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225건
- 2016.08.17 한달 전기요금 12만원→32만원…'누진제 폭탄' 고지서에 '뜨악'
- 2016.08.12 국산 '컨테이너검색기' 상용화 눈앞 해외시장 진출 기대
- 2016.08.10 몸이 비밀번호? 조금 더 기다려!,생체인증 서비스
- 2016.08.10 “전기료 10배” 무서워 에어컨 못켜는데… “잘쓰면 된다”는 정부
- 2016.08.08 “저소득·고소득층 사이 연봉 7000만원대에 부담 집중”
- 2016.08.05 “건물주 돼보자”… 경매학원 젊은층 ‘북적’
- 2016.08.05 "中 사드 보복 시작?"…잘나가는 'K뷰티' 타깃될까 초긴장
- 2016.08.03 주거비부담·차별·외로움 3중고…1인가구는 서럽다,1인가구가늘어난다
- 2016.08.03 약발 떨어진 금연효과 2년만에 '稅대결' 불붙나,담배값인상 서민증세
- 2016.08.03 보험사의 '꼼수'…건강한 사람에게 비싼 유병자용 보험 가입 유도 ,보험사의꼼수
글
전달의 3배 요금폭탄 맞은 가정 "20% 할인 체감 안 돼"
"무더위 이달 말까지 지속해 내달도 걱정…추석도 쇄야 하는데"
'전기요금 폭탄'이 현실화됐다.
가정용 누진제로 인해 우려됐던 '전기요금 폭탄' 고지서가 일반 서민들 눈앞에 펼쳐졌다.
말로만 듣고 걱정했던 가정용 누진제 '위력'이 실제 가계부담으로 고스란히 전가돼 이달 말까지 납부해야 한다.
광주 서구 일반주택 사는 윤모(46)씨는 지난달 9일부터 이달 8일까지 사용한 전기요금을 휴대전화 문자로 고지받았다.
전달 전기료 12만원 가량을 납부한 윤씨는 이달엔 32만9천여원이 청구됐다.
자영업을 하는 윤씨는 전달에는 489kWh 사용해 12만5천원 가량 요금이 나왔으나 이달에는 3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전기 사용량은 두 배에 미치지 못했으나 누진제 때문에 요금은 3배가량 뛰어오른 것이다.
윤씨는 16일 "지난달 중순부터 열대야가 시작돼 에어컨을 하루 6∼8시간 틀었더니 요금이 이렇게 많이 나왔다"며
"매달 검침일이 9일인데 이달 10일 이후에도 에어컨을 풀로 가동하고 있어 내달에도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것 같다"고 걱정했다.
광주 일반주택에 거주하는 박모(50)씨도 전달에는 300kWh를 사용해 전기요금이 6만2천원가량 나왔는데 이달에는 500kWh 정도 사용해 전기요금이 12만원 가량 부과돼 두 배가량 증가했다.
박씨는 "정부에서 누진제 불만을 억누른다고 전기요금 20%를 할인해준다고 했는데 체감이 되지 않는다"며 "이달에는 여름 휴가비 등 가계지출도 많은데 전기요금까지 늘어나 가계부담이 이만저만 아니다"고 말했다.
일반 주택과 달리 12∼13일께 전기 사용량 검침을 한 뒤 20일 전후로 고지서가 각 가구에 전달되는 아파트 주민들도 걱정이 태산이다.
