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국내외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입니다. 미국의 금리 조정에 따라 세계 금융시장의 화폐 흐름이 바뀔 수도 있고, 그 동안 각국의 주가를 끌어올렸던 풍부한 유동성 환경도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죠. 일반적으로 투자자금이 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금리가 낮은 곳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볼 때, 미국의 금리인상 예상 속에서 달러 가치가 상승하는 주된 이유가 설명이 되죠. 거기에 수익률에 민감한 부자들이 달러를 주목하면서 달러 자산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최근 국내 금융권의 트렌드이기도 합니다.     




금리 인상 기대에 힘을 얻는 달러 가치


그간 미국은 경제 회복 상황에서 통화정책 정상화의 일환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임을 수 차례 시사해 왔는데요. 금융시장에서는 올 하반기 중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특히 시기상 9월일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답니다. 미국은 주택시장 붕괴 여파로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10월 이후 기준금리를 0~0.25%로 유지해 왔는데요. 시장에 활력을 불어놓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초 저금리를 고수한 것이죠.



최근 들어 고용시장과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미국 전체 시장 경기가 개선되자 기준금리 역시 점차 정상화할 필요성이 커진 건데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2006년 6월이 마지막이었습니다. 당시 5.25%로 인상된 기준금리는 2007년 9월까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다 그 이후 하락하게 돼서 지금은 0% 대까지 내려선 것 입니다.


이제 무려 9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자 달러 가치가 오르고 있죠. 올 들어 달러 인덱스는 5% 가까이 상승했고, 2015년 4월 저점 대비로는 25%나 올랐습니다. 


  

  


  ▶달러인덱스(US Dollar Index)란...

  달러인덱스 혹은 달러지수는 세계 주요 6개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네)에 대한 

  달러 가치를 지수화 한 것임. 1973년 3월이 기준점으로 100에서 시작했으며, 달러지수 상승은 주요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 가치가 상승했음을 의미함, 달러지수 하락은 미국 달러 가치가 떨어졌음을 뜻하는 말.  



현재 원/달러 환율은 1,110 원 선을 중심으로 등락하고 있어 2014년 7월 저점 대비 10% 정도 상승했는데요. 이는 원화의 가치는 거꾸로 달러 대비 10%가 떨어졌다는 얘기입니다. 사실상 원/달러 환율은 2006년 초부터 2008년 초까지 900원 대에 머물러왔으나, 금융위기 여파로 인해 2009년 3월에는 16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답니다. 2010년 하반기 이후부터는 주로 1,000~1,200원 사이에서 등락했지만요.




단기 수익성 외 갑자기 발생한 금융위기 상황에도?


미국 경제의 회복 양상이 달러 가치를 높이는 당장의 요인임에는 틀림 없죠. 그러나 자산가들의 달러에 대한 관심은 단기적인 수익성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부자들은 달러를 분산 투자의 방편으로 이용하기도 하며, 혹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위기 상황의 대응책 혹은 자녀 유학자금이나 해외 여행자금 등 실수요를 위해 비축하기도 합니다. 




자산가들의 달러를 이용한 분산 투자 요령 엿보기


대다수 투자자들은 여유자금을 국내 주식, 채권, 보험, 부동산 등에 분산 예치합니다. 여러 자산에 분산함으로써 자산관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죠. 하지만 그렇게 다양한 자산을 보유했더라도 모든 자산이 원화라면 진정한 의미의 분산 투자라고 할 수 없는 것 입니다.


부자들은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달러를 편입하곤 합니다. 분산 투자와 일맥상통 하는 얘기인데요. 달러는 국내 경제 흐름과는 별개의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 자연적으로 분산 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죠.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측면만 하더라도 금융위기 때마다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요. 2008년에 그랬던 것처럼 글로벌 금융위기가 국내에도 전면적인 타격을 가할 경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 전반의 가격이 일제히 급락하게 되는데요. 분산 투자 되었어도 원화로 이뤄진 전체 자산 가치가 급락하는 상황은 모면하기 어렵게 됩니다. 반면 달러에 분산 투자를 한다면 국내 자산이 일제히 하락해도 일부 자산의 가치를 지켜낼 수 있는 것이죠. 


