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법

 

 

Donload links are on the bottom of this page 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밑으로 조금 내려가면 이렇게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위에가 32bit 운영체제, 아래가 64bit 입니다.

 

 

그리고 그 아래 파일 하나가 더있습니다.

Korea를 다운받아 폴더에 같이 넣으시면 한글판으로 실행이 됩니다.

 

 

프로그램 실행 모습입니다. 사용했던 USB가 모두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삭제하는 방법은 위에 표시줄에 휴지통아이콘을 클릭하셔도 되고,

아래 사진처럼 오른쪽클릭으로 '고른 장치 제거'로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http://blog.opid.kr/40?srchid=BR1http://blog.opid.kr/40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요즘은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는 USB 메모리. 이 메모리를 사용하면 PC에는 USB메모리 사용 흔적이 남게 됩니다. 보안상의 이유 등으로 이런 흔적을 삭제해야 하거나, 마찬가지로 보안상의 이유로 다른 USB 메모리가 사용된 적은 없는지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얘기 해 보도록 하죠. 이는, MP3 Player, 외장형 하드디스크등 메모리로 잡히는 모든 USB장치에 적용 됩니다.
1. 레지스트리
첫번째로 USB메모리 사용 흔적이 기록되는 곳은 바로 레지스트리 입니다. 레지스트리 에디터 실행 방법 정도는 다들 아시리라 믿고. (시작버튼 -> 실행 -> "regedit" 입력 후 엔터)

clip_image00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Enum\USB 라는 경로로 이동하시면 위와같은 것들이 보입니다. 저 Vid_ 로 시작하는 것들이 바로 다양한 USB메모리들 입니다. 많이도 꽂았네요. 삭제를 원하시면 각각의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삭제' 를 클릭하시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그냥 지워지지 않습니다.

clip_image002

 

이런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사용권한' 항목을 선택하신 후에,

clip_image003

 

Everyone 으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아래쪽에 있는 '모든 권한' 에 '허용' 에 체크하시고 '확인' 을 누르신 후에 해당 항목을 다시 삭제 해 보시면 이제 삭제가 되실겁니다.
이렇게만 하고 끝나면 좋겠지만, 그 바로 아래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Enum\USBSTOR 라는 항목을 보시면

clip_image004

 

더 적나라하게 장치 이름이 기록 되어 있지요. 흔히 아는 이름으로 뭐 iRiver 도 보이고.. Samsung YP-P2, Samsung YP-S5.. 이 PC는 MP3 Player 만 3대를 사용하고 있네요 ㅋ 위에서 하신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해당 항목들을 삭제 하시면 레지스트리는 정리가 된 것 입니다.
2. setupapi.log 파일
이 파일의 존재는 아마 대부분의 분들이 모르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이 파일은 레지스트리 만큼이나 여러분들이 이 PC에서 뭘 했는지를 상세히 담고있는 파일중 하나입니다. 이 파일은 "C:\Windows\setupapi.log" 라는 이름으로 존재합니다. (물론 여기서 C:\Windows\ 는 여러분의 Windows 설치 폴더 겠죠 ?) log 확장자의 파일은 일반적으로 메모장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간단히 [ 시작-> 실행-> "setupapi.log" 라고 입력 후 엔터 ] 와 같은 방법으로도 열어보실 수 있습니다.

clip_image005

 

쭉 내려보시면, OS의 버젼부터 플랫폼, 제품군 종류부터 해서 여러분들이 어떤 장치를 설치했고 삭제 했는지 내역이 전부 나옵니다. 이 기록은 PC에 Windows 를 설치한 후부터 계속해서 누적 기록됩니다.

clip_image006

 

이 파일에서 Ctrl + F 를 눌러 "대용량 저장소" 혹은 "USB\VID_" 와 같은 문자열로 검색하시면 USB 메모리가 설치된 내역을 찾으실 수 있는데,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설치된 날짜로 시작하는 대괄호 부분부터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가 나오는 부분까지를 삭제하시면 USB 사용 내역이 삭제 됩니다.
흔히들, '컴퓨터를 잘한다' 고 하는 사람들이 '나는 니가 이 PC로 한 일을 알 수 있다' 고 하면 거짓말 같지만, 우리들의 친절한 윈도우는 이렇게 대부분의 사용정보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PC로 뭘 했는지 알아내는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항상 PC를 사용할 때엔, 내가 하는 짓거리(?)가 어딘가 기록되고 있구나 라는걸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 D

 

출처:http://drake.kr/673

 

------

윈도우 탐색기를 열어서 WINDOWS - INF 폴더 안에 setupapi.dev.lo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보시면 어떤 USB 장치가 접속을 했었는지

기록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자료를 복사해 갔는지는 확인불가능 합니다.

 

출처:http://tip.daum.net/question/85497850/85498148?q=setupapi.log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영국의 EU 탈퇴’ 그 끝은 어딜까

 

ㆍ6월 23일 국민투표로 결정… 세계경제 긴장

설마했던 일이 현실이 될까. 6월 23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다가오면서 세계 경제와 정치가 움찔하고 있다.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타 유럽국가들의 EU 탈퇴 분위기가 확산될 수 있는 데다가, 유럽 금융 중심지의 이탈은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3년 전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국민투표를 공약했을 때만 해도 브렉시트(Brexit)는 공상에 가까운 얘기였다. 브렉시트는 영국(Britain)과 탈퇴(Exit)의 합성어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뜻한다. 그리스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탈퇴를 일컫는 그렉시트(Grexit)에서 따온 말이다. 하지만 국민투표를 열흘가량 앞두고 탈퇴와 잔류 여론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브렉시트 공약을 내세워 총선에서 압승했던 캐머런 총리가 앞장서 “유럽연합에 잔류해 달라”며 국민들을 설득하고 있을 정도다. ‘유럽 내 더 강한 영국(Britain Stronger in Europe)’을 내세운 잔류파와 ‘탈퇴에 투표하라(Vote Leave)’는 탈퇴파는 지금 팽팽히 맞서고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5월 14일 영국 옥스퍼드셔 위트니에서 브렉시트 반대 캠페인을 주도하고 있는 ‘유럽 안에서 더 강한 영국’ 지지자들 앞에서 연설하고 있다./EPA연합뉴스


불확실성 커지자 주요국 국채 가격 상승
세계 경제는 긴장하고 있다. 일본, 독일, 영국 등 주요국 국채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뛰고 있다. 6월 10일 일본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장중 마이너스 0.140%까지 떨어져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이 보도했다. 전날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도 0.023%까지 떨어지면서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국 국채도 10년물 금리가 1.218%로, 1989년 블룸버그 자료 집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국채 수익률이 낮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높다는 의미다. 채권 가격이 이처럼 높아진 것은 영국의 EU 탈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SMBC 프렌드 증권의 이와시타 마리 수석 시장 이코노미스트는 “투자자들이 주식보다는 채권을 사는 것에 안정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영국이 EU에서 탈퇴할 경우 경제적으로는 잃는 것이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재무부가 브렉시트의 단기적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향후 2년간 국내총생산(GDP)이 3.6% 줄어든다. 52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실업률은 1.6%포인트 상승한다. 주택가격은 10%가량 떨어진다. 최악의 상황이라면 GDP가 6% 줄고, 82만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파운드화 가치도 12%가량 급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전망도 다르지 않다. 소시에테제네랄은 브렉시트 5년 뒤 영국 GDP는 4~8% 감소한다고 봤다. 도이체방크도 3년 뒤 영국 GDP가 3%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영국의 GDP가 이처럼 축소되는 것은 그렉시트가 되면 영국은 더 이상 무관세인 EU 단일시장을 이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영국은 수출과 수입의 절반가량을 EU 국가에 의존하고 있다. 금융, 법률, 의약 등 서비스시장도 지금보다 어려워진다. EU 국가와의 트레이딩이 어려워지고 영국 금융 중심지인 런던 시티에 근무하는 금융인들의 복지혜택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오스본 재무장관은 “브렉시트가 되면 금융산업 내 EU 관련 연관업무 종사자 수만명이 실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규제 벽이 높아지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에 투자하는 자금의 48%가 EU 국가에서 나온다.

하지만 이는 거시적인 측면이고 미시적으로 들어가면 달라진다. 여론조사기관인 유고브(YouGov)가 ‘영국이 EU에 잔류하면 누가 이익을 얻고, 누가 손해를 볼 것인지 3개 사회계층을 선택하라’는 설문조사를 해보니 영국인들은 EU 잔류로 대기업, 금융기관, 고소득층이 유리할 것으로 봤다. 반면 소기업, 저소득층, 구직자에게는 불리하다고 생각했다. 또 기존 정치인들도 혜택을 볼 것이라고 생각했다.

