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2010년 프랜차이즈 치킨 업계는 주요 신문에 광고를 내고 원가를 공개했다. 롯데마트가 5000원짜리 '통큰치킨'을 선보인 후 3배 이상 비싼 프랜차이즈 치킨 값에 거품이 있다는 비난 여론이 들끓었기 때문이다. 당시 "2주에 한번 정도 치킨을 시켜 먹는데 가격이 비싸다"는 대통령 발언이 전해지면서 논란이 더 거세졌다.
프랜차이즈 치킨 업계가 원가 내역을 공개했지만 가격 논란은 매년 반복되고 있다. '국민간식' 치킨에 대한 관심이 각별해 다른 먹거리에 비해 치킨 가격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소비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2만원에 육박하는 신메뉴를 출시하면서 거품 논란이 재현됐다. 게다가 치킨 원재료인 생닭 시세 역시 역대 최저 수준인 kg당 1500원대로 떨어져 프랜차이즈 업계가 부당 이득을 보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A치킨업체 관계자는 "유통 구조상 산지 닭 값이 떨어져도 프랜차이즈 본사나 가맹점 이익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며 "가공·물류비와 배달비, 점포 임차료 등을 고려하지 않고 육계 시세가 하락할 때마다 치킨값을 내리라는 주장이 반복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치킨 원재료 8000~9000원…임차료·인건비 더해져 '껑충'=머니투데이가 생닭 유통경로별 원가를 분석한 결과 하림, 참프레(동우), 마니커(이지바이오) 등 육계가공업체가 산지에서 생닭 1kg을 납품받는 가격은 3000원 안팎이다. 한국육계협회에 따르면 18일 현재 육계 시세는 1590원(대·kg)이지만 털과 내장, 피 등을 제거한 생닭의 평균 수율 65%를 적용하기 때문에 kg당 도매가가 2배 가까이 뛴다.
이들 업체는 닭을 부위별로 자르고 세척하는 손질과정을 거쳐 프랜차이즈 본사에 평균 4000~5000원에 넘긴다. 업체별로 차이가 있지만 프랜차이즈 본사는 다시 가맹점에 4500~5200원에 공급한다.
가맹점에서는 생닭에 튀김용 파우더를 입혀 기름에 튀겨내는 비용 1500~2000원, 상자 포장비와 무, 콜라 등 비용 1000원 안팎 등이 더해진다. 프라이드 치킨 기준 원재료만 평균 7000~8000원이 드는 셈이다. 특별한 시즈닝(소스)이나 부재료가 더해지면 원가는 1만원 안팎까지 오른다.
여기에 배송비와 인건비, 매장 임차료 등 운영비가 더해지면서 프랜차이즈 치킨 원가가 껑충 뛴다. 서울 외곽에서 1일 평균 치킨 70마리를 판매하는 가맹점의 운영비를 시뮬레이션해보니 인건비 비중이 가장 컸다.
오토바이 조작이 가능한 배달원 2명을 고용할 경우 치킨 한마리당 배달비용이 3000원 안팎에 달했다. 매장 임차료와 각종 세금, 배달앱 수수료, 전단지 등 광고·홍보비를 더하면 총 6000원 안팎 운영비가 추가로 든다. 결국 치킨 한 마리를 팔면 평균 2000~3000원 안팎 남는 것이다.
◇양념 더한 신메뉴 '2만원' 육박…후라이드 치킨은 수년째 그대로=치킨 가격 논란에 다시 불을 지핀 것은 BBQ가 지난달 출시한 '마라핫치킨(순살)'이다. 이 제품 가격은 1만9900원으로 치킨 한 마리에 '2만원 시대'에 바짝 다가섰다.
종전에 1만7000~1만8000원선이던 치킨 신제품 가격은 지난해부터 1만9000원대로 올랐다. 5월 현재 교촌치킨과 BBQ, bhc, 굽네치킨, 네네치킨 등 5대 치킨 브랜드의 총 119개 메뉴 가운데 31개(26.1%)가 1만9000원 이상으로 2만원에 육박한다. 대부분 특수 소스를 더한 신제품으로 수년간 신메뉴를 내놓지 않은 교촌치킨의 경우 1만9000원대 제품은 없다.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프라이드와 양념 치킨 가격은 1만5000~1만6000원선으로 수년째 그대로다. 교촌치킨의 대표 메뉴인 '간장치킨'과 BBQ의 '황금올리브치킨'은 2012년부터 각각 1만5000원과 1만6000원을 유지하고 있다. B치킨업체 관계자는 "월세, 인건비 등 고정비가 많이 올랐지만 기본 메뉴들은 가격인상에 따른 소비자 저항감이 워낙 커서 가격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며 "최근 업체들이 가격대가 높은 신메뉴를 경쟁적으로 내놓는 것은 이를 상쇄하기 위한 한 방편"이라고 귀띔했다.
