “우리 아버지 세대만 해도 형제자매가 많아 생활비를 나눠 부담하면 부담할만 했을 것 같다”며 “형제라곤 시집간 누나와 나 둘뿐이라 부모님에 대한 생계를 내가 책임져야 하는데 부담이 심해 차라리 주택연금을 알아보시라고 권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최씨는 집에 대한 미련은 없냐는 질문에 “반전세지만 현재 우리 가족이 살 곳이 따로 있는 상황”이라며 “부모님 생활비로 들어가는 돈이 줄면 그 돈을 모아 내집 마련을 하는 편이 서로에게 유리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모(46)씨는 “부부가 맞벌이를 해서 최근 내집 마련의 꿈을 이뤘지만 자녀 교육비등으로 계속 돈이 나가서 생활비를 많이 못 드리고 있다”며 “본가에는 어머니 혼자 살고 계신데 여생을 안정되게 사시도록 주택연금 가입하시는게 어떠냐고 지난 생신 때 가족끼리 모여 논의했다”고 말했다. 

같은 서울에 살고 있는데 집을 물려받고 싶지는 않냐는 질문에 정씨는 “물려받으면 일가구 이주택이 되고, 일정 시간안에 팔지 않으면 세금을 물게 되는 거 아니냐”며 “부동산 경기도 별로 좋지 않은 상황에서 집 물려받았다가 집이 안나가 세금 고민 하는 사람, 그 때문에 집을 싸게 내놓는 사람도 많이 봤다. 그럴 바엔 지금 집 가치대로 연금 받는게 낫다 싶다”고 말했다.

이모(여ㆍ68)씨의 경우 자식의 생활비를 보태기 위해 주택연금을 신청하는 케이스다. 이씨는 “시집을 안간 딸이 있는데 최근 장사를 하다가 잘 안풀려 접고 직장을 알아보는 중”이라며 “개인연금에 주택연금까지 받으면 딸 생활비를 조금이라도 지원해줄 수 있을거 같아서 주택연금을 신청하려 한다”고 말했다.

향후 부동산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들도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주모(38)씨는 “앞으로 집값이 오를 일은 없고, 자칫하면 내릴 거 같은데 제일 가치가 높을 때 연금으로 받는게 낫지 않냐고 설득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한모(72)씨의 경우 “주택연금을 받았다가 나중에 집값이 오르면 억울한 거 아니냐 생각했는데 집값이 오르면 오른 만큼은 자녀에게 상속된다는 말을 듣고 안심하고 주택연금에 가입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출처: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502000367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난 후 처음 공급하는 초량 이편한세상 부산항

분양가 및 모델하우스 소식입니다. 향후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네요.

오늘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 사업개요 -​

위치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383번지 일원

대지면적 : 13,546㎡

규모 : 지하4층 ~ 지상 36층 4개동 752세대 ( 일반분양 543세대 )

오피스텔 187실 ( 일반분양 178실 )

공급세대 : 69㎡ / 84㎡

입주시기 : 2019년 07월 예정

초량 이편한세상 부산항 모델하우스는 4/15일 금요일 오픈하였습니다.

주상복합 건물이기 때문에 아파트와 오피스텔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오늘은 아파트에 대해서만 안내해 드릴게요.

4/19일 특별공급 시작과 4/21일 1순위 청약접수를 받고, 4/22일 2순위 청약접수후

4/28일 당첨자 발표가 있으며, 5/3일 ~ 5/6일 4일간 계약서 발부 예정으로 청약 일정이 잡혀있습니다.

요즘들어 계약서 발부 일정이 4일인 현장이 많이 있네요.

 

초량 이편한세상 부산항 분양가 클릭하면 확대 보기 가능하며

당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 미적용 주택이며 분양권 전매에 대한 제한이 없습니다.

                                                                                                                                   

편리한 도심 인프라가 밀집된 초량역세권에 프리미엄 브랜드 단지입니다.

걸어서 누리는 초량역과 초중고등학교 교육시설, 사통팔달의 광역교통망, 풍부한 생활 인프라와 녹지까지!!