EU 잔류에 따른 이해득실이 엇갈리는 것은 EU 경제통합이 대기업, 고소득층 등 기득권 세력에게는 ‘기회’가 되는 반면, 서민층에는 분담해야 할 의무만 많아지는 ‘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논란이 이민 문제다. 2004년 체코, 헝가리 등 동유럽 10개국이 EU에 가입한 뒤 영국에는 이민자가 빠르게 유입됐다. 영국인들은 이민자들이 영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복지부담을 늘렸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 지난해 EU 출신 취업자는 25만명이 늘어나며 사상 최대인 220만명이 됐다. 런던의 주택가격은 지난 4년 동안 45%나 올랐는데, 이것도 이민자가 늘어나서 집이 모자란 것으로 영국인들은 보고 있다.

영국이 내는 많은 분담금도 불만이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해 영국은 129억 파운드(22조원)를 EU에 낸 반면 EU로부터 지원받은 돈은 60억 파운드에 그친다. 69억 파운드(12조원)를 차라리 영국 내 복지와 경제성장에 쓴다면 서민들에게 훨씬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유럽통합에 부정적인 국민 정서도 한몫을 하고 있다. ‘대영제국’의 자존심을 갖고 있는 영국인들은 프랑스와 독일이 주도하는 EU 체제에 대해 마뜩잖아 했다. 영국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EU 탈퇴를 시도했다. 1975년 EU의 전신인 EEC(유럽경제공동체) 잔류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때는 67%의 지지로 잔류가 결정됐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영국은 EU에 속해 있지만 완전한 EU 일원이라고 보기 힘든 구석이 있다”며 “여전히 유로화 대신 자국 통화인 파운드화를 쓰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커머런 총리 “잔류해 달라” 국민 설득

영국의 브렉시트는 캐머런 총리의 ‘자승자박’이라는 평가가 많다. 굳이 국민투표까지 가지 않아도 될 사항이지만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유럽통합에 회의적인 여론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캐머런 총리는 2013년 1월 “2015년 5월 총선에서 EU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5월 이 공약을 내세워 캐머런 총리는 재선에 성공했다. 23년 만에 처음으로 단독 과반을 확보한 압승이었다. 캐머런 총리는 이 같은 총선 결과를 바탕으로 EU와 협상을 벌여 영국만의 특별지위를 보장받는 데 성공했다. “자칫 잘못하면 브렉시트가 현실화된다”는 협박이 통한 것이다. 하지만 국민투표 공약 자체를 뒤엎지는 못했다. EU와의 협상안을 바탕으로 국민투표에서 ‘잔류’ 허가를 받아낸다는 것이 캐머런 총리의 구상이었지만 여론은 생각대로 흐르지 않고 있다. 당장 자신이 몸담고 있는 보수당이 탈퇴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보수당 내 EU 잔류파와 탈퇴파가 심각하게 대립하면서 국민투표 이후 보수당은 심각한 내분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국제금융센터 김위대 연구위원은 “브렉시트가 현실이 되면 하나의 유럽으로 통합하려던 EU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유로존 해체, 또는 EU 붕괴 우려가 재부상할 가능성이 크다”며 “잔류가 결정되더라도 시장은 안도감을 보일 수 있지만 집권당 분열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장기적으로는 영국과 EU의 시장규제가 달라져 EU 기업들의 대영 투자와 교역 감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

EU 견제 효과·캐머런 정치적 입지 강화… 수출 경쟁력·금융산업 큰 타격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른바 ‘브렉시트’ 가능성이 현실화하면서 그 파장에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23일(현지시간) 국민투표를 앞두고 여론은 브렉시트 찬반이 여전히 팽팽해 투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민투표에서 영국이 EU에 잔류하기로 결정되면 별일이 없지만, EU 탈퇴로 결정이 나면 일단 그 파장은 영국에는 양날의 칼이다.

전문가들은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브렉시트 찬반 국민투표 실시를 선언함으로써 보수당의 EU 회의론자들의 입김을 억제하면서 다른 EU 회원국을 견제할 수 있는 효과는 확실히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캐머런 총리 입장에서는 EU 헌법인 리스본 조약 개정으로 자국의 권리를 EU로부터 회복하는 한편, EU에는 머무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EU로부터 주권을 탈환한 총리’라는 업적을 국민에게 각인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빚어질 막대한 경제적 영향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 사이의 중론이다.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은 EU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EU는 영국 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교역 상대국이기도 하다. EU를 탈퇴하면 EU 시장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이 어려워 영국은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영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이 크게 떨어져 수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재무부는 4월, EU 탈퇴로 국가의 GDP가 2030년까지 6%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발표했다. 영국산업연맹(CBI)은 95만 명이 실직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산했다.

세계적 금융허브인 런던의 금융산업이 입는 타격은 더 크다. 업계 단체인 시티UK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220만 명이 금융업에 종사하고 이들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넘는다. 영국은 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유로화 금융거래 대부분이 런던시장으로 모인다. EU 탈퇴로 영국에 본사를 둔 혜택이 줄어들면 금융기관이 해외로 이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융시장을 통해 세계에 영향이 확산되는 것도 경계되고 있다. 이미 영국 통화 파운드화는 매도가 강해지고 있어 한때 파운드·달러 환율이 1.4달러가 무너지며 약 7년 만에 최저를 기록하기도 했다.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영국에서의 자금 유출로 파운드화 가치는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다. EU 탈퇴로 서방의 결속력이 떨어질 경우 우크라이나와 맞서는 러시아를 유리하게 할 수도 있다. 

 

출처: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342935

 

----------

브렉시트, 탈퇴 후 ‘100일 시나리오’

 

   

BRITAIN-EU-POLITICS <YONHAP NO-5701> (AFP)

BRITAIN-EU-POLITICS <YONHAP NO-5701> (AFP)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국민투표가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브렉시트가 세계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우려하며 경계감을 높이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가 브렉시트가 결정된 후 ‘100일간의 시나리오’를 내놓았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유럽이사회의 도널드 터스크 상임위원장은 브렉시트가 ‘서방 정치 문명의 자멸’로 이어질 것이라고 크게 우려했다. 블룸버그는 터스크의 과장 섞인 발언에 브렉시트 이후 유럽연합(EU) 내의 다른 국가의 도미노 탈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이 내포돼 있다고 분석했다.  


◇브렉시트 후 1일…파운드화 급변동·금융시장 불안정성 심화

블룸버그는 24일 새벽 브렉시트 국민투표가 찬성으로 귀결되면 독일부터 벨기에까지 EU의 주요 회원국은 수습 대책 마련에 분주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스 부채 위기가 불거진 직후 유로존의 재무장관들은 바로 그날 밤 긴급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한 바 있다.  

영국 파운드 가치의 급변동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심화도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이다. 아직 외환시장은 브렉시트 위험을 가격에 크게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 최근 3개월간 달러대비 영국 파운드의 가치는 소폭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런던 소재 타톤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의 최고경영자(CEO)인 로타 멘텔은 "브렉시트가 현실화되면 파운드 가치는 추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브렉시트 직후 EU의 균형추인 독일과 프랑스가 유로존의 통합을 강화하는 규정을 발표하고 EU 결속력 증대를 선언하고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정치 컨설팅업체 브뤼겔의 군트람 울프 연구원은 "EU 내에서 신뢰할 만한 전략이 필요해질 것"이라고 예상하며 "EU 내 불협화음이 고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치 지도자들은 EU 잔류 유인을 강화시키고 독일과 프랑스간의 연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렉시트 후 일주일…‘EU회의론’ 확산 우려·탈퇴 협상 시작

블룸버그는 투표 후 일주일 내에 유럽 각지에서 브렉시트라는 현실을 직감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해 주요 국가에서 ‘EU 회의론’이 득세할 것을 우려한다. 브렉시트 투표 이후 26일에 스페인의 총선이 예정돼 있다. 스페인에서는 EU가 제시한 재정적자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EU에 대한 불만이 고조된 상황이다. 내년에 대선을 치를 예정인 프랑스나 네덜란드, 덴마크 등에서도 ‘EU 회의론’이 확대되며 각국 정치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브렉시트 투표가 치러진 다음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EU 정상들과 브뤼셀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이 회의에서 사상 처음으로 EU의 기본 조약인 리스본조약 50조가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리스본조약 50조에는 특정 국가가 EU를 탈퇴하기 위해서는 협상을 거치고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등의 절차가 명시돼 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영국은 최대 2년간 탈퇴 협상을 진행하게 된다.