C치킨업체 관계자는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는 AI(조류독감) 등으로 수급에 문제가 생겨도 안정적으로 닭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육계가공업체들과 계약돼 있다"며 "가공·물류비 비중이 높고 인건비, 마케팅비가 판매가에 포함돼 있는 만큼 산지 시세를 치킨 가격에 연동하라는 것은 무리한 주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육계 시세가 급등해도 치킨 값을 올려 받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라고 덧붙였다.
출처: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51813541253261&outlink=1
---------------------------------
800원→3000원→5500원→1만9000원… 닭값 치킨게임
![](http://imgnews.naver.net/image/020/2015/09/05/73446084.1_99_20150905085104.jpg?type=w540)
지난달 동아일보 지면에 “‘생닭 1500원, 치킨은 2만 원’ 뿔난 양계농가” 기사가 보도된 이후 치킨(튀김닭) 가격에 대한 원성의 목소리가 커졌다. ▶“생닭 1500원, 치킨은 2만원” 뿔난 양계농가
양계농가가 내놓는 생닭(1kg) 가격은 매년 떨어져 평균 1500원 수준까지 하락했는데, ‘국민 간식’인 치킨 가격은 거꾸로 2만 원 수준까지 오른 것에 대한 분노였다. 본보 보도 이후 여러 매체가 원재료(생닭)와 가공품(치킨)의 가격 차에 관한 보도를 쏟아냈다.
주요 포털 사이트에 게재된 해당 기사에는 총 1만 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주로 “치킨 시장의 가격 결정 구조를 이해할 수 없다”는 내용이 많았다. 취재기자에게 e메일을 보낸 수십 명의 독자 역시 “치킨의 가격 결정 과정을 알고 싶다”는 의견을 밝혔다. 본보 취재진이 병아리부터 치킨에 이르는 닭의 ‘몸값’을 추적해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파헤쳐 봤다.
“나도 닭 먹을 일 있으면 시장에서 사서 먹어요. 가격이 절반밖에 안 하니, 서글프죠.”
서울 성동구에서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 강모 씨(55)는 복날이 되면 근처 시장으로 간다. 생닭을 사서 삼계탕을 만들어 먹기 위해서다. 본인이 운영하는 치킨 가맹점에 쌓여 있는 것이 닭이지만 건드릴 수 없다. 프랜차이즈 본점과 계약한 닭 가격은 5500원으로 시장에서 파는 가격인 3000원대보다 훨씬 높다. 강 씨는 “치킨 값이 비싼 것은 알지만 우리도 비싼 재료비에 임차료나 배달비를 포함하면 어찌할 도리가 없다”며 “적자만 안 보면 다행”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이 같은 상황은 양계농가 역시 마찬가지다. 2일 찾아간 경기 파주시 교하로에 있는 김명기 씨(62)의 양계장은 1650m² 규모의 2개 동이 모두 비워져 있었다. 김 씨는 찾아간 기자에게 대뜸 스마트폰 화면부터 보여 줬다. 여기에 찍혀 있는 ‘오늘의 생계(生鷄) 시세’는 큰 닭 1kg 기준 800원. 김 씨는 “한 달 전에 마리당 1100원을 쳐서 넘겼는데 그것보다 더 떨어졌다”며 “한동안 닭을 키우지 않는 게 빚을 안 지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병아리 가격까지 떨어진 생닭 가격
김명기 씨가 8월 중순 마지막으로 출하한 닭 2만2000마리의 ‘가계부’를 들여다봤다. 여기엔 양계농가의 고충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김 씨는 7월에 병아리 2만2000마리를 샀다. 마리당 100원을 쳐 줬다. 닭고기용으로 쓰는 닭은 병아리부터 성계까지 32일 기른다. 이 기간 동안 여름에도 온도를 35도에 맞춰야 한다. 여름이라 기름을 예전보다 덜 썼지만 이번에도 1000L를 사용했다. 온도 조절용 팬을 가동하는 데 쓰는 전기 요금에다 닭장에 왕겨와 짚 등을 까는 데에도 돈이 든다.