정모(43)씨는 "아이들이 방학이어서 더위를 이기지 못해 밤낮없이 에어컨을 틀었다"며 "무더위가 이달 말까지 지속한다고 해 다음달에도 전기요금이 20만∼30만원 가량 나올 것 같은데 빠듯한 살림살이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정씨는 "다음달에는 추석이 끼어 시댁과 친정에 용돈과 선물을 해야 하는데 서민들에겐 전기요금 폭탄 때문에 쪼들린 추석을 쇠어야 할 것 같다"고 걱정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60816092827006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나라살림 첫 400조 돌파…130조 ‘슈퍼 복지’ 전망 (0) | 2016.08.17 |
---|---|
"솜방망이 처벌…최저임금도 못받는 근로자 300만명" (0) | 2016.08.17 |
국산 '컨테이너검색기' 상용화 눈앞 해외시장 진출 기대 (0) | 2016.08.12 |
몸이 비밀번호? 조금 더 기다려!,생체인증 서비스 (0) | 2016.08.10 |
“전기료 10배” 무서워 에어컨 못켜는데… “잘쓰면 된다”는 정부 (0) | 2016.08.10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국산 기술로 개발된 항만용 컨테이너검색기가 곧 상용화 될 전망이다.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오던 이 장비가 상용화 될 경우 수입대체효과는 물론 세계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이 검색기의 상용화를 위해 최근 연구소기업인 ㈜아큐스캔을 설립하고 다음 달까지 상용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어 관세청이 지정하는 항만 부지에 이 검색기를 연말까지 설치를 끝낸 뒤 내년부터 본격 운용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 검색기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 기술'을 이용해 화물을 개장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 안에 내부의 물질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국내에는 전량 수입한 14대의 검색기가 부산항, 인천항 등 전국 주요 항만에 배치돼 운용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총 55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난 5년 여의 연구 끝에 이 검색기의 핵심 기술인 방사선 비파괴 검사 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상용 모델 제작 완료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
이 검색기는 기술 시험 결과 투과력, 해상도 등 물체를 확인하고 식별하는 능력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검색기가 상용화되면 현재 대당 수십억원에서 110억 원에 육박하는 제품의 수입대체와 지속적인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수조원대 규모(2000여 대)의 세계 컨테이너검색기 시장에 국산 제품 수출도 노려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연구원측의 설명이다.
이 연구원의 김종경 원장은 "관세청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원이 보유한 컨테이너 검색 기술을 상용화함으로써 국내 항만의 보안검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컨테이너검색기 제작 기술은 방사선 발생 기술을 비롯해 화물이송, 방사선 검출, 영상처리·제어 등 여러 분야를 집약한 종합기술로 이전에는 미국 베리안(Varian), 라피 스캔(Rapiscan), 중국 뉴텍(Nuctech) 등 해외 일부 기업만이 보유하고 있었다.
미국에서는 자국으로 수입되는 컨테이너 화물을 전량 방사선 비파괴 검사할 것을 의무화하는 법률 시행을 앞두고 있는 등 컨테이너검색기의 세계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솜방망이 처벌…최저임금도 못받는 근로자 300만명" (0) | 2016.08.17 |
---|---|
한달 전기요금 12만원→32만원…'누진제 폭탄' 고지서에 '뜨악' (0) | 2016.08.17 |
몸이 비밀번호? 조금 더 기다려!,생체인증 서비스 (0) | 2016.08.10 |
“전기료 10배” 무서워 에어컨 못켜는데… “잘쓰면 된다”는 정부 (0) | 2016.08.10 |
“저소득·고소득층 사이 연봉 7000만원대에 부담 집중” (0) | 2016.08.08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최근 금융사들이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 대신 홍채나 지문, 정맥 등을 활용하는 생체인증 시스템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 보급 한계와 보안 우려 등으로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 등은 홍채인식 기술이 탑재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기기를 이용해 홍채 인증만으로 로그인은 물론 이체와 송금 등 각종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완전히 대체하는 방식으로 갤럭시노트7 출시와 함께 이달 중 상용화될 예정이다. 이날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이 내놓은 모바일플랫폼 ‘올원뱅크’는 지문인증 방식을 도입했다.