◇브렉시트 후 100일…英 총리 교체 가능성
 

블룸버그는 브렉시트 이후 처음 100일동안의 시나리오도 예상했다. 블룸버그는 EU가 점차 브렉시트의 충격에서 벗어나 그리스 부채 문제나 난민 위기, 우크라이나의 정치 불안정 등 중요한 이슈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영국은 어획 할당, 금융 서비스 규제, 안전 기준 등 각종 규제와 기준에 대해 EU와 협상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역 협상도 진행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유럽은행위원회 등 영국에 위치한 EU 산하 조직의 본부 이전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총리 교체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캐머런의 뒤를 이을 인물로는 브렉시트 지지자인 보리즈 존슨 전 영국시장이 거론되고 있다.

터스크 상임위원장은 독일 신문 빌트와의 인터뷰에서 "그 누구도 장기적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브렉시트가 EU 뿐만 아니라 전체 서방 정치 문명 종말의 서막이 될까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표했다.  

출처:http://www.ekn.kr/news/article.html?no=222515

 

--------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움직임 찬반투표 - 브렉시트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는


1. 브렉시트 소개


2. 브렉시트 이유


3. 브렉시트 문제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브렉시트 소개


brexit-GBP-exchange-rates.jpg


브렉시트(Brexit)란 영국(Britain)과 


탈퇴(Exit)의 합성어로








유럽연합_20150828_세계.jpg


유럽연합 28개국 중 하나인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의미하는 말이라고 해. (2015)








20160406_연합뉴스.jpg


브렉시트는 2012년 유로존 경제위기로 


유럽연합과 영국의 갈등이 생기면서 대두된 이야기로 








여론조사.jpg


과거에는 유럽연합에 대한 


찬성-반대에서 끝났던 이야기가 (2015)








maxresdefault.jpg


국민투표로 까지 번지면서


일이 커지게 되었어. (2015)







경제비중.jpg

영국은 유럽연합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라 








분열.jpg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면 


유럽연합의 위상과 힘이 그만큼 축소되고 






연쇄반응우려.jpg

영국의 탈퇴로 주변국들이 영향을 받아 


연쇄 탈퇴를 할 수도 있어서 







견해_뉴시스.JPG

영국이 유럽연합을 진짜로 탈퇴할 경우


큰 파장을 만들 수 있다고 해. (2016) 








1. 브렉시트 소개 요약


1)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의미함. 


2) 유로존 경제위기로 유럽연합과 갈등이 생기면서 대두되었음. 


3) 국민투표로 까지 번져서 일이 커지게 되었음. 








2. 브렉시트 이유


이민_20160519_서울경제.jpg
브렉시트 주요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핵심은 이민과 외국인노동자 문제로 (2016)







20151223_세계.jpg
시리아 내전으로 유럽으로 오는 난민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는데 (2015) 







20150910_조선.jpg

영국은 런던 시장이 무슬림일 정도로 

이주자가 너무 많아서 (2015)







20160128_한국일보.jpg

이민 문제에 있어서 독일과 반대되는 입장이야. (2016)







분담금_20160309_경향.jpg
(104억 유로 = 대략 13조원)

그다음 브렉시트 이유는 유럽연합 

분담금에 대한 불만으로 (2016)







20130211_한국경제.jpg
(EU 예산은 주로 저개발 회원국에게 지원됨.) 

영국이 EU 분담금의 13%를 내는데

정작 자기들에겐 별 도움이 안 되니깐 (2013)







20121214_한경.jpg

유럽연합을 탈퇴해서 분담금을 아끼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해. (2011)







유럽연합법.JPG

그다음 이유는 유럽연합 법과 제도 문제로 







mohr-europe-law.jpg

유럽연합의 법률은 

회원국의 법률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데 







20080901_동아.JPG

영국은 신자유주의적인 성향이 있고

유럽연합은 좌파적인 성향이 강해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어. (2008) 







2. 브렉시트 이유 요약


1) 이민 정책에 대해 영국은 독일과 반대되는 입장임.


2) 영국은 유럽연합 분담금을 부담스러워 하고 있음. 


3) 유럽연합의 법률이 영국이 추구하는 것과 반대되고 있음. 








3. 브렉시트 문제점


협상안_20160221_서울경제.jpg


영국이 유럽연합을 떠난다고 하니깐 


유럽연합은 부랴부랴 좋은 조건을 내걸어서 (2016.02)








영국이익_20160221_한국경제.jpg

영국은 이민자를 통제할 권리와 


유럽연합 법률과 따로 놀 권리를 얻었고







영국양아치.JPG


유럽연합 내에서


특별한 지위를 누리게 되었어. ㅋㅋ 








여론조사_20160527_연합.jpg


그 덕분에 유럽연합 탈퇴를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져서 (2016.05)








투표_20160531_이투데이.jpg


탈퇴를 안 할 것 같기는 한데,


뭐 확실한 것은 투표해봐야 알 것 같아. 








탈퇴시_20160520_연합.jpg


만약 영국의 국민투표가 탈퇴일 경우 


영국과 유럽 경제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2016)








경제_20160527_중앙.jpg


영국은 무역, 환율, 물가, 고용 등등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을 것이고 (2016) 








주변국피해_20160327_파이넨셜.jpg

다른 유럽연합 회원국들도 


피해를 볼 것이라고 해. (2016)








수출입_20160223_매경.jpg

영국은 수출입의 50%를 


유럽연합과 하고 있으니깐 (2015) 








쟁점_20160524_조선.jpg


이해득실을 잘 따져보고 


현명하게 결정해야 하고 (2016)







cartoon_cake_vote_leave.jpg

유럽연합 회원국으로 활동하면서


영국의 입지가 좁아지고 








Brexit-11-650.jpg


유럽의 분위기가 안 좋아서 탈출하고 싶다지만


지금 나가는 것은 도의적으로 옳지 않은 것 같아. 








영국이익_20160221_한국경제.jpg


또 이번 사태로 분담금 문제을 제외한 


나머지는 다 얻었으니 (2016.02) 








영국.JPG


영국은 유럽연합에 남아줄 것으로 생각해. ㅎㅎ 







3. 브렉시트 문제점 요약


1) 영국과 유럽연합이 협상을 해서 영국이 특별지위를 얻었음. 


2) 영국이 많은 권리를 받아서 탈퇴를 안할 것으로 기대함. 


3) 탈퇴하면 영국과 유럽 경제에 큰 타격이 될 전망임. 

 

출처: http://annejunghwanlittle.tistory.com/3

--------

그리스 국민투표 후 유로존 탈퇴 가능성


 그리스 국민투표가 압도적 반대로 결론나면서 긴축 거부에 따른 디폴트 


 선언은 기정사실화된 상황입니다. 문제는 그리스에게만 책임이 있지 않아 


 그리스의 이런 행동이 거의 전적인 책임을 요함에도 불구하고 설득력을 


 얻고 있으며, 회원국의 유로존 탈퇴는 지금까지 있지 않았던 사건인 만큼 


 시장의 불확실성을 다시 높여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스 부채 문제는 상당히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1980년대까지 


 그리스는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던 국가였고, 


 천혜의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관광산업 발달과 천문학적으로 


 많은 섬들을 잇는 해운업, 그리고 해운업을 뒷받침하는 조선업이 발달해 


 유럽내에서도 손꼽히는 경제강국이었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 


 복지 지출을 늘리고 과도한 국가부채를 소모성 정책에 투입하면서 


 국가부채가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 들어 정치인들의 무능과 


 포퓰리즘의 단맛에 그리스 국민들이 투표권을 행사하면서 국가부채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게 되었습니다. 거기다 아테네올림픽 개최를 위해 


 대규모 차입을 시도하였고, 이를 저리에 조달하기 위해 유로존 가입을 


 진행하면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습니다. 그렇게 재정상태가 


 악화되던 상황에서 미국발 금융위기로 주력산업이 위기를 맞게 되고, 


 그리스가 스스로 자초해 일어난 유럽재정위기가 결정타를 날려 디폴트는 


 피할 수 없게 되었고, 그렉시트도 선택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그리스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그리스 국민성이 낮거나 그리스 정부가 


 무능하거나 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그렇게 따지면 선진국 중 상당수의 


 국가는 동반 몰락의 길을 걸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이유는 통화의 


 유연성 때문입니다. 그리스의 경우 유로존 가입 이후 유로화를 쓰면서 


 경제상황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고평가된 통화를 사용하게 되었고, 가입 


 당시 유로화 강세로 어려움을 겪던 독일, 프랑스 등이 유로화 평가절하를 


 유도하기 위해 그리스를 끌어 들이면서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유로존 가입 이후 간편화된 통관 절차를 통해 


 유럽 각지의 여행객들이 그리스로 몰려들었고, 고평가 통화를 쓰면서 


 구매력이 증가해 소비가 늘어나고 자산가격이 상승하는 등 그리스는 


 호황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주력 산업의 경쟁력 약화 등이 환율 


 상황으로 보완되지 않으면서 망가지기 시작했는데, 자정작용의 실종은 


 서서히 그리스 경제를 좀먹기 시작하였습니다.



