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이동통신 사업자인 중국의 차이나모바일이 국내 제4 이동통신 사업에 참여한다. 그동안 재무적 투자자 확보 실패로 번번히 수포로 돌아갔던 제4 이통 사업자가 등장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이동통신 가입자 8억명에 대규모의 자본력을 갖춘 차이나모바일이 국내 제4 이통사업의 최대 주주로 부상하면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황금분할 시대를 구가했던 국내 통신업계에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27일 코리아텔넷(KTNET)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이 제4 이동통신 컨소시엄 참여를 결정하고 총 3천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키로 했다. 이에 따라, 차이나모바일은 제4 이통에 도전하는 코리아텔넷 컨소시엄에서 40%의 지분을 차지하게 됐다.
코리아텔넷 관계자는 “26일 차이나모바일이 최종적으로 컨소시엄 참여를 확정하고 3천2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며 “향후 자본금을 1조6천억원으로 만들기 위한 1차 증자 때도 3천200억원을 추가키로 했고 이날 확약서도 함께 작성했다”고 말했다.

차이나모바일 로고.
현재 제4이통을 준비하는 사업자들이 재무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1대주주 확보에 애로를 겪는 상황에서 차이나모바일이 참여를 선언함에 따라, 향후 제4이통 사업권은 코리아텔넷 컨소시엄으로 집중될 전망이다.
특히, 차이나모바일이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제4 이통사업에 참여키로 함에 따라, 그동안 제4이통 참여에 부정적 시각을 드러낸 국내 케이블업계도 참여 가능성을 타진중인 것으로 전해져, 그동안 답보상태에 있던 제4 이통 사업권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전망이다.
차이나모바일은 지난 8월 기준으로 가입자 8억2천만명, TDD-LTE 가입자만 2억2천920만명을 보유한 세계 최대 통신사로, 국내에서 TDD-LTE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한-중 간 TDD-LTE 밴드가 구축된다.
코리아텔넷은 향후 TDD-LTE 밴드가 구축되면 한-중 간 무료 로밍서비스 제공 등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코리아텔넷 컨소시엄은 향후 인터넷데이터센터(IDC)와 콜센터 구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1곳과 협의를 마치고 양해각서를 체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제4이통 신청 마감 D-3…투자자 찾기 '난항'
제4 이동통신 사업자 신청 접수 마감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당초 후보군으로 지목됐던 사업자들이 투자자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과 통신시장 활성화를 위해 신규 사업자의 문턱을 대폭 낮췄지만 이번에도 제4 이통사 탄생이 결국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27일 통신업계와 미래부에 따르면 전날까지 공식적으로 이동통신 사업을 위한 주파수 할당 신청서를 제출한 사업자는 한 곳도 없었다.
중소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7~8곳이 신청서를 낼 것으로 관측됐지만 대부분의 후보들이 마땅한 투자자를 찾지 못해 컨소시엄 주주 구성에 애를 먹고 있는 모양새다.
미래부에서는 아직 신청 마감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사업 의지가 강한 3~4곳의 후보가 신청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최대 관심사였던 대기업과 해외 자본의 참여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미래부가 처음 제4 이통사 선정 공고를 냈을 때만 하더라도 CJ그룹, 태광그룹, 현대백화점그룹 등이 사업에 뛰어들지도 모른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CJ그룹은 이미 알뜰폰(MVNO) 사업을 하면서 통신시장에 발을 들여놨고, 태광그룹과 현대백화점그룹도 각각 티브로드와 현대HCN 등 케이블방송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제4 이통사 후보군 중 한 곳인 코리아텔넷 컨소시엄이 일본 소프트뱅크, 중국차이나모바일과 지분 참여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통신사업의 국적성 논란이 일기도 했다.
현재 제4 이통사 도전에 가장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낸 곳은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다. KMI는 2010~2014년 6차례나 제4 이통사에 출사표를 던졌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공종렬 KMI 대표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PC에서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만들어 본격적인 요금 경쟁을 선도할 것"이라며 "경쟁사가 요금 인하에 나설 경우 지속적인 추가 요금 인하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제4 이통사가 출범하면 통신비를 30~50% 절감할 수 있다"며 "약 2만7천개의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박성도 전 현대모비스 부사장이 이끄는 퀀텀모바일도 주파수 할당 신청을 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알뜰폰 사업자인 세종텔레콤은 최근 주가 급등과 관련한 조회공시 요구에 대해 "제4 이통사업자 선정에 컨소시엄 또는 별도법인을 통한 허가 신청서 제출을 검토 중"이라고 답변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도 제4 이통사 선정에 있어 결정적인 평가 기준은 재무적 능력이 될 것"이라며 "참여 의사를 밝힌 곳 중에 기준에 부합하는 곳이 나타나지 않으면 또 다시 제4 이통사 출범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아... 근데 무플이면.. 슬플거 같아요..
댓글 하나만이라도..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