이렇듯 금융사들이 경쟁적으로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생체인증 서비스에 뛰어들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시범 단계에 머무는 수준이다. 특정 기기에서만 이용할 수 있거나 보안에 대한 검증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생체인증 이용 ATM 서울권에 손꼽아… 상용화 의문
올해 초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은 자동화기기(ATM)에서 입출금, 계좌조회, 송금 등을 할 때 카드나 통장 없이도 홍채 인증만으로 본인임을 식별해 거래할 수 있는 ‘홍채인증 ATM’을 선보였다. 우리은행은 서울 지역 5개 지점에, 기업은행은 임직원 전용으로 2대를 설치했다. 하지만 반년이 지나도록 이 숫자는 더 늘지 않고 있다.
앞서 신한은행은 지난해 말 금융권 최초로 정맥 인증을 통해 비대면 실명 확인 후 통장 개설까지 할 수 있는 ‘디지털 키오스크’를 선보였다. 금융권에서 유일하게 생체인증으로 비대면 실명 확인까지 가능한 시스템이지만 직접 키오스크 기계에 가서 정맥 등록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비대면의 장점을 상쇄시켰다. 디지털 키오스크는 현재 수도권을 중심으로 24대 있다.
●생체정보 바꿀 수 없어 대체 불가… 금융사 수집·활용 표준화 지침 없어
공인인증서나 보안카드 등은 복제나 분실 우려가 있었던 데 반해 생체인증 방식은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해 식별하는 것이어서 가장 강력한 개인 식별 수단으로 여겨진다. 대신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한번 유출될 경우 이를 바꿀 수 없다는 위험이 있다. 지문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주민등록번호를 발급받을 때 함께 등록되기 때문에 주민번호가 해킹될 경우 지문정보도 함께 유출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때문에 금융사들은 주로 금융사 서버에 고객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공인인증서처럼 개인의 단말기에 저장한 뒤 불러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노트7을 활용한 홍채인증이 이런 방식이다. 금융사 서버에 저장할 경우 전산망 보안에 대한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인인증서처럼 금융사 간 호환이 가능해지고 다른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려면 궁극적으로는 금융사 전산망에 저장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생체 정보 수집과 활용에 관한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생체인증은 한번 유출되면 치명적이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면서 “다만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는 상황에서 일원화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보다는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하되 유출될 경우 강력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출처: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809020037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달 전기요금 12만원→32만원…'누진제 폭탄' 고지서에 '뜨악' (0) | 2016.08.17 |
---|---|
국산 '컨테이너검색기' 상용화 눈앞 해외시장 진출 기대 (0) | 2016.08.12 |
“전기료 10배” 무서워 에어컨 못켜는데… “잘쓰면 된다”는 정부 (0) | 2016.08.10 |
“저소득·고소득층 사이 연봉 7000만원대에 부담 집중” (0) | 2016.08.08 |
“건물주 돼보자”… 경매학원 젊은층 ‘북적’ (0) | 2016.08.05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사는 주부 강모 씨(33)는 요즘 매일 아침 집 앞의 전기계량기를 확인한다. 얼마 전부터 두 살배기 아기의 목과 팔에 땀띠가 나 하루 12시간 이상 에어컨을 틀면서 시작된 주요 일과 중 하나다. 9일 아침 확인한 전기 사용량은 733kWh였다. 검침일인 15일까지 일주일이 남았지만 내야 할 전기요금은 이미 26만 원을 넘어섰다. 강 씨는 “전기요금 폭탄이 두렵지만 아기를 위해선 에어컨을 끌 수가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폭염이 지속되면서 전기요금 누진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한국전력을 상대로 하는 전기요금 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자도 급증하는 추세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요금 폭탄’은 과장된 것”이라며 현행 제도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http://imgnews.naver.net/image/020/2016/08/10/79660301.1_99_20160810032505.jpg?type=w540)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산 '컨테이너검색기' 상용화 눈앞 해외시장 진출 기대 (0) | 2016.08.12 |