 물론 그리스와 유럽 채권국들이 합의를 통해 그리스가 영국, 덴마크, 


 스웨덴 등 유럽연합 소속이면서도 유로화를 쓰지 않는 국가처럼 


 구제금융 재협상에 나서면서 드라크마화로 전환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혼란은 최소화 될 수 있고, 그리스도 환율 


 자정작용을 되찾아 경제위기 재발 가능성을 낮춤과 동시에 낮은 


 환율로 인해 관광객이 증가하고 해운, 조선업이 경쟁력을 회복하여 


 경제가 복구될 수 있으며, 드라크마 평가 절하에 따라 그리스 국내에서 


 고도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자연스럽게 빚을 진 쪽이 유리하게 되어 


 부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피해를 보는 것은 사실상 


 준전시 상황이 되는 그리스에 사는 국민들과 그리스에 돈을 빌려준 


 유럽 채권국인데, 유럽 채권국들은 그리스 문제가 조용히 끝나 얻을 수 


 있는 안정을 고려할 때 크게 손해보는 장사는 아닌 듯 합니다. 그러나 


 그리스 국민들은 극심한 기아를 겪을 가능성이 크고, 이 과정에서 


 회복할 수 없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만연해 소수의 부자들이 경제력을 


 독식하며 나머지 국민들을 노예로 부리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서 


 대다수 그리스 국민들의 고통은 당장 끝날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화폐통합만으로 이루어진 유로존을 재정통합과 정치통합을 


 통해 완벽한 하나의 국가로 만들어가는 해결책이 있는데, 사실상


 소설속에서나 등장할법한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정치적으로 통일을 


 이뤄낸 사례는 이탈리아의 독립 운동밖에 없으며, 이는 어느 한쪽이 


 모든걸 다 놓아야 할 정도로 양보에 양보를 거듭해야만 가능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유로존은 화폐통합에 일부 재정 통합으로 가는 발전이 있겠지만, 


 정치통합까지는 불가능한 영역이며, 만약 가능하다고 해도 수백년이 


 걸릴 문제라서 지금 생각할 필요가 없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유로존의 


 결속 강화와 재정 통합 등으로 해결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당분간 


 그리스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불확실성은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사태의 책임은 모두 그리스에게 있지만, 그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잘못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남유럽 재정위기 당시 문제가 


 되었던 국가들은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였는데, 획일적으로 


 긴축 정책을 적용한데다가 그리스처럼 경제 기초체력이 취약한 국가들은 


 긴축을 통한 지출 삭감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을 간과해 무리한 


 구제금융 프로그램을 강요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늘 긴축 과정에서 


 투기자본의 약탈적 자산취득이 있는데, 위기 극복 후 천문학적인 수익을 


 챙겨가기 때문에 IMF 배후에는 대형투자은행들이 있다는 말까지 공공연한 


 사실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IMF는 국제투기자본의 수구노릇을 한다는 


 비판과 본연의 기능인 개발도상국의 재정위기를 관리하지 않고, 이미 


 선진국 반열에 오른 그리스 문제에 매달리는 것은 가뜩이나 나쁜 이미지에 


 더 먹칠을 하는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리스 문제는 수십년간 누적된 문제가 터져버린 것으로 IMF가 


 일방적으로 잘못했거나 유럽 국가들이 그리스를 고통으로 몰아넣고 


 수혜를 입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결국 문제의 근원은 방만한 


 재정운영을 한 그리스에게 있고, 유로화로 인해 통화정책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문제가 심각해졌으며, 유로존 가입 초기 높은 신용도에 


 편승하면서 쉽게 빚을 쓰게 되는 상황이 더해져 지금의 문제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시적 문제라고 하기 어렵고, 이미 국가부채가 


 한계에 봉착한 만큼 파산 외에는 해결 방법이 없는 지경입니다. 만약 


 그리스가 산업이 발달한 국가였다면 긴축을 통해 씀씀이를 줄이고 


 세수를 확보해 빚을 갚아나갈 수 있지만, 지금 상황에서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리셋 버튼을 누를 수 밖에 없는 형국입니다.



 그래서 그리스인들 사이에서는 긴축안 찬성을 해도 망하고 반대해도 


 망하는데, 찬성은 천천히 망하고 반대는 빨리 망하고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반대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온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세대간 갈등도 반대표를 늘리는데 기여했는데, 그동안 그리스가 방만한 


 재정운영을 하는 동안 장년층들은 20년간 북지혜택을 누렸고 유로존 


 가입 이후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을 만끽했으며, 그렇게 얻은 수혜를 


 사회에 기여하지 않고 탈세 등을 통해 제 배를 채우기 급급했습니다. 


 반면 긴축을 통해 세부담을 늘리게 되면 수혜를 받은 장년층보다 지난 


 5년간 긴축을 통해 극심한 고통을 당하고 50%가 넘는 살인적 실업률에 


 장년층들의 은퇴 거부가 더해져 희망을 잃은 청년층이 짊어져야 할 


 무게가 커 당연히 반발심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사회통합이 잘 되어 


 있었다면 문제가 없었겠지만, 이미 계층, 세대간 갈등이 매우 심각해 


 이를 치유할만한 구심점을 찾는 것은 불가능해, 결국 망하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이 역시도 세대간 갈등은 일부 원인일 뿐, 사회 전반적인 도덕적 


 해이가 바탕이 된 부분과 어차피 파산이라는 자포자기식 심정까지 


 더해져 나온 것이니, 결국 그리스 사람들은 어차피 잃을 것이 없다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산 이후에는 괜찮아질 가능성이 높은데, 


 그 이유가 대부분의 부채가 해외에서 끌어온 것이기 때문에 파산 후 


 다시 시작할때 그리스 정부가 민간에 진 빚은 거의 없으며, 드라크마화를 


 도입 후 기아 상태를 거쳐 정상화 된 다음 저환율로 인한 관광객 유입 


 등 경제가 살아나게 되면 그리스 정부의 부채는 거의 남지 않아 탄력적인 


 재정정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재정투입이 경제성장률을 


 높이고, 높은 경제성장률이 세수확보에 기여하며, 드라크마화를 커지는 


 경제규모에 맞게 발권을 하게 되면 거품이 한계에 봉착할때까지 다시 


 경제성장을 구가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그리스가 알려진 것과 달리 심각하게 복지비 지출을 한 것은 


 아닙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20%대의 높은 간접세를 매기는 유럽 각국과 


 달리 주요 산업에 13% 수준의 할인세율을 적용하고, 탈세가 만연해 


 실제 경제규모에 비해 거두어 들이는 세수가 적었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그리스인들이 게으르다고 정평이 나 있지만, 연평균 근로시간은 


 상위권에 포진하고 있어 시스템의 문제, 일이 필요한 곳에 고용이 되지 


 않은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국가재정을 


 소모성인 복지, 연금 등에 지출한 비율이 늘어난 것은 투자를 통해 더 


 큰 부가가치 창출을 해야 하는 부분이 미흡했고, 전반적으로 효율성이 


 낮은 재정집행을 했다고 볼 수 있어 이 문제는 완전히 다 털고 난 다음 


 고쳐나가면 될 것 같습니다.



 결국 그리스는 부채를 갚는 방법 중 하나인 긴축 문제로도 해결이 


 불가능한 엄청난 부채 규모이고, 인플레이션을 유도해 통화가치를 


 떨어뜨려 간접적으로 빚을 갚는 것도 통합화폐 내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파산으로 부채를 해결하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유럽 


 채권국들이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한다면 다시 긴축으로 갈 수 있지만, 


 그리스 정부가 씀씀이를 줄인다고 해서 해결될 수준의 부채가 아니기 


 때문에 결국 부채를 몽땅 탕감해주고 드라크마화로 복귀한 다음 

 

 유럽연합에 잔존하는 방식이 그리스 입장에서는 가장 괜찮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그리스가 파산 경험만 5번이나 있고, 그때마다 


 배째라 시전으로 위기를 넘겨왔던 만큼 이번에도 비슷한 과정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고, 시장에 영향을 가장 적게 주는 것은 그리스가 


 구제금융 협상을 통해 다시 긴축으로 가는 것이지만 해결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크고 그리스 국민들이 고통분담을 거부하기 때문에 결국 유럽 


 채권국들이 부채를 다시 탕감해주지 않는다면 유로존을 탈퇴하는 


 방향으로 갈 듯 합니다. 그래서 7월 20일 이전 부채 탕감과 긴축 강도 


 완화로 협상하지 않는다면 그리스는 유로존을 탈퇴하게 될 것이고, 


 시장은 지금까지 없던 경우를 맞딱드리게 되니 혼란이 불가피해 아주 


 부정적인 전개가 진행될 듯 하니, 7월 20일 이전 재협상에 성공해 조용히 


 넘어가는 쪽으로 바라는 방법밖에 없을 듯 합니다. 

