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무공해 수소차, 3년 뒤 3천만원대에 산다
<앵커>
전기차와 더불어 대표적인 친환경차에는 수소차가 있죠.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연료 효율도 일반차보다 높지만 가격이 비싸, 그동안 대중화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정부가 오늘 보급 대책을 내놨는데, 가격을 크게 낮추는 방안이 눈에 띕니다.
권지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수소와 산소로 화학반응을 일으키면 전기와 물을 만들수 있다, 초등학교 과정에 나오는 이 원리가 수소차가 움직이는 원리입니다.
연료를 넣는 방식은 일반차와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휘발유나 경유 대신 수소가스를 주입합니다.
차 안에 저장된 수소를 외부의 산소와 결합시켜 전기를 만들고 이 전기가 모터를 돌려 자동차가 움직입니다.
차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물입니다.
에너지 효율도 높고 말 그대로 친환경이지만 문제는 8천만원이 훌쩍 넘는 비싼 차량 가격과 수소 충전소가 적다는 것이었습니다.
정부가 보조금을 주고는 있지만, 그래도 가격은 여전히 5천만원 후반대입니다.
정부가 이 가격을 대폭 낮추기로 했습니다.
[이영성 / 환경부 교통환경과 사무관 : 정부보조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현재 수소차에 부과되고 있는 취득세, 교육세, 등록세 감면을 위해서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럴 경우 3년 뒤쯤이면 소비자들이 3천만원대에 수소차를 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충전소도 늘려 나가기로 했습니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현재 10곳인 충전소는 오는 2020년까지 80곳, 2030년까지는 520곳이 추가 설치됩니다.
더불어 이 시점까지 총 63만대의 수소차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정부 계획대로 수소차가 보급되면 온실가스 440만톤, 대기오염물질 5천5백톤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51215200507406
-------------------------------------------------------------------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
☞ 관련기사▼ [2013/05/07] 세계 최초 수소연료전지차 양산 [2013/04/03] 현대車 기대작,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 타보니 [2013/03/18] 뉴인텍, 현대 수소차 EU 사업 재선정 '강세' [2013/03/17] EU 오피니언 리더들 '투싼ix 수소차' 또 탄다 [2013/02/26] 3분 충전에 594km 질주…'수소차' 직접 타보니 |
[섹터분석] 수소차 관련주,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출처:http://returntooza.tistory.com/82
------------------------------------------------------------------------------
-------------------------------------------------------------------------------------
수소자동차 테마주 수소자동차 관련주 수소자동차 수혜주
이엠코리아,뉴인텍이 대장.
*수소자동차 관련 뉴스
수소차 시장 2025년 32조원… 세계 각국 인프라 구축 시동
*수소자동차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부족한 현대자동차가 친환경자동차의 돌파구라고 생각하고있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자동차 선진국들에 비하면 우리의 내연기관 개발은 100년 이상 뒤쳐져있다.
연료전지는 같은 출발을 하는것이기에 경쟁력이 있다.
-연료전지의 원리-
수소+산소를 반응시켜 생산된 전기로 모터를 돌리는 원리.
*수소 연료전지를 해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번 충전에 600키로 주행.
최고시속 160키로
100키로 가는데 기름은 2만원 , 수소차는 3천원이면 이동.
*수소자동차 관련주 총출동
전기차가 시장의 화두가 되고 있으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대중화는 힘들듯..
지금 당장의 기술적 한계는 있으나 대중화로 볼때 가장 현실적인 친환경차는 수소차가 될 전망.
*현대차는 전기차 보다 수소차에 전념.
*일본은 수소에너지 이용 3단계 로드맴 발표ㅣ.
*일본 도요타
3분 완충. 한번 주유로 700키로 가는 자동차 양산임박. 7000만원대
수소차의 단점은 수소충전 스테이션의 설치비용이 너무 고가라는 점입니다.
@수소차 관련기업
*대형주
현대모비스, 현대하이스코, 한국타이어, 코오롱인더스트---수소연료전지차 부품개발에 참여
*신규
시노펙스--수소연료전지 분리막 관련 필터기술력 보유
1)수소스테이션
*이엠코리아--국내최초 수소스테이션 구축업체. 새만금등에 구축.
이번에 대구에 세계최대 규모 스테이션 구축. 대장주
2)필름, 캐퍼시터 콘덴서 기업들
뉴인텍--뉴인텍은 수소차에 탑재되는 인버터용 콘덴서를 독점 공급하고있다.
필코전자--뉴인텍 후발주. 기대감.
삼화콘덴서, 성문전자,성호전자등.
3)미코--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에서 발전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인 스텍기술 보유.