---|---|
몸이 비밀번호? 조금 더 기다려!,생체인증 서비스 (0) | 2016.08.10 |
“저소득·고소득층 사이 연봉 7000만원대에 부담 집중” (0) | 2016.08.08 |
“건물주 돼보자”… 경매학원 젊은층 ‘북적’ (0) | 2016.08.05 |
"中 사드 보복 시작?"…잘나가는 'K뷰티' 타깃될까 초긴장 (0) | 2016.08.05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지금은 세율 체계를 조정할 때가 아니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28일 정부의 세법개정안 설명에 나선 최상목 기획재정부 차관은 이른바 3대 세목 개편론에 대해 ‘불가’ 입장부터 분명히 했다. 법인세율 인상론과 소득세·부가가치세의 세율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실제 정부의 세법개정안은 ‘미시 조정’에 가깝다. 예년과 비교해도 굵직한 세제 도입은 눈에 띄지 않고, 박근혜 정부 출범 이래 지속한 비과세·감면 축소 ‘드라이브’ 역시 주춤하는 모습이다. 이번 세제 변화로 추가로 들어올 세수의 규모는 연간 3171억원으로 추산된다. 세수 증가 효과가 1조원 규모였던 지난해 세법개정안에 비해 변화의 폭은 그만큼 작다.
정부가 이처럼 조심스러워진 건 무엇보다 세금이 잘 걷히기 때문이다. 올해 1~5월에만 지난해 대비 19조원이 더 들어왔다. 3대 세수가 나란히 5조원 이상씩 늘었다. 나랏빚을 늘리지 않고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겠다는 것도 그 때문이다. 조세부담률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2013년 17.9%에서 올해는 18.9%까지 상승할 것이란 예상이다. 최 차관은 “2013년 최저한세율 인상, 대기업 연구개발(R&D) 공제율 축소 등 비과세·감면을 정비한 효과가 계속 나타나고 있고, 대기업의 실효세율도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여소야대 국회와 대통령 선거를 앞둔 정치 환경도 정부가 ‘수비’로 돌아선 요인이다. 일몰이 닥친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연장하고, 2000만원 이하 임대소득에 세금을 물리지 않는 조치도 유지하기로 한 것은 정치권의 반발과 민심 이반을 우려해서다. 기재부 관계자는 “심층평가 결과 카드 소득공제 제도가 겨냥했던 지하경제 양성화 효과는 상당 부분 달성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단숨에 이를 없앴다간 근로자의 세 부담이 급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단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경제민주화’ 요구를 의식한 흔적도 엿보인다. 방향은 법인세 인상은 피하면서 고소득자와 자산가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는 쪽이다. 카드 소득공제를 유지하면서도 고소득자의 혜택은 줄이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주식 거래에 양도소득세를 물리는 대상도 코스피 기준으로 종목별 보유액 25억원 이상에서 15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기업이 번 돈을 쌓아두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든 가계소득 증대 세제도 배당보다는 임금 인상과 투자에 쓸 때 주는 인센티브를 늘리기로 했다. 배당이 늘어난 혜택이 주로 대주주 등 자산가에게 몰린다는 비판이 일어서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배당금 중 59%가 금융소득이 연 2000만원을 넘는 사람들에게 돌아갔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정책 방향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사이의 ‘낀 계층’에 부담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축소 대상에 포함된 총 급여 7000만원대의 계층이 대표적이다. 총 급여란 연봉에서 비과세 소득을 뺀 것을 말한다. 정부가 서민·중산층과 고소득자를 가리는 공식 잣대는 올해 기준으로 총 급여 6100만원이다. 중위소득의 150% 이하가 중산층이란 경제개발기구(OECD)의 해석에 따른 것이다.