이를 모두 합쳐 김 씨가 쓴 돈은 3200만 원이 넘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벌어들인 수입은 닭 한 마리에 1100원으로 총 2400만 원. 김 씨는 “지금 같은 시세로는 열심히 일해 닭을 키울수록 빚만 늘어난다는 말이 절대 엄살이 아니다”라며 “올해는 군부대와 계약해 납품하는 닭 말고는 키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부터 생닭 폭락세는 심상찮은 수준이다. 대한양계협회는 지난달 11일 육계 가격 발표를 중단했다. 이날 산지 큰 닭 가격이 1000원 아래로 떨어지면서 생산 원가(kg당 평균 1342원)보다 훨씬 낮았다. 협회는 “시세 발표의 의미가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던 것이 9월 들어 800원대까지 내려가 바닥을 쳤다. 이는 3월 한때 치솟았던 병아리 가격(800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1∼6월)까지는 닭 가격이 계속 지금처럼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http://imgnews.naver.net/image/020/2015/09/05/73446085.1_99_20150905085104.jpg?type=w540)
닭고기 기업, 프랜차이즈 본사 거치며 가격 껑충
산지에서 넘긴 닭은 닭고기 중간 유통기업들이 사들인다. 이들은 닭을 도축하고 손질해 BBQ와 교촌치킨 등의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 기업에 납품하거나 마트, 시장에서 판매한다. 하림이나 마니커 등의 대형 브랜드 기업부터 소규모 업체까지 다양한 기업이 참여한다. 양계농가 측은 “브랜드 기업은 대부분 사전 계약한 양계농가의 닭을 들여가지만 물량이 부족하거나 닭 가격이 쌀 때는 일반 농가의 닭도 사들인다”고 말했다.
이 기업들이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로 넘기는 닭 한 마리의 가격은 얼마일까. 한 닭고기 기업 관계자는 “매년 계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와 양계업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3500∼4000원 수준이다.
산지에서 닭을 도축하는 데 드는 비용은 마리당 200원 수준. 농가가 1000원대에 판매한 닭은 도축과 유통을 거쳐 마리당 2000원 이상 마진이 붙어 판매된다. 시장에서 파는 생닭은 이 단계에서 유통이 끝나 상대적으로 싸게 살 수 있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이렇게 받은 닭을 가맹점에 통상 5500원을 받고 넘긴다. 이 역시 본사 측은 “영업 비밀”이라고 말했지만 3곳 이상의 가맹점을 대상으로 취재한 결과다. 양계장부터 소비자들의 입에 들어가기까지 닭 가격을 종합해 보면 양계장이 1500원을 받고 닭 한 마리를 중간 유통기업에 넘기고, 이를 도축과 유통을 거쳐 마리당 3500원에 치킨 본사에 보내고, 이를 치킨 본사가 각 가맹점에 5500원을 받고 판매하는 셈이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닭은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업체가 많지 않다”며 “우리도 산지 가격에 비해 비싼 가격인 것을 알지만 닭고기 전문기업에서 비싼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양념 등 부산물과 광고 투입되며 가격 완성
그렇다면 5500원에 각 치킨 가맹점에 도착한 닭이 최종적으로 1만5000∼2만 원까지 치솟는 ‘마법’은 왜 벌어지는 걸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치킨 가맹점을 자세히 취재해 봤다.
1일 오후 강 씨를 만났다. 강 씨는 10여 년 전 대기업에서 은퇴하고 치킨 프랜차이즈 매장을 차렸다. 그는 “본사에 가서 설명을 들었을 땐 엄청 돈을 많이 벌 것처럼 이야기했다”며 “결국 30% 정도만 사실이었던 것 같다”면서 허탈한 웃음을 지었다.
그는 매일 오전 11시에 출근한다. 닭을 미리 손질해 뒀다가 저녁에 밀려드는 주문을 받고 오후 11시 30분에 주문을 마감한다. 정리를 하고 일을 끝내면 오전 1시다. 부부 2명이 하는 사업이지만 버는 돈은 시원찮다. 한 달 수입을 물어보니 “200만 원 정도”라고 말했다.
강 씨에게 “치킨 가격이 비싸다”고 말하자 언성이 높아졌다. 그는 카운터를 뒤져 영수증을 꺼내 치킨 한 마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조목조목 기자에게 설명해 줬다.
강 씨가 본사에서 구입하는 1kg 닭 한 마리의 가격은 평균 5500원 선. 여기에 1200∼1500원 상당의 기름, 파우더, 양념 등 조리 비용이 든다. 이후 포장지(350원), 무(280원), 콜라(캔당 400원) 비용도 들어간다. 모두 본사에서 사야 하는 제품들이다. 배달은 주로 대행을 쓰는데 1.5km 미만의 가까운 곳은 건당 2500원, 이보다 멀면 3000∼4500원에 달한다. 여기까지만 계산해도 한 마리에 평균 1만1000원이 든다.