SOFC는 물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중 세라믹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으로 에너지 효율이 60%이상에 달하는 등 잠재력이 커 국내 대기업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분야임
4)우리산업--
5)수소저장 관련
엔케이--사회사 이엔케이를 통해 수소연료전기 자동차 관련사업 진행
수소연료 전지자동차용 수소저장탱크와 관련된 국책 과제를 현대자동차와 진행
출처: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0458&memberNo=1049&vType=VERTICAL
----------------------------------------------------------------------------------------------------------------------
▲ 출처: 현대자동차 공식 사이트
바로 지난 9일, 2015 도쿄모터쇼가 막을 내렸죠. 세계 자동차 트렌드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이번 모터쇼에서 가장 눈에 띤 것은 바로 친환경 자동차였답니다. 지금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단연 화두는 ‘연비’죠. 디젤 자동차의 인기가 수그러지고, 대신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등 친환경 연료 에너지 자동차들이 대거 등장했답니다.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조금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거에요.
고갈되는 화석연료와 탄소배출 감소를 위해 새롭게 떠오른 친환경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도대체 어떤 원리로 전기를 만들어 내고, 전기차와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공해 없이 달리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란?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원리(출처: www.seriouswheels.com)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줄여서 FCEV(Fuel Cell Electrical Vehicle) 또는 FCV라고 부르는데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모터로 구동됩니다. 배기가스 대신 물을 배출해 무공해 친환경 자동차로 각광받고 있는데요. 기술만 있다면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력적입니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가 보급된다면, 에너지 걱정은 물론 배기가스와 지구 온난화에 대한 걱정도 줄어들 것 같네요.
#수소연료전지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 수소연료전지(출처: http://today.lbl.gov/)
연료전지는 약 160년 전 1839년 영국 그로브(W.Grove) 경이 실행한 전지실험이 시작이었습니다. 1959년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박사가 알칼리 전해질형 연료전지(AFC)를 발명했는데, 이후 산소와 수소만으로 전력을 만들 수 있어 우주선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 발전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된 것은 1990년대인데요. 바로 1997년 선진국의 온실효과 가스 삭감목표를 기록한 ‘교토의정서’가 기폭제가 됐습니다. 일본은 2008~2012년에 온실효과 가스 배출량을 1990년 기준 6% 삭감해야 했는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획기적인 신기술이 필요했고. 그 기술이 바로 ‘수소연료전지 기술’이었습니다.
#전기자동차와는 어떻게 다를까?
▲ 출처: http://designtimeline.cias.rit.edu/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도 결국 전기에너지로 구동하는 자동차인데요, 그렇다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전기자동차와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 전기자동차의 경우, 스스로 전기를 생산해내지 못해 충전소에서 전기를 충전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스스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따로 충전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수소를 주입해야 하는데요, 일반 휘발유를 주입하는 시간과 별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또한 전기자동차는 한번 충전하는 데에 기본 30분 이상이 걸리고, 주행거리도 100km 정도로 짧아 약간의 불편함이 있는데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 한번 충전으로 400~600km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 도요타 FCEV 콘셉트 이미지(www.autoevolution.com)
하지만 지금까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가 많이 나오지 못했던 이유는 바로 ‘비용’ 때문이었는데요. 차체에서 직접 전기에너지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와 모터 외에 발전장치가 별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기차보다 훨씬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 보급되기까지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었는데요. 폭스바겐 사태 이후 디젤 차량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친환경 연료 자동차 개발이 가속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양산화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 같았던 수소연료전지 콘셉트카가 대거 선보일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어요.
또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들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도 내려갈 조짐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에요. 그렇다면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탈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요?
#도쿄모터쇼에서 선보인 수소연료전지 콘셉트카
1 렉서스 LF-FC
▲ 출처: http://www.lexus-int.com
렉서스는 도쿄모터쇼에서 수소연료전지 콘셉트카 ‘LF-FC’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는데요. 연료전지기술을 적용, 수소 탱크를 T자 형태로 제작해 최적의 전후 중량배분을 이뤄냈습니다. 친환경과 주행의 안전성과 즐거움을 그대로 구현한 자동차라고 할 수 있는데요. 럭셔리함, 친환경, 고성능 등 모든 것을 완벽하게 구현한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라고 할 수 있답니다.
2 도요타 FCV Plus
▲ 출처: http://icdn5.digitaltrends.com/
도요타는 이미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미라이’를 양산판매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선보인 FCV PLUS는 탑재된 수소 탱크뿐 아니라 차량 밖에 있는 수소에서 직접 발전이 가능하고, 또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다른 곳에 공급할 수 있는데요. 자동차를 작은 수소발전소로 만든 것입니다. 자동차를 굴리는 것을 넘어 지역사회의 발전장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고 합니다.
3 혼다 FCX 클래리티(Clarity)
▲ 출처: http://automobiles.honda.com
혼다 FCX 클래리티는 2개의 수소 탱크를 장착해 1개일 때보다 높은 압력으로 수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기존 수소차보다 전기를 만드는 발전장치 크기를 33% 작게 한 점이 눈에 띄는데요. 1회 충전으로 최대 698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충전시간은 3분으로 대폭 줄였습니다. 2016년 3월 일본에서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도 최대한 낮출 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도 #친환경 자동차 시대!