① 출산 세액공제, 둘째는 50만원 셋째부터 70만원…2016 세법 이렇게 바뀐다
② 체험학습비 30만원 세액공제, 월세 세액공제율 10 →12%
홍기용 인천대 세무회계학 교수는 “현 정부 들어 형평성을 높인다며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대거 바꿀 때도 억대 연봉자보다 오히려 7000만~8000만원 연봉자의 세금 증가율이 높았다”면서 “근로소득자 중 면세자가 48%까지 늘어나면서 고소득자 범주에 묶인 이들 ‘낀 계층’에 부담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민감한 이슈를 피해 가려 하지만 세법개정안이 일단 국회에 제출되면 격론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두 야당이 앞다퉈 법안을 발의하며 ‘일전’을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법인세율 인상은 물론 담뱃세를 다시 낮춰야 한다는 주장도 펴고 있다. 김재진 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논쟁을 피할 수 없다면 공론의 장에 올려 생산적 토론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우선 한국 사회가 추구해야 할 복지의 수준에 대한 논의부터 한 뒤 재원 마련 방법으로 옮겨 가는 게 순서”라고 말했다.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 비밀번호? 조금 더 기다려!,생체인증 서비스 (0) | 2016.08.10 |
---|---|
“전기료 10배” 무서워 에어컨 못켜는데… “잘쓰면 된다”는 정부 (0) | 2016.08.10 |
“건물주 돼보자”… 경매학원 젊은층 ‘북적’ (0) | 2016.08.05 |
"中 사드 보복 시작?"…잘나가는 'K뷰티' 타깃될까 초긴장 (0) | 2016.08.05 |
주거비부담·차별·외로움 3중고…1인가구는 서럽다,1인가구가늘어난다 (0) | 2016.08.03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조물주 위에 건물주’ 확산
20∼30대 수강생 부쩍 늘어
최근 20∼30대 때부터 부동산 학원에 다니며 착실히 ‘건물주’가 될 준비를 해나가는 청년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조물주 위에 건물주’라는 우스갯소리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어 이들 세대가 느끼는 사회적 박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상과 무관치 않다. 실제 올해 초 한 방송사가 서울 시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벌인 장래희망 설문조사에서는 ‘건물주’가 희망직종 2위로 꼽힌 바 있다.
지난 2일 오후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 부동산 경매학원은 20대 대학생들은 물론 퇴근 후 강의를 들으러 오는 30대 직장인들로 북적이고 있었다. 이는 과거 주로 은퇴를 앞둔 40∼50대들이 노후 투자대책으로 부동산 학원을 찾던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에 대해 학원 관계자는 “최근 들어 많은 20∼30대 청년층이 전문 임대업자가 되기 위해 부동산 시세 등을 공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귀띔했다.
직장인 이모(29) 씨는 “취직을 했어도 노후를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결국 부동산에 투자해 빌딩이라도 한 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 강의를 듣고 있다”고 말했다.
또 공무원 박모(28) 씨도 “월세 수입은 박봉인 공무원 월급과 별개로 생기는 특별한 소득이 될 것”이라며 “안정적으로 월세를 받으면 삶의 여유도 찾을 수 있을 것 같아 학원 등록을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학원 관계자는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두고 전문성을 키우려는 연령대가 과거와 비교해 확실히 낮아졌다”면서 “요즘엔 대기업보다 공무원이, 또 공무원보다도 건물주가 인기 직종”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은 ‘조물주 위에 건물주가 있다’는 표현이 나돌 정도로 임대료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국내 임대시장 동향과 맞물려 있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 소재 상가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5.6% 오른 ㎡당 3만700원으로 집계됐다. 김봉석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청년층의 계층 간 사다리가 없어져 부동산 소득에 매달리게 된 것”이라며 “이전에 건물을 갖는다는 것은 부모세대로부터 양도·세습에 의한 것이었는데 이젠 청년층이 개인의 성취로 획득하고 싶은 지위가 됐다”고 진단했다.