부산에서 가장 편리한 생활이 보장된 ` e편한세상 부산항 '에서 즐거운 하루하루를 누리세요.

자연친화적인 외관디자인과 단지배치, 푸른 바다를 품은 939세대 대단지 프리미엄을 설계하였으며,

자연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e편한세상 스타일의 외관, 바다조망과 채광을 고려한 단지배치.

격이 다른 다양한 커뮤니티시설로 입주민의 삶을 더욱 편리하고 여유롭게 만들어 드립니다.

전세대 중소형으로 구성된 총 939세대 대단지 아파트 ( 아파트 752세대, 오피스텔 187실), 채광·통풍성이

탁월하며 지상에 차가 없는 쾌적한 단지로 조성되었으며,

푸른 바다와 북항재개발로 한층 아름다워질 부산항을 집안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단지를 배치하여 (일부세대제외)

모두가 동경하는 바다 조망 프리미엄을 누리게 됩니다.

 

[ 초량 이편한세상 부산항 동배치 및 평면안내 ]



초량 이편한세상 부산항 분양가 ★ 모델하우스는 업체 홈페이지를 바탕으로 한 댓가성없는 포스팅입니다.

( 자료출처 : e편한세상 홈페이지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부산 집값이 심상찮다.
 
지난해 12월 금융위원회의 '여신 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대출규제 강화)' 발표 후 부동산 시장이 위축됐음에도 부산 집값은 1분기 동안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발표 후 0.52% ↑
전국 평균 상승률의 10배
입주물량 부족 '악순환' 분석
 
올해 입주 물량이 부산의 적정 물량보다 적은 탓에 전세로 전환하는 물건 부족 현상이 겹쳐 전세 가격이 급등하고 그 여파가 매매 가격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분양 시장 열기가 점차 되살아나면서 부산 집값도 동반 상승하는 양상이다. 

5일 부산일보부동산센터가 내놓은 '전국 17개 시·도 집값 분석'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집값 상승률은 부산이 0.52%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요 몇 년 새 집값이 폭등했던 제주(0.41%)를 웃도는 수치다. 전국 평균 집값 상승률(0.05%)보다도 10배나 높다. 

부산과 제주에 이어 강원·세종(0.27%), 인천·울산(0.15%), 서울(0.13%), 경기·전북(0.02%), 전남·광주(0.01%) 순이었다. 대전을 비롯해 경남, 충남, 충북, 경북, 대구는 0.08~0.54%가 떨어졌다.

부산일보부동산센터 이영래 센터장은 "가계대출 규제가 지난 2월부터 수도권에만 적용됐지만 그 파급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부산은 전세 가격이 가파르게 치솟고 입주 물량이 적어 집값이 견고하게 상승하는 분위기"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부산의 1분기 전세 가격 상승률은 0.99%로 전국 평균 전세가격 상승률(0.53%)을 크게 상회했다. 이 때문에 봄 이사 철을 맞아 전셋집 구하기 전쟁을 치르는 등 전세 대란을 겪는 중이다. 올해 입주 물량도 1만 2천 세대로 부산의 적정 물량(1만 5천~1만 7천 세대)보다 적었다. 입주 물량 부족→전세 가격 상승→집값 상승의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는 셈. 

16개 구·군별로는 기장군이 1.17%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해운대구(0.83%), 동래구(0.77%), 중구(0.69%), 연제구(0.68%), 동구(0.65%), 수영구(0.53%), 금정구(0.50%)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동부산권의 상승세가 뚜렷했다. 눈길을 끄는 건 중구와 동구의 상승률. 지난 2월 부산시가 밝힌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 중간보고가 호재로 작용하면서 시세에 반영됐다는 평가다.