▲ 현대자동차 FCEV(출처: http://www.autopista.es)
우리나라도 이제 친환경 자동차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데요. 내년 새로 출시될 자동차 중 친환경 자동차만 10여 종에 달한다고 합니다. 전기차(EV) 1종,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6종, 하이브리드차(HEV) 3종 등인데요. 국내 소비자들도 친환경 자동차를 많이 선호한다는 증거겠죠? 그리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현대자동차에서는 올해 2월 국내 투산iX 수소연료전지차 가격을 43.3%나 인하한다고 밝혔는데요. 국내 수소연료전지차의 대중화를 위한 조치임과 동시에 세계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대중화를 위한 첫 걸음, #수소 충전소!
▲ 현대자동차 ix35 FCEV(출처: http://www.hyfive.eu/)
이제 세계적인 자동차 트렌드는 친환경 자동차로 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자동차 회사들에게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 사항이 되어가고 있는데요. 다양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들이 이제 곧 세계 도로를 누비는 날도 머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국내 보급을 가로막을 것으로 보이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수소 충전소'가 부족하다는 거에요.
정부는 올해 수소 충전소를 100기에서 2025년까지 1천기, 2030년까지는 3천기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우리에게는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을 수 밖에 없겠죠? 친환경 자동차들이 우리나라 도로를 시원하게 달릴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이 빨리 이뤄지기를 바래 봅니다.
출처:http://www.chemidream.com/1404
-------------------------------------------------------------------------------------------
수소차 2018년부터 3000만원대 구매가능 수소차 장점단점 비교
"정부, 보조금 지원·세제 혜택 확대…2030년까지 충전소 520곳 설치"
[한경닷컴 콤파스뉴스=이승현 기자] 정부가 친환경 수소차 보급 확대에 나서며 이르면
2018년부터 3000만원대 차량 구매가 가능해 집니다.
환경부는 1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을 수립,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현재 5000만원대의 수소차를 2018년까지 3000만원대 후반, 2020년까지 3000만원 초반으로 낮추기위해
여러가지 플랜에 착수합니다
수소차 구매시 지원보조금을 2750만원으로 늘리고 지원대수 역시 점차 늘린다는 방침이며
지방자치단체도 구매 보조금을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협의할 계획입니다
또한 수소차의 구매 및 등록시 부과하는 세금도 전기차 수준으로 감경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전기차의 경우 1200만원의 정부 보조금 외에 지자체가 평균 52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 하고 있는데 수소차 역시 이 같은 방식으로 지원하게 되며
현재 8500만원 수준인 수소차 출고 가격은 2018년 6000만원, 2020년 5000만원 수준으로 인하될 수 있도록 차업계 및 관계부처와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2030년까지 수소차 63만대가 보급되면 온실가스 440만톤, 대기오염물질 5500톤 감축과 석유 소비량 6억3000ℓ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며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수소차의 장점 (나무위키)
수소의 높은 효율로 적은 연료로 많은 거리를 달릴 수 있다.
따라서 1.5톤급의 승용차로도 차가 한적한 고속도로에서 수소 1kg당 150km이상 갈 수 있다.
대형차를 굴리더라도 높은 효율로 운행이 가능하다. 연료 무게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배기가스 대신 물을 방출하므로 환경에 안정적이다.
기술 개발로 인해 가스차나 석유차보다 폭발면에서 안정적이다.
기술개발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시에도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석유차보다 훨씬 줄일 수 있다.
효율 높은 전기차는 리튬으로 개발해야 되는데 그렇게 되면 많은 리튬이 들어 리튬 고갈이라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되지만 수소차는 무한정의 물을 분해해 생산하므로 그럴 일이 없다.
수소차의 단점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데 드는 에너지량은 수소가 내는 에너지보다 2~3배나 더 높다.
따라서 이 형태로는 수소차의 상용화가 불가능하다. 인건비와 기타 비용을 포함하면 7~8배 이상 차이 난다.
현재로써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있고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수소 생산 방법은 초고온 가스 냉각로(원자로의 한 종류로써 4세대 원자로)를 건설하여 부산물로 얻어지는 열로 수소를 고온에서 열 분해하여 생산하는 방법인데, 한국에 모든 자동차를 수소연료전지차로 바꾸고 이를 위한 수소의 공급을 모두 초고온 가스 냉각로가 전담한다고 가정 시 30만kW급 초고온 가스 냉각로를 90기 가량 지어야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가능하다.
시속 80~100km는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지만 시속 120km가 넘어가면 힘이 딸리게 된다. 최대 시속은 시속 160km이다.
큰 사고시 폭발 위험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폭발 위험성이 있는 기체형태가 아닌 격자구조물질에 수소를 담아 저장하는 수소저장합금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 인프라 구축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물 8잔 힘들다면'.. 먹기만 해도 수분 채워주는 식품 6가지 (0) | 2015.11.14 |
---|---|
"무인기에 지뢰제거 로봇까지"..전장 무인화 가까워진다 (0) | 2015.11.14 |
수소차 보급 확산, 날개 달자 (0) | 2015.11.13 |
폭발 위험·유해가스 ‘0’…수소차 시대 ‘성큼’ (0) | 2015.11.13 |
시노펙스, 코멤텍과 수소차 연료전지 분리막 개발 협약 (4) | 2015.11.13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