출처: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80401071021301002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료 10배” 무서워 에어컨 못켜는데… “잘쓰면 된다”는 정부 (0) | 2016.08.10 |
---|---|
“저소득·고소득층 사이 연봉 7000만원대에 부담 집중” (0) | 2016.08.08 |
"中 사드 보복 시작?"…잘나가는 'K뷰티' 타깃될까 초긴장 (0) | 2016.08.05 |
주거비부담·차별·외로움 3중고…1인가구는 서럽다,1인가구가늘어난다 (0) | 2016.08.03 |
약발 떨어진 금연효과 2년만에 '稅대결' 불붙나,담배값인상 서민증세 (0) | 2016.08.03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한국 방송 제재 이어 상용비자 규제까지…'제3의 사드보복' 화장품으로 번질까 노심초사
출처: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80416323894315&outlink=1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소득·고소득층 사이 연봉 7000만원대에 부담 집중” (0) | 2016.08.08 |
---|---|
“건물주 돼보자”… 경매학원 젊은층 ‘북적’ (0) | 2016.08.05 |
주거비부담·차별·외로움 3중고…1인가구는 서럽다,1인가구가늘어난다 (0) | 2016.08.03 |
약발 떨어진 금연효과 2년만에 '稅대결' 불붙나,담배값인상 서민증세 (0) | 2016.08.03 |
보험사의 '꼼수'…건강한 사람에게 비싼 유병자용 보험 가입 유도 ,보험사의꼼수 (0) | 2016.08.03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월세 꼬박꼬박…저축 힘들어 김 씨가 10년간 서울에서 고군분투하는 사이 1인 가구 규모는 부쩍 늘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1인 가구는 511만가구로 처음으로 500만을 돌파했다. 10년 전(317만가구)와 비교해 61.7% 가량 증가한 것. |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주 돼보자”… 경매학원 젊은층 ‘북적’ (0) | 2016.08.05 |
---|---|
"中 사드 보복 시작?"…잘나가는 'K뷰티' 타깃될까 초긴장 (0) | 2016.08.05 |
약발 떨어진 금연효과 2년만에 '稅대결' 불붙나,담배값인상 서민증세 (0) | 2016.08.03 |
보험사의 '꼼수'…건강한 사람에게 비싼 유병자용 보험 가입 유도 ,보험사의꼼수 (0) | 2016.08.03 |
글로벌 시가총액 5대 기업… IT기업이 싹쓸이 (0) | 2016.08.03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2일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담배 반출량(소비량)은 17억9000만갑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6% 증가한 수치다. 통상 '금연' 계획을 세우는 상반기보다 하반기로 갈수록 담배소비량이 더 늘어나는 경향을 고려하면 올해 담배 소비량은 40억갑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 |
2일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해 17개 광역단체가 걷어들인 담배소비세와 지방교육세는 각각 2조9933억원, 1조3169억원으로 집계된다. 2014년보다 담배소비세가 1144억원 늘고 지방교육세가 1225억원 줄면서 담뱃세에 포함된 두 지방세의 합계액은 81억원 감소했다.
2500원짜리 담배 한 갑당 붙는 세금이 1550원에서 3318원으로 인상되면서 전체 담배 판매 세수가 전년보다 3조원 늘었지만 지방세수는 오히려 줄었다는 얘기다. 늘어난 세수는 고스란히 정부의 주머니로 들어갔다.
지방세수가 줄어든 것은 담뱃세가 인상되는 과정에서 지방세로 납입되는 분배율이 낮아진 탓이다. 2014년까지 담뱃세는 △담배소비세 641원 △지방교육세 320.5원 △건강증진부담금 354원 △부가가치세 및 폐기물부담금 234.27원으로 나뉘었다. 이 중 담배소비세와 지방교육세가 지방세다. 지방교육세는 담배소비세의 50%를 걷도록 돼 있었다. 전체 담뱃세에서 지방세의 비율이 62%였다.