 

출처: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406000112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출처: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orcusland&logNo=22056223992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지난 16일 경기 과천시 주암동 231번지 과천화훼단지. 92만㎡ 부지에 190여동의 비닐하우스가 빼곡히 들어선 단지 곳곳에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돼 허가 없는 건축이 불가능하다’는 내용이다. 화훼단지는 과천지역에 남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중 대규모 사업을 펼칠 수 있는 마지막 부지로 꼽혀왔던 곳. 지난 달 14일 정부는 이 일대를 기업형임대주택(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로 지정하면서 이 비닐하우스는 모두 철거되고 2020년까지 5,200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당초 시는 이곳을 화훼종합센터 등 화훼농가를 위한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에 수포로 돌아갔다. 정길수 과천화훼집하장 운영위원회장은 “지난 26년간 화훼농가들이 일궈놓은 삶의 터전을 정부가 파헤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또다시 그린벨트를 마구 풀어헤치고 있다. 임대주택을 지을 때도, 새로운 단지를 조성할 때도, 전략산업을 육성할 때도 어김없이 그린벨트 해제가 포함된다. 역대 정부에서도 그린벨트는 늘 지역 주민들에게 던져줄 선거용 선물로 활용돼왔다. 그린벨트가 침범 불가능한 성역일 수는 없지만, 선거 때만 되면 법까지 바꿔가며 마구 풀어주며 사회 전체가 향유해야 할 공공재를 사유화하는 행태가 되풀이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다.


연일 쏟아지는 그린벨트 해제 정책


18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쏟아내는 각종 경기 활성화 대책에 그린벨트 해제가 빠지지 않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올 1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내놓은 뉴스테이 사업 계획. 그린벨트 내 추진하는 사업만 6건(경기 과천 주암ㆍ의왕 초평, 부산 기장, 인천 계양ㆍ남동ㆍ연수)으로, 해제 면적이 181만2,000㎡에 달한다. 14개 시ㆍ도에서 드론, 바이오헬스, 스마트기기 등의 전략산업을 육성키 위한 ‘규제 프리존’ 역시 그린벨트 부지를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17일 내놓은 투자활성화 대책에도 어김없이 그린벨트 해제가 담겼다. 경기 고양시에 지지부진하던 자동차서비스복합단지 조성에 속도를 내기 위해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추진 가능한 사업에 자동차서비스복합단지를 포함하도록 법을 바꿔주기로 한 것이다. 또 스포츠시설을 확충한다는 명목으로 그린벨트 건축 연면적 기준을 대폭 완화해주기로도 했다.


이 뿐 아니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부터 집중적으로 그린벨트 해제를 기반으로 한 굵직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60만㎡의 그린벨트를 풀어 주택지구 등으로 개발하는 수서역세권 사업(2015년 7월 발표)이나 도로ㆍ철도로 쪼개진 1만㎡ 이상 그린벨트 해제(2015년 12월) 등이 이어졌다. 작년 5월엔 소규모(30만㎡ 이하) 그린벨트 해제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하기도 했다. 4월 총선용 카드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리는 것은 당연하다.



역대정권에서도 그린벨트는 선거용 선물


그린벨트를 선거철에 손쉽게 이용했던 건 역대정권도 마찬가지였다. 그린벨트 해제나 그린벨트를 이용한 사업 발표는 늘 각종 선거를 앞두고 집중됐다. ‘그린벨트=군사정권 시대의 상징’이라고 슬로건을 내건 김대중 정부에서 그린벨트 제도 개선 방안을 내놓은 것도 16대 국회의원 선거를 9개월 앞둔 1999년7월이었고, ‘국민임대 20만가구 건설’ ‘국민임대 연내 1만가구 건설’ ‘택지공급 확대’ 등 본격적으로 그린벨트를 통해 개발하겠다고 공개한 시점도 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시점이었다. 대선이 있던 2002년 1월에는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안’과 ‘주택시장동향 점검 및 대응방안’, ‘청주권 그린벨트 해제안’ 등 그린벨트 해제를 기반으로 한 정책을 한 달 동안 잇따라 쏟아냈다.


노무현 정부도 2003년 9월 ‘서민 중산층 주거안정지원 대책’을 통해 2012년까지 국민임대 100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17대 총선을 정확히 반년 앞둔 시점이었다. 이렇게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에서 국민임대주택 건설에 활용된 그린벨트가 62.4㎢에 달한다.


