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가운데 계층 간의 소득불평등은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계 살림살이가 거의 나아지지 않고 있는데요. 그렇다 보니 가계는 소비를 하는 게 아닌 지갑을 닫고, 저축 위주의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돈벌이가 시원찮으니 허리띠를 더 바짝 졸라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국내 소비가 위축될 경우 기업체의 제품 생산이 줄고, 이로 인해 일자리 역시 감소해 다시 소득이 줄어드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특히 소득불평등 현상이 더 심해지면서 서민들의 가계는 더욱 힘들어 지는데요. 소득 양극화를 줄이기 위한 고용 확대, 임금격차 해소 등 저소득층을 배려하는 정책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속된 경기 불황으로 올해 2분기 가계소득과 소비 모두 답답한 제자리걸음을 반복했다.

실질소득은 늘지 않았고,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대다수의 가계는 소비보다 저축을 택했다.

교육비·식료품비 등 주요 지출이 줄어든 것에 비해 주류나 담배 지출은 늘어나 대조를 보였다.

고소득층 소득은 증가했으나 저소득층 소득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 소득불평등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소득·소비 답답한 제자리걸음 반복

7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6년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명목 기준)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8% 증가했다. 가구소득 상승률은 2014년 1분기부터 지난해 2분기까지 2∼5%대를 나타냈다가 지난해 3분기 0.7%로 뚝 떨어진 뒤 4분기 연속 0%대를 맴돌고 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0%로 보합세를 보였다. 실질소득 증가율 역시 지난해 2분기 2.3%에서 3분기 0.0%로 내려간 뒤 작년 4분기와 올해 1분기에는 각각 -0.2%를 기록하면서 뒷걸음질 쳤다.

가구소득 중에서는 재산소득이 9.8%나 감소한 영향이 컸다. 저금리 여파로 이자소득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재산소득은 지난해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마이너스(ㅡ)' 성장세를 보였다.

사업소득도 0.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월세 비중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임대소득이 줄었고, 자영업자들의 사정이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가계소득에서 세금 및 사회보장분담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은 351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 늘었지만, 소비지출은 249만4000원으로 1년 전과 변함이 없었다. 이 때문에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0.7%포인트(p)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었을 때 70만9000원을 소비지출에 썼다는 뜻으로,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1분기 이래 역대 최저치다. 이전 최저치는 2014년 4분기와 지난해 3분기 71.5%였다. 3분기 만에 다시 역대 최저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미래에 대한 불안, 소비보다 '저축' 택했다

가구는 소비 대신 저축을 택했다.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하지 않고 쌓아두는 돈인 흑자액은 102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6% 증가했다.

평균소비성향이 떨어지는 것은 인구 고령화와 저유가가 맞물린 탓이다. 통계청은 30∼40대 가구주의 소비성향이 높은데, 고령화로 60대 이상 가구주 비중이 높아지면서 소비성향이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2분기 가계는 교육비나 식료품비와 같은 중요 부문 지출마저 줄이면서 허리띠를 바짝 졸라맸다. 지난 2분기 가구당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월평균 32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2% 감소했다.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곡물 지출이 12.6% 줄었고, 당류 및 과자류(-9.0%)와 유제품 및 알(-6.7%)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의류·신발 지출은 16만5000원으로 2.5% 줄었다.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27만3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0% 감소했다.

이는 월세가구 비중이 증가하면서 실제 주거비는 6.0% 늘었으나, 유가 하락과 도시가스요금 인하 등의 영향으로 연료비가 10.1% 감소한 덕이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0만4000원으로 5.1% 줄었다.

통신비 지출은 14만6000원으로 1.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기기 구입 감소로 통신장비 지출이 4.6% 줄어든 영향이 컸다. 교육비 지출은 23만원으로 0.7% 감소했다. 고등교육 등 정규교육(12.1%) 지출이 늘어난 반면, 학원 및 보습교육이 2.1% 줄었기 때문이다.

◆식료품비·교육비 ↓…주류·담배 지출 ↑

이에 비해 주류·담배 지출은 3만5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1% 늘었다. 특히 담배는 10.9%나 뛰었다. 작년 초 담뱃세 인상으로 소비량이 줄었다가 다시 회복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보건 지출은 17만5000원으로 3.7% 증가했다. 치과서비스(28.5%) 증가폭이 컸고, 의약품(6.2%)과 외래의료서비스(2.3%)도 늘었다.

교통 지출(32만원)은 1.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가 하락에 따라 운송기구 연료비(-9.2%) 부담은 줄어든 데 반해,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책 효과로 자동차 구입이 16.5% 증가했기 때문이다.

2분기 고소득층 소득은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 소득은 크게 줄면서 소득불평등은 더 악화됐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39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감소했지만 소득 5분위(상위 20%)는 821만3000원으로 1.7%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저소득층 소득 급감…소득불평등 더 심해져

이에 따라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소득을 가장 낮은 1분위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은 4.51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4.19)보다 상승했다. 1분위 소득이 줄어든 것은 대다수 1분위에 속하는 임시·일용직과 고령층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 2분기 1분위 소득 증가율이 전체 평균을 크게 상회한 것에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2분기 1·2분위는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가계소득이 줄었지만 3·4·5분위 가계소득은 증가했다.

계속되는 경기불황의 영향으로 경조사비 등이 포함된 가구 간 이전지출은 3.7% 줄었고, 종교기부금 등 비영리단체로의 이전지출도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보험 가입자가 늘어나 보험료 인상 등으로 사회보험·연금 지출은 각각 4.7% 증가했다.

출처 : 세계일보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