그는 이외에도 들어가는 비용이 꽤 많다고 전했다. 신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치킨집 앞에 내거는 브로마이드와 전단 역시 모두 본사가 내려주는 것을 사야 한다. 브로마이드는 장당 1000원이고, 전단 배포에는 인건비가 든다. 여기에 매장 임차료까지 내면 결국 부부 두 명의 인건비에 미치지 못하는 빠듯한 벌이만 남는다는 것이다. 한 프랜차이즈 치킨 가맹점주는 “최근 본사가 유명 모델을 광고에 출연시키고 ‘몸값이 비싸다’며 닭 한 마리에 100원씩을 추가로 걷어가는 일도 있었다”고 전했다.
![](http://imgnews.naver.net/image/020/2015/09/05/73446083.1_99_20150905085104.jpg?type=w540)
닭 가격과 치킨 가격 따로 움직이는 이유는
닭이 키워져 치킨으로 조리될 때까지의 전체 가격 추이를 봤지만, 결론적으로 산지 닭 가격과 치킨 가격이 따로 움직이는 이유는 뭘까. 통계청에 따르면 2005년부터 최근 10년 동안 치킨 가격은 34.1% 올랐다. 반면 생닭 값은 같은 기간 10.3% 오르는 데 그쳤다. 최근에는 이마저도 더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갑(甲)’이 되어버린 중간 유통 과정의 문제를 꼽는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닭고기 유통사나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가 최근 10년 동안 원가 상승 요인이 있을 때마다 이를 유통 과정에서 흡수한 것이 아니라 생산 농가에 전가하는 과정을 되풀이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할 때 일단 매입하는 닭의 단가를 낮추는 과정이 수차례 누적되다 보니, 산지의 닭과 최종 생산물인 치킨의 가격 차이가 커졌다는 얘기다.
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최종 생산물 가격에서 축산물 원재료의 가격 비중은 통상 30% 정도다. 반면 치킨은 프랜차이즈 프라이드치킨 기준으로 본사가 매입하는 원재료 가격이 3500원 선으로 판매가 1만6000원과 비교하면 22% 수준이다. 농가가 출하하는 1500원대로 비교하면 10%에 미치지 못한다. 보통의 시장이라면 생닭 값이 오르거나 치킨 값이 떨어져야 한다는 의미다. 식당을 운영하는 한 독자는 본보에 e메일을 보내 “나는 삼겹살을 180g당 4050원에 사서 소비자에게 1만1000원에 팔고 있다”며 “이것 역시 인건비와 임차료를 모두 포함한 것인데 치킨업계는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치킨업계는 가격을 탄력적으로 내릴 수 없는 이유가 있다고 항변한다. 치킨 전문점이 지나치게 많아 이미 본사 차원에서 결정하기 어렵다는 것. 한 업계 관계자는 “치킨 가맹점은 이미 과포화 상태”라며 “가격을 내리면 수요가 창출되는 것이 아니라 이윤만 깎아먹을 것이란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양계업계와 치킨 프랜차이즈 ‘치킨게임’ 가나
이미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에 공문을 보내 “가격을 내려 공급을 늘리자”고 요청한 대한양계협회는 본격적인 다툼을 준비하고 있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아직 치킨업계에서 별다른 답이 오지 않은 상황”이라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를 독과점 등의 이유로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치킨 가격을 둘러싼 ‘치킨게임’이 시작되는 셈이다.
지금의 치킨 프랜차이즈와 관련 없는 새로운 치킨 시장을 열자는 주장도 나온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양계농민은 “시장에서 파는 치킨을 살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별다른 진척이 없다. 이는 사람들을 시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킬러 콘텐츠’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전국 전통시장이 규격과 브랜드를 통일해 ‘시장표 치킨’을 만들고, 정부가 위생 등을 철저히 점검한다면 싼 가격으로 경쟁력이 생길 것이란 주장이다. 인근 양계장과 협약을 맺어 닭을 싼값에 공급받는 것도 가능해진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왜곡된 치킨산업의 가격 구조를 바로잡을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해철법 진통 끝 국회 법사위 통과...적용범위는? (0) | 2016.05.19 |
---|---|
부산 광안리 '세계최장 해상케이블카' 확정시 내년 8월 '착공' (0) | 2016.05.19 |
[규제 개혁장관회의]약국 문 닫으면..약사와 화상통화 후 '자판기'서 약 산다 (0) | 2016.05.18 |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수면위로 떠오르나 (0) | 2016.05.18 |
손발이 저리는 이유 미니뇌졸증증상 자가진단법 동영상 (0) | 2016.05.17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