이명박 정부는 한발 더 나갔다. 그린벨트를 중심으로 주요 대선공약이 수립됐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보금자리 주택이다. 도심지 그린벨트를 해제해 값 싼 아파트를 공급하자는 취지였다. 실제 서울 강남ㆍ서초 등이 주변시세의 절반도 안 되는 42~49% 수준에 분양돼 ‘로또복권’으로 통했을 만큼 표심 끌기에 충분했다. 대선 이듬해인 2008년 치러진 18대 총선에는 유력 후보들이 너도나도 그린벨트를 풀어 물류도시, 산업단지, 운하 등으로 개발하겠다고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90% 이상이 개발 목적으로 해제


이렇게 전체 그린벨트 면적(5,397㎢) 중 지난해까지 해제된 면적은 28.4%인 1,536㎢. 1999년부터 풀리기 시작했으니 17년간 여의도 면적(2.9㎢)의 530배가 그린벨트에서 해제된 것이다.


물론 개발 수요는 늘어나는데 땅덩어리는 좁은 현실에서 그린벨트의 점진적 해제는 불가피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렇게 선거용으로 활용되다 보니 보전가치는 뒷전에 한참 밀린 채 난개발을 부추기는 측면이 다분하다. 해제 사유 별로 분석을 해보면 이중 90% 이상(90.7%)이 국책사업이나 지역 중소도시 개발, 지역 현안사업 등 개발 목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주민들의 불편 해소 등을 위한 해제는 8.2%에 그쳤다.


앞선 정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그린벨트 해제에 인색한 것처럼 보였던 박근혜 정부가 최근 들어 그린벨트 해제 정책을 한꺼번에 쏟아내면서 비판의 목소리도 커져간다. “보존해야 할 그린벨트라도 개발계획이 잡히면 무조건 해제한다”는 삽질공화국의 모습이 재연되고 있다는 것이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는 “훼손되거나 존재 이유를 상실한 그린벨트 해제는 필요하지만, 선심성 사업 때문에 야금야금 그린벨트가 희생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그린벨트는 후대에게 남겨줄 소중한 유산인 만큼 이런 난개발식 개발정책 대신 대대적인 종합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http://www.hankookilbo.com/v/7c3695a40af04ee0acf37b53a14a4077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9년 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동에 있는 한 대형아파트(전용면적 133㎡)를 9억2,000만원에 샀던 50대 이모씨는 지금도 밤잠을 설칩니다. 금융위기 이후 집값이 내리막길을 걷더니 현재는 시세가 2억원 가까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하필 아파트 가격이 꼭지점일 때 집을 산 것이지요. 물론 대출도 껴서 말입니다. 그는 ‘원금만큼만 회복하면 팔아버려야지’라고 생각하면서 지금까지 버텼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런 날이 오긴 올까요? 이것은 이씨뿐 아니라 대형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일 겁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요즘 부동산 생태계를 보면 ‘대형 아파트 종말론’이 나올 만 합니다. 상당수 분양 광고는 ‘100% 중소형으로만 구성됐습니다’ 등 작은 아파트를 찬양하는 문구로 도배가 돼 있습니다. 광고 첫 줄에서 강조하는 건 그만큼 수요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것이란 뜻이겠지요. 건설사 입장에서는 매력 포인트를 내세우는 것일 테고요.

실제 아파트 시장은 중소형 아파트가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국토교통부 자료를 보면 작년 전국에서 거래된 전용면적 59㎡ 이하 아파트의 매매 거래량은 14만2,654건으로 전년(12만4,590건)보다 14.5%나 늘었습니다. 전용 85㎡ 초과~109㎡ 이하(5.7%), 전용 109㎡ 초과(9.1%)보다 거래량이 월등히 많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큰 집을 좋은 집과 동일시하던 ‘과시형’ 소비패턴에서 이처럼 작은 집을 선호하는 ‘실속형’으로 바뀐 것은 언제부터 일까요.

