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북항 그랜드 마스터 플랜' 초안 발표, 해양비즈니스·문화관광·R&D 중심지 북항 미래 선보여

 

부산시가 부산항 개항 14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재개발이 진행 중인 북항의 30년 후 미래를 가늠할 수 있도록 종합 청사진을 마련해 처음 공개했다.

부산시는 23일 오전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부산항만공사 등 관련 기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김규옥 경제부시장 주재로 '제 4차 명품 북항 창조협의회'를 열고 '북항 그랜드 마스터 플랜'안을 논의했다.

'북항 그랜드 마스터 플랜'은 북항 전 지역에 오는 2035년까지 ▲국제교류 도시축 ▲ 창조경제 중심축 ▲게이트웨이 연계축 등 3개 기능의 중심축을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부산 '북항 그랜드 마스터 플랜' 조감도  (그림 = 부산시 제공)
부산 '북항 그랜드 마스터 플랜' 조감도 (그림 = 부산시 제공)

항만과 철도를 이용한 화물 수송 기능 위주였던 북항과 원도심을 해양비즈니스와 문화·관광, R&D 중심의 글로벌 도시로 탈바꿈시키는 계획이다.

먼저 '국제교류 도시축'은 해양비지니스와 MICE, 관광 문화 시설을 집적하는 것으로, 북항재개발 1단계 · 자성대 부두 2단계 · 부산역 일원 철도 재배치 · 55보급창 · 영도 한진중공업 일원 등이 포함된다.

'창조경제 중심축'은 해양 관련 산업의 융·복합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해양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구역으로 우암 · 감만· 8부두와 영도 청학동 조선소, 동삼혁신도시 등이 해당된다.

'게이트웨이(관문) 연계축'은 원도심과 부산항· 부산역 ·신공항 등 부산 관문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랜드마크 조형물을 조성한다.

부산지역 철도시설 재배치와 부산역~부전역 철도 지하화, 신공항~북항 도로건설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북항 3개기능 중심축 개발 방향 구상도 (그림 = 부산시 제공)
북항 3개기능 중심축 개발 방향 구상도 (그림 = 부산시 제공)

현 단계에서 추정 가능한 7개 단기·중기 사업에만 3조 5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단기 사업은 5년 이내에 중·장기 사업은 20년 이내에 착수 또는 검토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마스터플랜은 2~30년 후 북항의 모습을 조감도 형태로 구현하며, 해양수도이자 유라시아 출발도시인 부산의 미래 청사진을 시 차원에서 최초로 제시하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시는 지난해 4월 용역에 착수했으며, 약 10개월 만인 이날 '북항 창조협의회'에서 중간보고회 형태로 논의를 진행하고 전체 밑그림을 공개했다.

시는 앞으로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수렴해 수정·보완 작업을 거치고, 이후 해양수산부·부산항만공사 등과 세부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다.

김규옥 경제부시장은 "오늘 공개한 그랜드마스터플랜은 부산항에 대한 국가차원의 계획에 앞서 부산의 미래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는 청사진의 초안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이 계획은 앞으로 국비확보를 위한 구상사업을 발굴하고, 부산시민에게 부산의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부산 발전에 대한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는 목적도 갖고 있다.

출처:http://media.daum.net/society/nation/gyeongsang/newsview?newsid=20160223112103415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