 

출처:http://cafe.daum.net/tkdska3/PUwd/73?q=%BF%B5%B1%B9%20%C0%AF%B7%CE%C1%B8%20%C5%BB%C5%F0 

-----

 

[‘EU 탈퇴’ 투표 앞둔 영국]“유럽, 분열된 ‘신중세 시대’로…EU, 중앙 권한 줄이고 개별 기구 강화를

ㆍ얀 지엘론카 옥스퍼드대 교수 인터뷰

영국과 유럽연합(EU)의 운명을 결정지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가 23일 실시된다. 국내에도 출간된 <유럽연합의 종말> 저자인 얀 지엘론카 영국 옥스퍼드대 유럽정치학 교수(사진)에게 e메일 인터뷰를 통해 브렉시트의 배경과 EU의 한계 등에 대해 들어봤다. 그는 영국뿐 아니라 EU 각국을 휩쓰는 회의론을 지적하면서, “유럽 통합을 지지하는 이들이 자유롭게 EU의 문제점을 논의하고 ‘플랜B’를 찾아야만 지금의 위기를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서에서 주로 EU의 힘 없는 국가들이 처한 위기를 지적했는데, EU 핵심국 중 하나인 영국이 탈퇴를 고려하게 된 이유는.

“2014년 책을 쓸 때만 하더라도 영국은 독일이나 그리스만큼 EU 문제에 관심이 많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에는 공용 화폐와 국경통제 같은 통합 정책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EU 위기는 영국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EU 내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한 솅겐조약과 유로화가 실패로 돌아갔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여러 회원국에서 통합 회의론이 일었다. 차이가 있다면 다른 나라들은 국민투표의 기회를 갖지 못했다는 것뿐이다.”

-브렉시트로 영국이 얻는 이익은.

“전혀 없다.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등의 노동자들이 영국에 들어오기 힘들어질 것이다. 영국은 값싼 노동력을 잃을 것이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노동자층을 프랑스 파리나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빼앗길 것이다. 평범한 영국 국민들은 EU가 보장하는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지 못하게 될 것이다. 반면 EU에 남는다면 영국은 EU 조약을 조정할 기회를 갖게 된다. EU에 속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이득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영국 내 포퓰리즘 바람을 잠재울 동력이 될 것이다.”

-국민투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변수는.

“부동층도 많지만, 지금 마음을 정했더라도 선거 당일 마음이 바뀔 수 있다. 투표 당일의 날씨도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유럽의 미래가 이런 작은 변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니, 매우 불행한 일이다.”

지엘론카 교수는 유럽에 “다국적기업과 도시국가 등 여러 이슈로 분열되는 ‘신중세주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유럽 안팎의 다름을 포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다국적 네트워크들이 유기적으로 유럽인들을 연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EU가 풀어야 할 숙제는.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고 기능을 다듬어야 한다. 힘 있는 회원국과 약소국 간의 차이를 줄여나가야 한다. 지난해 7월 그렉시트(그리스의 EU 탈퇴) 국민투표, 지난 4월 EU-우크라이나 협력협정에 반대하는 네덜란드 국민투표에 이어 지금은 영국 브렉시트 투표가 EU를 흔들고 있다. 한 나라가 국민투표만으로 EU 전체의 운명을 결정하게 만들면 안 된다. 그런데 지금 EU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데도, 정작 연합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불만을 얘기할 수가 없다. 말을 꺼내는 순간 EU 회의론자들을 돕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의론자들은 EU 개혁에는 관심이 없으며, 그저 EU를 무너뜨리고 싶어할 뿐이다. EU 지지자들이 자유롭게 체제의 결점을 논하고 플랜B를 찾는 것만이 유럽을 구할 수 있는 길이다.”

-EU가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을 꼽는다면.

 

“국경을 초월해 기능적인 통합을 할 수 있는 기구, 즉 통합을 위한 초국가적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직업 훈련, 식품 안전, 국경 통제, 사법 협력 등 분야별 기구들의 영향력을 높이고, EU 중앙의 권한은 약화돼야 한다. ‘모두에게 맞는 한 가지 정책’을 만들기보다는 다양한 나라들의 환경에 맞게 기능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강한 유럽 기구를 거느린 긴밀한 연합을 만들겠다는 야심은 포기하고 신중세시대에 맞춰 다양성과 복수성(複數性), 탈중심주의를 포용해야 한다.”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6141603001&code=970205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맞벌이 평균소득 200만원 늘어도 연금·세금·교육비로 80% 지출
비맞벌이는 50% 지출 증가 그쳐… 소득격차 늘고 흑자 격차는 줄어

결혼 5년차인 김모(36)씨 부부는 매월 30만원씩 부어 오던 주식형 펀드를 지난주 깨야 했다. 생활이 너무 빠듯해졌기 때문이다. 맞벌이인 두 사람은 합쳐서 월 800만원을 번다. 여기에서 소득세와 국민연금, 대출이자로 150여만원이 빠지고, 두 자녀를 돌봐 주는 부모님에게 양육비로 150만원을 드린다. 연금·실손의료 등 사보험료 50만원과 저축액 150만원을 빼면 두 사람의 통장에 남는 것은 300만원 정도다. 김씨는 “봄부터 아이들을 발레학원과 수영학원에 보내면서 통장 잔고가 줄곧 마이너스를 보였다. 저축을 줄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가정의 수입과 지출을 분석한 결과 부부가 함께 돈을 버는 집이 그렇지 않은 집보다 수입이 더 많이 증가했지만, 지출도 그에 못지않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쓰고 남는 돈의 상대적 격차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이서 벌지만 남는 것은 없다”는 맞벌이 부부의 ‘빛 좋은 개살구’ 푸념이 실제 최근 10년간의 통계에서 입증된 것이다.

13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맞벌이 부부의 월평균 소득은 2006년 1분기 368만 2028원에서 올 1분기 592만 6611원으로 10년 새 61.0%가 늘었다. 반면 비(非)맞벌이 가구의 평균 소득은 같은 기간 270만 7823원에서 377만 8255원으로 39.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맞벌이 가구와 비맞벌이 가구의 소득격차는 2006년 1분기 1.36배에서 올 1분기 1.57배로 더욱 크게 벌어졌다.

그러나 같은 기간 ‘흑자액’(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액을 뺀 것)의 증가폭은 비맞벌이 쪽이 더 컸다. 맞벌이의 평균 흑자액은 2006년 1분기 80만 9418원에서 올해 1분기 159만 7743원으로 97.4% 늘어난 반면 비맞벌이 가구의 흑자액은 33만 7663원에서 71만 5878원으로 112% 증가했다. 이에 따라 맞벌이 가구와 비맞벌이 가구의 흑자액 격차는 2006년 1분기 1.4배에서 올 1분기 1.2배로 줄어들었다.

10년 동안 200만원 넘게 늘어난 맞벌이 부부 소득의 상당액은 ‘비소비지출’(세금, 국민연금, 대출이자 등 고정비용)과 교육비에 주로 쓰인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비맞벌이 부부의 비소비지출이 10년 동안 50.0% 증가하는 동안 맞벌이 부부의 비소비지출은 79.6%나 늘었다. 같은 기간 맞벌이 부부는 사교육비 증가 등의 이유로 교육비 지출을 30.3% 늘렸으나 비맞벌이의 교육비 지출 증가율은 3분의1 수준인 10.6%에 머물렀다.

이상건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상무는 “주택 구입에 쓴 대출금과 교육비라는 고정비가 증가하면서 맞벌이는 더이상 여윳돈과 생활안정을 보장해 주지 못한다”면서 “부부 한쪽의 소득이 없어질 때에 대비해 재무 설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출처: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614020009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국토부 '철도차량산업 육성방안 공청회' 개최… 2018년 세종에 종합시험선로 만들어

 

하이퍼루프원 시험주행 모습./사진='월스트리트저널' 영상 캡처
하이퍼루프원 시험주행 모습./사진='월스트리트저널' 영상 캡처
정부가 하이퍼루프(hyperloop) 등 초고속열차 연구개발(R&D)을 집중 지원하며 육성에 나선다. 평균 시속 1200km의 하이퍼루프가 상용화될 경우 서울에서 부산을 16분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오는 15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서울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철도차량산업 육성방안'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청회에서는 연간 140조원에 달하는 세계 철도차량시장에 적극 진출하기 위한 8개 분야의 육성방안이 제시되고 전문가 토론이 이어진다"고 말했다.