반면 달러를 보유하고 있는데 달러 가치는 떨어지고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어떨까요? 달러를 굳이 투자용으로만 보유하고만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해외 여행시 여행 경비로 써도 되고, 가족이 유학 하는 경우 교육 자금으로 써도 되죠. 게다가 보유 중인 달러 가치는 하락해도, 한편으로 분산 보유 중인 원화 자산의 가치가 상승한 셈이니 그것만으로 많은 위안이 될 것 입니다.




달러 투자 전 알아야 할 외화예금 3가지


달러 투자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외화예금입니다. 외화예금에는 원화예금과 마찬가지로 외화보통예금, 외화정기예금, 외화적립식예금 등이 있답니다.



  외화보통예금

  -예치금액, 예치기간 제한 없으며 자유로운 입출금 가능

  -달러를 활용한 예금 가입 및 원화를 활용한 달러 매입 후 예치 가능

  -이자는 연 0.005%이며 일반 과세는 15.4% 적용 

  -예금자 보호 금액은 원화예금포함 5,000만원 한도 내 적용


  외화정기예금

  외화로 예금하고 인출하는 정기예금

  약정기간이 길수록 높은 확정이자 보장

  가입 대상에 제한 없으며 예치기간은 1일~3년(은행마다 차이 있음)

  만기 이전에 중도 해지할 경우 약정 금리보다 낮은 이율 적용

  (그 외 외화보통예금과 동일한 요건 적용)


  외화적립식예금

  -정기적금과 비슷한 형태이나 적립일이나 적립횟수 등에는 제한이 없음

  -예치기간은 1개월 이상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보유할 때는?


물론 투자자들은 원화를 달러로 환전한 후에 보유할 수도 있습니다. 해외여행 목적이라면 여권만 있으면 환전이 가능하고, 여행이 아니라 소지 목적이라면 주민등록증과 같은 실명 확인증표가 필요하고요. 환전 금액에 제한은 없으나 1만 달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국세청 통보 대상이 된다는 점 유의하셔야 합니다.  



물론 환전할 때에는 환전수수료라는 비용이 소요됩니다. 매매기준 환율에서 일정 수수료가 부과된 것이 실제 살 때와 팔 때 적용되는 환율인데요. 미국 달러를 매입 혹은 매도할 경우, 매매기준 환율에서 각각 1.75%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환전 수수료는 통화마다 차이가 존재하고요.  




미국 달러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 엿보기


달러를 저축하거나 단순 보유하는 방안도 있지만, 달러 표시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미국의 장단기 채권이나 미국 주식에 달러로 투자한다면,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환이익 뿐만 아니라 주식 및 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자본이득도 얻을 수 있죠. 직접 투자보다는 펀드를 통한 간접 투자가 일반적인 방법이고요. 물론 통화 가치와 자산 가치가 기대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이중으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 주의하셔야죠.


주식이나 채권이 아닌 일반 ELS 상품 중에도 원화가 아닌 달러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있답니다. 일반 ELS와 구조는 유사하나 투자하는 통화가 원화 아닌 달러라는 점이 다른데요. ELS 투자 수익 이외에 달러 가치 상승 시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외환 투자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달러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통화로 인식되기는 하지만, 항상 안정적인 환율을 유지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환율은 국가간의 통화정책과 경제상황 그리고 금융여건 등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해서 결정되는 만큼, 그 향방을 가늠하기가 무척 어렵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외환에 투자할 때에는 제 아무리 달러라고 하더라고, 거액을 한 곳에 투자하기 보다는 전체 자산의 일부를 분산 투자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 드려봅니다.

출처:http://www.lifentalk.com/975

----------------------------------------------------------------------------------------------


[출처] 달러투자에 관하여(외화예금 vs 달러선물ETF)

----------------------------------------------------------------------------------------------------------------------------

 


달러 강세에 대비하는 우리들의 자세- 달러가 오를 것이라 예상될 때, 투자 방법 3가지


1. 달러 환전 (서울역 환전센터에서 수수료 90% 할인 받고)

2. 외화 예금

3. 달러 관련 ETF, ETN 투자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건 있어가지고... "달러 강세에 대비해서 헷징을 해야겠어", "포트폴리오를 늘려야겠어." 라고 마음 먹었는데요. 