하지만 2015년부터 국세인 개별소비세를 새로 부과하고 건강증진부담금을 2배 이상 늘리는 한편, 지방교육세는 담배소비세의 42.99%로 낮추면서 상황이 뒤바뀌었다. 지방세 비율이 43%로 떨어졌다. 현재 4500원인 담배의 경우 출고가와 유통마진 1182원을 제외하고 △담배소비세 1007원 △지방교육세 443원 △개별소비세 594원 △부가세 및 폐기물부담금 433원 △건강증진부담금 841원이 붙는다.
전북도 관계자는 "국세와 지방세 분배율이 뒤집힌 게 지난해 지방세수 감소로 이어진 원인"이라며 "가뜩이나 열악한 지방재정이 악화된 것"이라고 말했다.
행정자치부 한 인사는 "담뱃세에 국세로 신설된 개별소비세도 80%는 정부가 갖지만 20%는 소방안전교부세 명목으로 광역단체에 교부한다"고 말했다. 그만큼 지방세수가 보전된다는 얘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의 이런 해명을 그대로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지방재정자립도가 약화됐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렵다고 지적한다. 교부세 자체가 지자체별로 차등 지원되기 때문에 지자체가 중앙정부에 예속될 우려도 제기된다.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 배정에서도 드러났듯 '말 잘 듣는' 지자체에 교부금을 선별 지원하는 방식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최근 공개된 국회예산정책처의 '2015회계연도 재정사업 성과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징수된 담배부담금은 2조4757억원이었다. 2014년 담배부담금이 1조6284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65.7%(8473억원) 대폭 증가한 수치다.
2014년 담뱃세가 2000원 인상되는 과정에서 담배부담금도 한 갑 당 841원(기존 354원)으로 137.6% 오른 것이 담배부담금 급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담배부담금은 국민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추진에 필요한 재원확보를 위해 담배 제조자 및 수입판매자에게 부과하는 담뱃세의 한 항목이다.
부담금의 용도를 직접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법 조항은 없지만 △금연교육 및 광고 △흡연피해 예방 △흡연피해자 지원 등에 사용 등이 국민건강증진법(제25조1항)에 명시된 담배부담금으로 조성된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용 용도여서 간접적으로 활용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회예산정책처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담배부담금을 중심으로 조성된 국민건강증진기금 중 지난해 순수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사업에 쓰인 액수는 1475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담배부담금이 오르기 전인 2014년 관련 예산이 113억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10배 이상 편성액이 증가했지만 부담금 전체 증가분(8475억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17.4%에 불과하다. 담배부담금 전체(2조4757억원)와 비교하면 5.9%수준에 머문다.
더욱이 2016년 금연사업 예산은 2015년 1475억원보다 160억원이 줄어든 1315억원만 책정됐다.
정부는 담뱃세 인상을 위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을 제출하던 2014년, 담배부담금으로 늘어나는 재정 전부를 금연사업에 활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당시 정부는 담배부담금 인상으로 한해 5000억원이 늘 것으로 예상해 2000억원은 금연치료 건강보험 적용에, 3000억원은 흡연관련 질환 조기진단 및 치료 등 보장성 강화에 쓴다고 밝혔다. 실제론 예상(5000억원)보다 많은 8473억원이 더 걷혔기 때문에 정부방침대로라면 이 액수 모두 금연사업에 사용해야 했던 셈.
여기에 더해 정부는 담뱃세 인상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으면 담배부담금 인상분을 금연사업에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철회할 수도 있다며 당시 담뱃세 인상에 반대하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법안 통과 설득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담뱃값이 대폭 올랐음에도 올 상반기 담배반출량은 전년(13억1000만갑)대비 4억8000만갑 증가했고 같은 기간 추정 세수도 1조5600억원이 늘어나는 등 당초 목적과 대비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정부 재정은 대폭 늘었지만 흡연율은 잡지 못한 상황인 것.