육성방안의 주요내용은 △제작사의 차종별 특화 육성 △신호시스템 및 부품산업 집중 육성 △부품 공급망 구축 △글로벌 분업·협업체계구축 △선도형 연구개발 추진 △철도차량 애프터마켓 조성 △해외 수주 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제도 정비 등이다.

우선 첨단기술·전문인력·대자본 등이 요구되는 고속차량은 국가 연구개발 사업 등을 통해 세계 5대 고속차량제작사를 육성(현재 7위 수준)하고 일정 기술·자본 등이 있으면 시장 진입이 가능한 전동차의 경우 중견·중소기업 등의 참여를 유도한다.

현지생산 요구 등 글로벌 시장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해외생산거점을 확충하고 해외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확대한다.

안전이 확보된 범위 내에서 철도안전법상 형식승인 등 절차를 간소화해 철도차량 제작 인·허가 기간을 절반 수준(129개 항목 승인, 2~3년 소요→안전 중심 100개 항목 승인, 1~2년 소요)으로 줄인다.

그동안 철도신호시스템은 해외기술 의존도가 가장 크고 낙후된 분야였으나 앞으로는 LTE 통신방식을 활용한 첨단 '한국형 신호시스템(KRTCS)'를 개발·상용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철도차량과 신호시스템 '패키지형 해외수출'을 추진한다.

철도부품 강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중소기업 적합 부품 아이템을 발굴,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한다. 철도차량 부품 특화단지를 검토해 부품구매-조달-생산 등 집적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철도차량산업 중심지로 육성한다.

스마트철도·초고속철도·핵심부품 등 3대 핵심 연구개발 사업을 집중 지원해 차세대 세계 철도시장을 선도한다. 연구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소요기간을 절반 수준(10~15년→7~8년)으로 단축한다.

초고속철도는 시속 600km 이상 철도로 진공튜브형(하이퍼루프), 자기부상형, 융합레일형 등이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초고속열차 연구개발 지원 대상으로 하이퍼루프가 될지, 자기부상형이 될지 정해지지 않았다"며 "철도사업 환경 변화를 고려, 대상을 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개발 성과물의 성능·신뢰성 검증과 국내인증 등을 위해 철도종합시험선로를 구축·운영한다. 시험선로(13km)는 세종시에 들어서며 2018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70조원 규모의 세계 철도차량 정비시장 진출을 위해 철도차량 정비업체 등록제, 정비사 국가자격제를 도입해 전문업종으로 육성한다. 노후차량의 개조·개량, 관광·이벤트 등 특수목적 차량 등의 리모델링을 허용하고 해외시장 진출·추진 등 철도안전과 산업활성화를 동시에 확보한다.

철도 전문인력 양성·일자리 창출을 위해 2020년까지 △석·박사급 인력 500여명 배출 △전문국가자격 보유자 1만여명 양성 △철도인력 5만여명 고용창출 등 '5·1·5 철도고용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차별 없는 세상으로" 부산 차별철폐대행진 출발

노동·시민단체 주축 지역 곳곳 누비며 최저임금 인상 등 촉구

 

 

기사 관련 사진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지역 내 15개 노동·시민단체들은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는 2015 부산 차별철폐대행진을 16일부터 18일까지 벌인다. 16일 오후 대행진 발대식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부산 지역 노동·시민단체들이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위한 차별 철폐 대행진에 나섰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등 15개 참가단체는 16일 오후 생탁과 택시 노동자의 고공농성이 벌어지고 있는 부산시청 광장에서 발대식을 열고 오는 18일까지 부산 지역에서 2015 차별 철폐 대행진을 벌인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참가자들은 부산시의 노동 정책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들은 "F 학점 서병수 시장에 기대할 것은 없다"면서 "서 시장은 오로지 비정규직을 늘리는 것으로 겉보기식 고용률을 올리는 것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부산지역 노동자, 서민이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면서 부산시에 바라는 요구안을 발표했다.

이들이 밝힌 요구안에는 최저임금 1만 원 인상과 비정규직 차별 철폐 외에도 공단 지역에 대한 부산지방 고용노동청의 특별근로감독 시행, 이주노동자 인권 보호, 장애인 등급제 폐지 등의 요구가 함께 들어갔다.

대행진 참가단체들은 발대식 이후 서면까지 행진을 한 데 이어 지역 20여 곳에서 최저임금 인상 서명운동과 캠페인에 나섰다. 17일에는 최저임금 인상을 위한 출근길 선전전을 벌이고, 기자회견과 녹산공단에서 차별철폐 대행진을 이어간다. 이날 저녁에는 부산시청에서 고공농성 승리를 위한 문화제도 개최한다.

대행진의 마지막 날이 18일에는 해운대에서 출발해 부산지역 4개 구청을 거쳐 부산시청까지 행진하며 비정규직의 정규화와 최저임금 인상을 외칠 예정이다. 마지막 저녁 역시 고공 농성장에서는 차별철폐 문화제가 펼쳐진다.

김재하 민주노총 부산본부장은 대행진 발대식에서 "지금 이 시대는 99%가 차별을 받는 것 같다"면서 "이 땅에 차별이 없는 세상이 오는 그 날까지 다 함께 손을 잡고 나아가자"고 호소했다.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19073&CMPT_CD=P0001

 

----------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는 지난 2002년부터 이어져온 부산 차별철폐 대행진을 내일부터 3일 동안 벌입니다.

민노총 부산본부는 내일 오전 7시 30분 서면로터리에서 주한미군 생화학무기 실험장 부산설치 반대 캠페인을 시작으로 ‘2016 부산 차별 철폐대행진’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부산본부는 선포식에 이어 최저임금 1만원 인상을 위한 1만미터 걷기대회를 부산시청 광장에서 부산역까지 이어가는 것으로 첫날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이튿날에는 보건소 비정규직 부당해고 철회와 원직복직 촉구 집회, 풍산 정리해고 투쟁 승리 수요 집회를 이어가며, 마지막날에는 부산지하철 비정규직 고용 전국 1등 축하 기자회견을 부산시청 광장에서 가질 예정입니다. 

 

출처: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5076

 

-------------

 

부산 시민사회단체들 “차별 철폐 대행진”

 

“장애인·비정규직 등 사람답게”
16~18일 곳곳서 문화제 등 진행
부산의 시민사회단체들이 16~18일 부산 곳곳에서 ‘2015 부산 차별 철폐 대행진’을 연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부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등 15개 시민사회단체들은 16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차별 철폐 대행진 발대식을 열어 “장애인, 노동자, 서민이 사람답게 살기 위한 세상을 만들고자 한다. 정의로운 분배를 보장받을 권리, 비정규직 없는 세상에서 살 권리,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저임금 1만원을 위해 차별 철폐 대행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날 부산시청에서 부산진구 부전동 쥬디스태화까지 3.1㎞ 구간에서 거리행진을 하고, 저녁 7시부터 부산 시내 20곳에서 최저임금 1만원 쟁취 500만명 서명운동을 했다. 17일엔 오전 10시부터 연제구의 고용노동부 부산고용노동청에서 부산 녹산·정관 공단의 고용노동부 특별근로감독 촉구 기자회견을 한 뒤 낮부터 오후까지 강서구 녹산공단에서 노동자 차별 철폐 대행진과 르노삼성자동차 부당해고 규탄 대회를 한다. 이어 저녁 7시30분 부산시청 광장에서 고공농성, 풍산 투쟁 승리를 위한 연대 문화제를 진행한다.

18일엔 오전 10시 부산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을 출발해 부산시청 광장 앞에 도착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기원 자전거 대행진’을 벌인 뒤, 저녁 7시30분 부산시청 광장에서 ‘차별과 비정규직 없는 부산 만들기! 장그래에게 희망을!’ 차별 철폐 문화제를 연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의 차별 등 사회적 약자의 차별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추세다. 정부와 부산시는 사회적 약자들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라. 보여주기식 정책으로 말만 앞세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마련해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출처: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696317.html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소형 서비스업도 전기료 깎아준다

정부, 전력요금 구조 개편案 

정부가 전력 소비량이 적은 소형 서비스업 사업장에 일반용보다 싼 산업용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 방안이 실현되면 매월 299kW가량의 전기를 쓰는 서비스업체의 월 전기료는 212만 원에서 191만 원으로 21만 원(10%)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3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런 내용의 서비스업 공공요금 차별 개선 방안을 마련해 이달 말 발표할 서비스 경제 발전 전략에 반영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공공요금 체계에 남아있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차별을 없애는 차원에서 일부 소규모 서비스업에 부과하는 비싼 전기요금을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13년 7월에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서 공공요금의 서비스업 차별을 폐지하기로 하고, 월 계약전력(소비업체가 한국전력에서 공급받기로 계약한 전력량) 300kW 이상인 대형 업체에 대해 서비스업에 적용되는 일반용과 제조업에 적용되는 산업용의 요금 차이를 없앴다.  