우선 인터넷 검색을 하니까 환율헷징 방법으로 ETN, ETF 종목에 관심을 기울여보라고 말하더군요.

무엇보다 환전/외화예금보다 수수료를 적게 낼 수 있고,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추천을 많이 해주시더군요.


 

근데.. ETN, ETF?? 이건 또 뭔소리냐?



열심히 인터넷을 검색해본 결과... ETN과 ETF도 주식거래소에서 구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무작정 검색에서 '달러'를 쳐보니 기괴한 이름의 종목이 등장하더군요. 바로 <KOSEF달러선물>이라는 종목입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얘네들이 어떤 방식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인지는 모르지만!! 우선 한번 사보도록 합시다.



제가 산 종목은 KOSEF 달러선물 입니다. 사실 ETN 종목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ETF 종목인건 함정입니다. 

뭐... 뭐든 어떻습니까 ㅠㅠ 하나씩 배워가는 거겠죠. 우선 ETF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에서 만든 웹툰인데요. ETF에 대해 잘 설명해주고 있어요! 참고하세요



KOSEF는 우리자산운용 ETF 브랜드라고 하는군요. (미래에셋자산운용 - TIGER, 삼성자산운용 - KODEX, 한국투자자산운용 - KINDEX 등)

무식하게 사긴 했는데.. 약간의 후회가 밀려옵니다.


 

"넌 도대체 뭘 믿고 이 종목을 샀니?ㅋㅋㅋㅋ하하하 ㅂ신"



네... 겸손한 자세로 <KOSEF달러선물> 종목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KOSEF달러선물>의 주가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원달러선물((F-USDKRW))의 움직임을 따라간다고 합니다.




원달러환율이 오르면(달러 강세) KOSEF달러선물도 상승

원달러환율이 내리면(달러 약세) KOSEF달러선물도 하락




ETF 자산 중 5%는 달러선물 증거금에, 1%는 달러 예금 매수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단기채와 유동성 자산에 투자한다고 하네요.

그러니까... 증권사들이 ETF종목에서 모인 돈을 가지고 자기네들이 알아서 투자를 해준다~ 그에 따른 추가적인 수익도 배분해준다. 이말인거죠? 


 

환율 상승에 따른 수익 + 투자에 따른 추가 수익 배분




뭔가 꿩먹고 알먹는 기분이라 좋긴한데...

그 대신 투자자들은 증권사에 소정의 매매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연 0.37% (판매 연0.12%, 집합투자 연0.20%, 신탁 연0.025%, 사무관리 연0.025%)] 예전엔 "수수료가 뭐 대수야..." 이랬었는데. 투자할 때 수수료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해야 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흠...ETF에 대해 알아보고 나니- 굉장히 편리한 투자방법이더군요. 달러가 강세인 이때 투자 수단으로 추천!!!




[출처] 달러 강세에 대비하는 우리들의 자세 - ETF 종목인 <KOSEF 달러선물>을 사보자.

 

 

----------------------------------------------------------------------------------------------------------------

키움운용, 인버스 레버리지ETF 첫선

  • 美 달러선물지수 기초 자산
    "낙폭 2배 수익"… 16일 출시
  •  

    키움투자자산운용이 기초지수가 하락하면 낙폭의 2배에 해당하는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인버스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다. 