전문가들은 2008년 금융위기가 계기가 됐다고 말합니다. 그 전까지는 활황기에 집값이 오르면, 전용 85㎡를 초과하는 대형아파트가 중소형 아파트보다 2배 넘는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투자상품으로서 가치가 컸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아파트 한 채만 자가로 소유하면 노후 걱정 없다는 얘기가 나왔겠지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샀던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부동산 시장도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되면서 상황은 역전됐습니다. 여기에 인구구조가 급속히 핵가족으로 바뀌고 있는 것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실제 통계청 등에 따르면 중대형 아파트가 필요한 4인 가구 이상 가구수는 2010년 31%에서 2015년엔 25%로 낮아졌고 2025년엔 17%로 더 줄어들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최근 공급되는 아파트는 발코니 확장과 특화설계 등으로 서비스공간이 많기도 합니다. 대형 아파트보다 싸게 사고, 그러면서도 실제공간은 공급면적보다 더 넓게 쓸 수 있으니 중소형으로 몰리는 것이지요. 이런 인기 덕분인지 가격 상승률도 소형으로 갈수록 더 높아집니다.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작년 아파트값 상승률을 보면 ▦전용 60㎡ 이하는 5.56% ▦60㎡ 초과~85㎡ 이하는 4.71% ▦85㎡ 초과~102㎡ 이하는 3.98% ▦102㎡ 초과~135㎡ 이하는 3.88% ▦135㎡ 초과는 2.85% 등을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인기가 없다 못해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어 버린 대형아파트는 이대로 사라지고 마는 걸까요.

일단 매년 입주 물량을 보면 대형아파트가 급속히 줄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용 85㎡ 초과 대형아파트는 2010년 10만2,491가구로 정점을 찍고는 해마다 줄어 2013년부터는 2만~3만 가구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2014년 이후 23만 가구 이상 물량이 풀리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역대 최대치인 31만 가구가 입주 예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물건이 줄면 ‘희소성’ 때문에 값어치가 올라가는 것 또한 시장의 원리. 이것이 대형아파트에도 적용이 될까요. 일부 전문가들은 긍정적으로 대답하지만 애석하게도 상당수는 “손실회복에 미련 갖지 말고 주택거래 시장이 회복할 때 매도 의사결정을 하라”(이미윤 부동산114 책임연구원)고 조언합니다. 매매 거래가 활발한 시기마저 놓치면 영영 매도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특히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 등에 있는 대형 아파트는 앞으로도 가격 상승률이 높지 않다고 합니다. 분당이나 용인 등을 예로 들면, 1기 신도시 분당은 주변에 판교나 위례신도시 등 대체주거지가 있는 탓에 부각되기가 쉽지 않고, 용인은 중소형 아파트라고 해도 미분양이 워낙 많기 때문에 대형아파트는 더 인기가 없을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대형아파트가 살아남는 곳은 극히 일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강남구ㆍ서초구, 대구 수성구, 부산 해운대 등 학군이 살아 있거나 부촌인 곳들만이 경쟁력이 있을 것(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이라고 합니다. 철저히 투자자 시각에서 보자면 교육, 고급주택에서의 주거 등 뚜렷한 목적이 있지 않는 한 대형아파트가 설 자리는 없어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입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6012310052648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40달러 이하선 중동 발주 기대 어려워…中 우려에 동남아도 동반 위축 전망]

연초부터 국제 유가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건설업계 시름이 한층 깊어지고 있다. 여전히 해외 건설 수주의 약 40%를 중동지역이 차지하고 있는 만큼 국내 건설경기의 유가 민감도가 높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저유가 국면이 장기화될 경우, 올해 해외 건설 수주가 이전 저유가 시기인 2000년대 초반 수준으로 후퇴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머니투데이 유정수 디자이너
@머니투데이 유정수 디자이너

◇13년 최저 유가…해외수주 반감 우려=국제 유가가 새해 벽두부터 연일 곤두박질치고 있다.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는 12일(현지시간) 배럴당 30.41달러로 장을 마쳤다. 장중에는 30달러선 아래로 추락하기도 했다.