하지만 계약전력 300kW 미만인 소형 서비스업 사업장에는 여전히 차등적으로 요금을 매기고 있다. 저압전력(갑I) 기준으로 1kW당 기본요금은 △일반용 6160원 △산업용 5550원으로 서비스업체가 제조업체보다 10%가량 비싼 요금을 내고 있다. 기재부는 앞으로 300kW 미만 업체에 대해서도 전기요금 차별을 없애기로 방침을 세우고 산업부 등과 막바지 조율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공업화를 통한 경제발전을 목적으로 1973년부터 산업용 요금제를 도입해 전기를 대량으로 쓰는 광업 및 제조업에 대해 전기요금을 깎아주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업은 과소비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주택용보다 비싼 일반용 요금을 부과했다.

주택용에 대해선 서민 지원 및 전력 소비 억제를 이유로 사용량에 따라 1kWh당 기본요금 격차를 최대 31배(410∼1만2940원)까지 두는 누진제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상복합 등 전력 소비가 많은 가정은 ‘요금폭탄’을 맞지만 소비량이 적은 서민이라면 산업용의 10% 수준에 불과한 요금을 내고 있다. 한전에 따르면 국내 전기요금은 1kWh당 평균 111.28원으로 일본(209원) 프랑스(157.79원) 영국(200.62원) 등 선진국보다 상대적으로 싸다.

일각에서는 한전이 지난해 11조 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만큼 모든 요금제를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산업부 등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 국가 전력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신산업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점을 들어 전기요금 전체를 낮추는 건 반대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보면 용도별 요금 할인제를 전반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지만 투자 재원 확보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쉽게 처리할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전기요금 외에도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별받는 세금 제도, 연구개발(R&D) 예산 등에 대해서도 제한을 최대한 풀기로 했다. 정부는 제조업과 일부 관광업에 적용되는 △창업중소기업 소득·법인세 특별 감면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 등을 의료 분야 등으로 넓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추광호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본부장은 “세제, 공공요금 등에서 제조업은 모든 업종이 지원 대상인 반면 서비스업은 일일이 법, 약관 등에 명시를 해야 해 지원에 한계가 있다”며 “국회에 계류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의 통과로 서비스업 전반에 대한 지원책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http://news.donga.com/3/all/20160614/78645203/1

--------

정부, 전력요금 구조 개편案

 

정부가 전력 소비량이 적은 소형 서비스업 사업장에 일반용보다 싼 산업용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 방안이 실현되면 매월 299kW가량의 전기를 쓰는 서비스업체의 월 전기료는 212만 원에서 191만 원으로 21만 원(10%)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3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런 내용의 서비스업 공공요금 차별 개선 방안을 마련해 이달 말 발표할 서비스 경제 발전 전략에 반영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공공요금 체계에 남아있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차별을 없애는 차원에서 일부 소규모 서비스업에 부과하는 비싼 전기요금을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60614030421480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금융당국, 고정금리 대출 유도… 2010년 7%에서 작년 32%로 반대로 금리 계속 내려가기만

변동금리로 갈아타기 전에 중도상환 수수료 먼저 따져보고

일단 변동금리로 대출 받은후 금리 오르면 '고정' 갈아타도 돼

대기업에 다니는 40대 직장인 김모씨는 2013년 9월 집을 사면서 주택담보대출로 2억원을 빌렸다. 당시 은행 직원은 "앞으로 금리가 더 내려가긴 어려워 보이므로 변동금리 말고 고정금리로 받으시라"며 고정금리 대출을 권했다. 연 3.8%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은 김씨는 매월 63만원씩 이자를 내왔다. 그 사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5번이나 내렸고 은행의 대출 금리도 함께 미끄러졌다. 김씨는 "중도상환수수료가 아까워 대출을 안 갈아타고 버텨왔는데 이제는 정말 변동금리 대출로 바꿔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도대체 금리의 진정한 '바닥'은 어디인지 갈피가 안 잡힌다"고 말했다.

지난 9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한 뒤 은행 상담 창구엔 "대출을 갈아타야 하는 것 아니냐"는 고정금리 대출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과연 고정금리가 덜 위험한 대출인지, 갈아타기로 결심했다면 고려해야 할 변수는 무엇인지에 대한 대출자들의 혼란이 적지 않다.

◇고정금리 받으라더니 금리 계속 내리막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빠른 속도로 불어나자 금리 상승 시 이자 부담이 지나치게 늘어날 것을 우려해 고정금리 대출을 늘리라고 2012년부터 은행들에 권고해 왔다. '2016년 40%, 2017년 42.5%…' 같은 식으로 고정금리 대출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할지에 대한 목표치도 정해두었다. 은행들은 금융당국 지침에 따라 고정금리 대출을 많이 권유하고 변동금리를 고정금리 대출로 바꿀 경우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주면서 고정금리 대출을 많이 풀었다. 그 결과 지난해 새 대출의 절반 가까이가 고정금리 대출로 나갔고, 은행의 고정금리 대출 비율은 2010년 전체 대출의 7%에서 지난해 32%로 증가했다.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 총액은 574조원으로, 이 중 3분의 1 정도인 184조원이 고정금리 대출이다.

문제는 그사이 금리가 계속 내렸다는 것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미국 기준금리 인상도 천천히 진행되면서 은행 대출 금리는 지난 몇 년 동안 계속 미끄러졌다. 3년 전 평균 약 3.9%였던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9%(4월 기준)로 약 1%포인트 하락했다. 3년 전에 2억원을 연 3.9% 고정금리로 받은 대출자는 변동금리로 받은 대출자보다 매월 약 17만원을 더 내야 한다는 뜻이다. '당장 변동금리로 갈아타겠다'는 비명이 여기저기서 나옴 직하다.

◇"중도상환 수수료 먼저 따져보세요"

전문가들은 변동금리로 갈아타기 전에 먼저 중도상환 수수료를 따져봐야 한다고 말한다. 중도상환 수수료는 대출받은 지 3년이 되기 전에 돈을 갚으면 은행에 내야 하는 돈이다. 대출 원금의 1.2~1.5% 정도이고, 3년에 가까워질수록 하루 단위로 단계적으로 감소해 3년이 지나면 '0원'이 된다. KEB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정희수 개인금융팀장은 "변동금리 대출 전환으로 아낄 수 있는 이자 총액이 은행에 내야 하는 중도상환 수수료보다 많은지를 우선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금융당국이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통제하기 위해 신규 대출 조건을 보다 까다롭게 했다는 점도 '대출 리모델링'의 변수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출을 갈아타려고 하다가 더 깐깐해진 대출 심사 과정에서 원금 중 일부를 토해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갈아타도 같은 금액을 빌릴 수 있는지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신규 대출자는 '일단 변동금리'가 유리

새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은 셈법이 좀 더 복잡하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고정금리 권고 비율을 맞추려고 현재 고정금리 대출 금리를 많이 내려놓았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은행들이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떠안아야 하는 고정금리 대출이 변동금리보다 높아야 하는데, 지금은 반대다. 예컨대 현재 국민은행의 고정금리 대출 금리는 약 2.71%로 변동금리 대출(2.84%)보다 0.13%포인트 낮다. 주택담보대출은 보통 10년 넘는 긴 기간에 받으므로 이 정도 금리에 만족하고 고정금리 대출을 받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처럼 보인다.

그러나 신규 대출자의 경우 변동금리 대출을 받았다가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전략이 유리하다는 의견이 많다. 기준금리 인하가 변동금리에 반영되기까지 보통 2~3개월 정도 시차가 있어 변동금리가 더 내려갈 가능성이 있고, 은행들이 고정금리 대출을 유도하기 위해 변동금리를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탈 때는 중도상환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13/2016061302722.html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롯데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롯데그룹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해온 '정책본부'를 향해 화력(火力)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10일 기습적으로 실시된 검찰의 압수수색에 투입된 검사·수사관 240명 가운데 절반가량이 서울 소공동 롯데쇼핑센터 빌딩 24~26층(3개 층)을 쓰는 정책본부 압수수색에 동원됐다고 한다. 검찰은 롯데 정책본부에서 1t트럭 약 3대 분량의 자료를 갖고 나왔다. 검찰은 롯데 정책본부의 임원들은 물론 일반 사원들의 휴대폰도 일단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본부 압수수색은 11일 새벽까지 이어졌으며, 압수수색이 진행된 17곳 가운데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검찰 관계자는 "디지털 자료의 경우 우리는 백업을 받은 뒤 롯데에 돌려줘야 하기 때문에 13일까지 작업을 해야 한다"고 했다.

