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83세지만 노후준비 부족해 행복수명은 75세"

보사회공헌위원회, 행복수명지수 첫 발표..기대수명보다 8년 짧아 여성·기혼자·유자녀·고소득, 행복수명 길어

   

생보사회공헌위원회, 행복수명지수 첫 발표…기대수명보다 8년 짧아

여성·기혼자·유자녀·고소득, 행복수명 길어

한국인의 종합적인 노후준비수준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됐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공동으로 '행복수명지표'를 개발하고 20대 이상 경제활동인구 1천5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행복수명지표는 행복한 노후생활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건강, 경제, 대인관계,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한 객관적 준비 수준, 주관적 만족도, 준비 계획 등을 총 40개 문항으로 측정한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행복수명은 74.9세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기대수명인 평균 83.1세보다 약 8.2세 적은 것이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는 "전반적인 노후준비 부족으로 생존기간 중 약 8년 이상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76.3세)이 남성(74.0세)보다 행복수명이 길었으며 기혼자(75.9세)가 미혼자(72.7세)보다, 자녀가 있는 경우(76.3세)가 없는 경우(71.9세)보다 길었다.

또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수명도 길어졌다.

각 영역별로 보면 건강수명은 76.4세, 경제수명은 74.8세, 활동수명은 73.2세, 관계수명은 75.7세로 조사됐다.

행복수명지표 연구를 맡은 서울대 소비자학과 최현자 교수는 "단순히 점수의 높고 낮음을 통해 노후준비 수준을 알려주던 기존의 지표와 달리 '수명'의 개념을 적용,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을 기대수명과의 격차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 노력하면 행복수명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는 '백세시대(10×10)'를 의미하는 10월 10일을 '행복수명데이'로 지정하고 노후준비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이 지표를 개발했다.

위원회는 누구나 행복수명을 간편히 측정하고 노후준비 가이드라인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행복수명 자가진단 서비스(www.100happylife.or.kr)를 이달 중에 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노후준비 콘텐츠 공모전을 진행해 청계천 광교 갤러리에서 수상작을 전시하고, 라디오 공개방송도 이날 진행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인 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은 "많은 국민이 행복수명 캠페인에 동참하고 의미를 되새김으로써 노후준비 실천을 다짐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자료: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 자료: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출처] 기대수명 83세지만 노후준비 부족해 행복수명은 75세

 

--------------

 

<4050 半退시대 - 대비 전략>“행복지수, 기대수명보다 8년 더 짧아”

‘삼식이(은퇴 후 집에서 하루 세끼를 다 먹는다며 희화화한 신조어)가 되지 않을 준비가 돼 있나요?’


한국인 남성이 여성보다 가족관계나 사회활동 등 비경제적인 부문에서 은퇴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 등에 따르면 은퇴 후 노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은 건강·경제·사회활동·인간관계 등 크게 4가지다. 이를 토대로 20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1552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해 산출한 ‘행복지수’는 74.9세다. 성별로는 남자 74.0세, 여자 76.3세다.


행복지수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나이를 말한다. 한국인의 기대수명 83.1세에서 행복수명 74.9세를 빼면 8.2년이라는 시간이 남는다. 즉 생을 마감할 때까지 평균 8년간 무의미하거나 힘들게 살 확률이 크다는 게 서울대 연구팀의 결론이다.


노년 행복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는 건강으로 꼽혔다. 둘째가 경제였다. 행복수명 측정에도 건강에 35.0%, 경제력에 28.8%의 가중치를 각각 뒀다. 사회활동은 20.6%, 인간관계는 15.6%다.


건강·경제·사회활동·인간관계 영역 중 준비가 가장 덜 돼 있는 분야는 사회활동으로 조사됐다. 사회활동 수명은 73.2세다. 기대수명보다 10년 이상 차이를 보인 것이다. 특히 여성(75.1세)보다 남성(73.3세)의 사회활동 분야 행복지수가 낮았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가정보다는 일에 중심을 둔 남성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한다.


한경혜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장은 “삼식이처럼 은퇴자를 사회적으로 희화화한 표현이 나오는 건 은퇴 전 가족관계나 여가생활 등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한 탓”이라며 “은퇴 전부터 일 중심에서 가족이나 여가 중심으로 변화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무엇보다 은퇴 후 노년을 행복하게 보내기 위해선 부부관계 회복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나련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퇴자 상당수가 은퇴 후 5년 내 어려움을 경험하는 이유는 생계부양자 역할 상실로 인한 상실감과 가족관계에서 존재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출처 : 문화일보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