국내 건설경기에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는 두바이유는 이미 20달러대가 일반화되는 모습이다. 지난 7일 배럴당 30달러선이 무너진 이후에도 하락을 거듭해 12일에는 26.44달러까지 추락했다. 2003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추가 유가 하락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가 20달러대 유가 전망을 제시했고 스탠다드차타드, RBS 등은 10달러대 추락 전망까지 내놓았다.

국내 건설 전문가들은 지금의 유가 수준이 해외 건설 수주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소한 배럴당 40달러선은 유지돼야 중동을 비롯한 해외 수주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 같은 기대가 연초부터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중석 해외건설협회 정책기획처 박사는 "올해 유가가 배럴당 40~60달러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30달러선 밑으로 내려가는 상황까지 연출됐다"며 "이 같은 유가 수준은 발주처의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중동발 수주가 전체 수주의 약 40%를 차지하는 국내 건설업의 특성상 해외 수주는 유가 움직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왔다.

실제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20~30달러대에 머물렀던 2000년대 초반 100억달러 안팎에 불과하던 해외 수주 규모가 2000년대 중반 급증하게 된 계기는 유가 상승이었다.

두바이유 가격이 60달러대로 접어든 2007년 국내 건설업체들의 연간 해외 수주 규모는 처음으로 300억달러를 넘어섰고 유가가 80달러에 육박했던 2010년 사상 최대인 716억달러를 기록했다. 유가가 줄곧 배럴당 90~100달러를 유지했던 2012~14년에는 해외 수주가 일제히 600억달러대를 기록하며 호조를 보였다.

반면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50달러대로 급전직하한 지난해에는 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 수주 규모 역시 6년래 최저인 461억달러로 떨어졌다.

해외 수주가 이처럼 유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해외 수주의 상당 부분이 중동 지역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2010년의 경우, 전체 해외 수주 중 중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66%에 달했을 정도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1985년 중반 유가 하락기에 수주실적이 감소하고 2000년 초반에도 비슷한 모습이 나타났다"며 "지금도 이 같은 상관관계가 깨졌다고 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건설업계는 예상보다 유가 하락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플랜트를 비롯한 중동국가들의 신규 개발 투자가 재차 미뤄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A건설 고위 관계자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일부 중동국들이 지난해 미뤄놨던 플랜트 공사를 연초 발주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최근 분위기를 보면 발주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토로했다.

국가 경제의 상당 부분을 석유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중동 산유국들의 경우, 유가 수준에 따라 투자 여력도 결정된다. 2014년 국제통화기금(IMF)의 분석에 따르면 중동 주요 산유국들이 균형 재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가가 최소 배럴당 70~80달러선을 유지해야 한다. 지금과 같은 30달러대 유가는 신규 투자는 고사하고 생산 마진을 남기기도 어려운 수준이다.

◇저유가에 중국 불황까지…대체 수주도 바늘구멍불행 중 다행인 것은 중동 수주 비중이 예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2009~2010년 60~70%에 달하던 중동 수주 비중은 2013년 40.1%까지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그 비중이 35.8%로 재차 낮아졌다. 대신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 여타 아시아지역 수주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이다. 2012년 29.9%에 불과하던 중동 제외 아시아 수주 비중은 지난해 42.7%까지 상승했다.

B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전반적인 해외 수주 위축 속에서 베트남을 비롯한 신규 시장 개척이 두드러졌다"며 "올해도 비중동 지역 시장에 초점에 맞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마저도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의 경기 불안 등으로 인해 중동과 여타 아시아 지역 공사 발주가 동반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장우석 위원은 "그동안 중동 발주가 감소해도 아시아, 중남미 등에서 지지해주는 부분이 있었는데 올해는 중국 경기 불황 등으로 이를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최중석 박사는 "물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유럽 기업들까지 공격적으로 가격 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며 "수주 감소는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estate/newsview?newsid=20160113155528183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