더욱이 정부가 약속한 금연 사업 확대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부는 현재 담뱃세 인상의 목적이 국민건강이 아니라 세수 증대가 목적이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담배부담금은 이를 실질적으로 내고 있는 흡연자들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며 "사회적 합의를 거쳐 사용 분야를 명시하는 등 배분을 법률로 정해 적절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 |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5.10.5/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하지만 최경환 전 부총리는 금연효과가 기대보다 낮았던 원인을 국회 탓으로 돌렸다. 국회에서 담배 포장지에 흡연 경고그림을 도입하는 내용의 '국민건간증진법 개정안' 처리가 지연되면서 금연효과가 떨어졌다는 것.
김선택 한국납세자연맹 회장은 "정부가 담배소비 예측이 틀린 것을 흡연 경고그림 지연 탓으로 돌리는 것은 책임회피에 불과하다"며 "정부가 담배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과대평가한 부분에 대해서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비난했다.
다음은 지난해 10월 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 속기록을 요약 재구성한 내용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의원 : 예산정책처와 담배인삼공사는 (담배판매량이) 20%대로 감소할 것이라고 했는데 기획재정부만 34% 감소로 한 것은 담뱃세 인상이 증세가 아니다라는 목적에 꼼수를 부린 것 아닙니까?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제가 보건대 그때 (흡연) 경고그림이 같이 입법화가 됐으면 저는 금연효과가 훨씬 더 강하게 나타났을 것으로 봅니다.
김 의원 : 경고그림도 다 예상을 하고 있었잖아요. 당초에는 예상을 다 하고 이렇게 추계를 한 것 아닙니까?
최 부총리 : 같이 시행을 안 했습니다. 아직도 시행이 안 되고 있거든요.
김 의원 : 그 경고그림까지 감안해서 추계를 한 것이라고요, 당초에?
최 부총리 : 아닙니다. 그때 이 법을 같이 했기 때문에 국회에서 같이 해주실 것으로 그렇게 기대를 했습니다.
김 의원 : 국민건강을 위한 것보다는 결국은 서민증세입니다. 부총리의 답변 ‘증세가 아니다. 국민 건강을 위해서 한 조치다’한 것은 결국은 위증 아니냐 이것이지요.
최 부총리 : 아까도 잠깐 답변 올렸습니다만 그때 경고그림이 같이 갔다면 저는 우리가 당초 전망했던 34% 정도 줄었다고 봅니다.
김 의원 : 경고그림 한 가지로 이 문제를 빠져나가시려고 그렇게 답변하시는데 절대 국민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겁니다. 부총리께서는 답변을 그렇게 안 하셨지만 국민들은 이것은 결국 서민 증세다 이렇게 생각을 할 겁니다.
출처: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80308377647358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사드 보복 시작?"…잘나가는 'K뷰티' 타깃될까 초긴장 (0) | 2016.08.05 |
---|---|
주거비부담·차별·외로움 3중고…1인가구는 서럽다,1인가구가늘어난다 (0) | 2016.08.03 |
보험사의 '꼼수'…건강한 사람에게 비싼 유병자용 보험 가입 유도 ,보험사의꼼수 (0) | 2016.08.03 |
글로벌 시가총액 5대 기업… IT기업이 싹쓸이 (0) | 2016.08.03 |
OECD 주요국 일자리 상황 나아졌는데 한국만 제자리 (0) | 2016.08.02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설정
트랙백
댓글
글
|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비부담·차별·외로움 3중고…1인가구는 서럽다,1인가구가늘어난다 (0) | 2016.08.03 |
---|---|
약발 떨어진 금연효과 2년만에 '稅대결' 불붙나,담배값인상 서민증세 (0) | 2016.08.03 |
글로벌 시가총액 5대 기업… IT기업이 싹쓸이 (0) | 2016.08.03 |
OECD 주요국 일자리 상황 나아졌는데 한국만 제자리 (0) | 2016.08.02 |
상추 48%·마늘 32%·소주값 13%↑...휴가철 인기품목 급등 (0) | 2016.08.02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