검찰은 정책본부 압수수색 현장에서 롯데가 내부적으로 전산 데이터를 이미 삭제하거나 하드 디스크 교체, 문서 파쇄 등 증거를 조직적으로 인멸한 정황도 확인했다고 한다. 검찰 관계자는 "다른 계열사보다 수사 대비가 가장 잘돼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검찰이 정책본부 수사에 중점을 두는 이유는 '롯데 오너 일가(一家)의 비리'를 규명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빈 그룹 회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정책본부에 대한 철저한 수사 없이는 오너 비리를 밝혀내기 쉽지 않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롯데 정책본부는 신동빈 회장의 직할 조직이다.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처럼 그룹의 비전을 제시하고 계열사 업무 전반을 관리하며 조율한다. 비서실 등 7개 실(室)과 부속 조직인 미래전략센터 산하에 임원 20여명 등 250여명이 근무하는 규모다.

정책본부는 신동빈 회장의 그룹 장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롯데는 2004년 10월 그룹 경영관리본부를 정책본부로 확대 개편했다. 초대 정책본부장에는 신동빈 당시 부회장이 임명됐다. 1981년 일본 노무라증권에 입사해 런던 지점에서 7년 근무한 뒤 1988년 일본 롯데상사에서 후계자 수업을 시작한 신 회장은 1990년 호남석유화학에 상무로 합류하며 국내 경영 참여를 본격화했다.

신 회장은 그룹 정책본부장 취임을 계기로 한국 롯데를 총괄하는 리더로서의 입지를 공식화했다. 그는 이후 6년여 동안 정책본부장으로 활동했고, 2011년 그룹 회장에 취임하며 이인원 부회장에게 정책본부장 자리를 넘겼다. 2004년 당시 36개 계열사, 매출 25조원으로 재계 7위(공기업 제외) 수준이던 롯데그룹은 현재 93개 계열사, 매출 83조원을 기록하며 5위로 도약했다. 이인원 부회장 등 정책본부 임원들은 신 회장의 측근 중 측근 그룹으로 분류된다. 검찰이 이 부회장 등 정책본부 임원들을 출국 금지하고 수사하는 것은 그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정책본부 조직 가운데 운영실은 그룹 전체의 경영 계획과 93개 계열사의 실적을 관리하기 때문에 핵심 부서로 불린다. 실적 평가 업무도 담당하기 때문에 각 계열사의 움직임까지 파악해야 한다.

또 검찰이 주목하는 곳은 지원팀이다. 그룹 재무와 법무를 담당하는 이른바 '금고지기'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비전실은 롯데가 최근 급성장한 배경인 기업 인수·합병(M&A)과 신규 사업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이 밖에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 회장을 보좌하는 비서실과 홍보·대관 및 사회공헌을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실, 인사실(인사·조직 관리), 개선실(감사 업무) 등이 있다. 재계 관계자는 "롯데그룹 내에서 벌어지는 계열사 간의 자금과 업무 흐름은 철저히 정책본부가 컨트롤하고 있다"며 "검찰도 결국 정책본부를 주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룹 컨트롤타워'는 검찰의 재벌 수사 때마다 핵심 타깃이 됐다. 2006년 대검 중수부의 현대차 비자금 수사 때는 현대차 기획총괄본부가 압수수색을 받았고, 2008년 삼성 비자금 사건 때는 삼성 전략기획실(구조조정본부)이 쑥대밭이 됐다. 검찰은 2011년 SK 수사, 2013 CJ수사 때는 회장 비서실을 압수수색했다.

출처: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13/2016061300245.html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 동남권 신공항 용역 결과 발표를 앞두고 '가덕도 신공항'을 염원하는 부산시민의 염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사진은 부산지역 시내버스 앞에 '동남권 신공항! 안전하고 24시간 운영 가능한 가덕도가 정답이다!'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린 모습. 강선배 기자 ksun@

 

국가발전을 위한 합리적인 신공항 입지 선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전방위로 불거지고 있다. 시민들은 용역 불공정성을 지적하며 거리로 나서고, 항공학자들은 안전을 얘기하며 양심을 걸고 나섰다. 마이스업계와 관광업계를 비롯한 관련 산업계는 생존권을 지적하며 절박한 요구를 이어가고 있다.

고정장애물 제외에 반발 거셀 듯  
시민단체 대표들 삭발·농성 돌입   

부산대 항공학과 교수회 성명서
"학자적 양심으로 밀양은 안 돼"  

마이스·관광업계도 '가덕' 촉구
"전 세계인 24시간 이용 가능해야"

■"신공항 용역 불공정성 고쳐라" 

14일 오후 부산 중구 광복동 옛 미화당백화점 앞 일대에서 열리는 '가덕신공항 쟁취 및 정부 불공정 용역 시정 규탄 시민 궐기대회'는 신공항 입지 선정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어져 집회 규모와 열기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부산민심'의 향방을 확인하는 자리라는 측면에서 정부와 정치권도 이날 집회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날 집회를 계기로 시민단체 대표들은 부산시청에서 무기한 농성에 들어갈 예정이다. 일부 대표는 삭발까지 하고, 서세욱 부산을가꾸는모임 대표는 단식농성을 시작하며 '가덕도 신공항'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천명키로 했다. 불공정 용역에 대한 사실상의 '불복'과 '저항'을 선언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민들은 용역에서 고정장애물 평가항목이 빠지고 항공학적 검토라는 비상식적인 기준이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 대해 분노하고 있다. 범시민운동본부 김희로 공동대표는 "신공항 추진 방향성도 설정하지 않고 직무를 유기해 오다시피 한 정부가 용역 과정상의 의혹을 제대로 해소하지 않고 비상식적인 결론을 도출한다면 부산지역의 반발은 고스란히 정부를 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학자들의 양심이 말한다" 

13일 긴급 성명을 발표하는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회는 단순히 밀양을 반대하고 가덕을 찬성하는 주장을 펼치는 게 아니다. 교수회는 전문가적인 식견에서 TK지역에서 주장하는 항공학적 검토의 문제점과 밀양 신공항 건설시 발생하는 안전 문제를 강하게 지적할 예정이다.

교수회는 특히 산악지형인 밀양에 공항을 지을 경우 산을 절토해야하는 부분에 대한 학자적인 입장을 개진할 예정이다. 밀양 후보지의 경우 12~27곳의 산봉우리가 절토돼야 한다고 하다가 현재 TK 측이 4곳만 절토해도 된다는 주장을 하는데 대해 교수회는 "항공기의 안전을 절대 담보할 수 없다"고 의문을 제기하기로 했다.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엄위섭 교수는 "대형 항공기가 이륙한 뒤 다음 항공기가 이륙하기 위해서는 기체로 인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공기흐름(와류)으로 대기 시간이 필요한데 와류가 없어지기까지 해상보다 산악지형이 훨씬 더 오래 걸려 안전성이 담보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공항엔 30만 밥줄도 걸려 있다" 

마이스업계와 관광업계도 국가 차원의 관광·마이스 산업 진흥을 위해 "밀양은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마이스산업의 가장 큰 기반시설인 국제공항은 전 세계 참가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공항이 되어야 한다는 것. 부가적으로는 이·착륙 안전성, 소음 원천 배제, 향후 확장성이 담보돼야 국제 이벤트의 원활한 유치가 가능하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부산시 관광협회는 '30만 회원 일동'이라는 명의의 성명서를 통해 "대한민국 관광산업의 꽃이라 불리는 '관광·마이스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세계적 국제이벤트의 원활한 유치 및 개최 등을 위해 반드시 가덕도를 동남권 신공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밝힐 예정이다. 부산의 경우 전국 외국인 방문객의 15.8%가 찾고 있어 경남(3.2%), 대구(1.6%), 경북(2.5%) 등에 비해 5배가 넘는 방문 비율을 보이고 있다는 수치도 가덕도 신공항 유치의 당위성으로 제시되고 있다.  

마이스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프라 부족 탓에 국내 관광·마이스 산업이 홍콩, 싱가포르는 물론 중국에도 뒤처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만약 밀양에 신공항이 들어서면 동남권 관광·마이스 산업은 궤멸적 타격을 입게 된다"고 우려했다.

 

출처: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613000082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