    키움자산운용과 한국거래소는 'KOSEF 미국달러선물 인버스 2X(합성) ETF'가 오는 1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다고 12일 밝혔다. 미국 달러 선물지수를 기초로 하는 이 상품은 지수 일간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로 미국 달러의 선물지수 수익률이 떨어지면 이 ETF의 수익률은 반대로 2배가 오른다. 키움운용은 "달러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앞으로 달러화 가치 하락에 대비한 헤지 수단으로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2일 발표한 ETF 활성화 방안에 따라 인버스 레버리지 ETF의 상장이 허용된 후 실제 시장에 상품이 나오기는 처음이다. 키움운용은 지난달 금융위의 ETF 활성화 방안 발표 직후부터 상품 출시를 준비해왔으며 공격적 투자성향의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상품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인버스 레버리지 ETF는 수익뿐 아니라 손실도 확대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있어 투자위험이 일반 ETF보다 높다. 또 기초지수가 일정 기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경우 누적수익률은 특정 기간의 수익률을 단순히 -2배 한 것보다 높아질 수 있다. 키움자산운용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실제로 거둘 이익이나 손실 모두 복리효과가 발생해 훨씬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투자신탁운용도 금 선물 지수인 'S&P 금선물가격'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의 출시를 준비 중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의 출시는 내년 이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 위험평가액 한도가 200%로 확대돼야 해 내년에 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출처:http://economy.hankooki.com/lpage/stock/201511/e20151112175528141750.htm

     

    --------------------------------------------------------------------------------------------------------------

     

    "정책기대감 지속 '유럽 ETF' 관심 필요"

     

    [굿모닝 투자의 아침]

    ETF 성공투자

    출연 : 문남중 대신경제연구소 연구원

    지난 10월 FOMC 의사록 공개를 통해 미국의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되고 있어 달러강세 압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내년 미국의 경제성장이 2% 중반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금리인상 기조와 함께 달러강세 압력도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외ETF는 미국상장된 ETF이며, 달러강세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상품은 POWERSHARES사의 UUP이다. 국내상장된 ETF 중 키움투자자산운용의 KOSEF는 달러선물의 대표상품이며, 레버리지 상품도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국내ETF에 미국달러선물과 관련된 인버스2X도 출시되었기 때문에 달러하락 시 관심가져도 좋다.

    현재도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는 지속되고 있지만 규모가 감소하고 있어 강도는 이전에 비해 약해진 상태이다. 지난 주 글로벌 ETF자산 시장으로 약 19억 달러가 유입되었다. 반면 정책기대감으로 인해 서유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ETF를 통한 서유럽으로의 자금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신흥국에서의 자금유출은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도 모멘텀의 부재로 3주 연속 자금유출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주 자금유입 상위 ETF는 미국의 금리정책 불확실성 완화로 인해 저변동성 및 중소형주 ETF인 POWERSHARES S&P 500에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되었으며, ISHARES RUSSELL 2000 ETF와 ISHARES의 투자등급 채권 ETF에도 자금이 유입되었다.

    반면 자금유출 상위 ETF는 전고점 수준으로 단기상승을 보인 지수에 대한 차익실현으로 인해 대형 인덱스인 POWERSHARES의 기술주 ETF, SPDR S&P 500 ETF, SPDR의 다우존스 산업지수 ETF 순으로 자금유출이 이루어졌다. 금주에도 미국 금리정책 완화로 인해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있어 ETF의 자금유입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주 후반 미국에 대한 완화적인 분위기로 인해 코스피지수가 상승했으며, 2,000선을 근접한 모습을 보이며 주간기준 0.84% 상승했다. 지수 반등구간에서 레버리지를 활용한 자금에 대한 수요가 발생해 레버리지 ETF로 자금유입이 많았지만 KODEX 200을 중심으로 대량의 자금유출도 발생했다. 또한 전기차 부품과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대한 성장성 기대로 인해 LG그룹주의 주가가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TIGER LG그룹+ ETF가 5%대 상승했다. 반면 구리가격은 6년래 최저가를 기록해 TIGER 구리실물 ETF의 수익률은 부진했다.

    유로존이 추가 양적완화와 관련된 정책기대감을 높여 간다면 유로화의 약세에 기반한 기업들의 체감심리는 향후 개선될 것이다. 금일(24일) 발표되는 미국의 10월 기존주택판매는 전월 대비 2.7% 감소할 것이며, 내일(25일) 발표되는 신규주택매매는 전월 대비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고용시장의 회복세로 인해 임금은 상승할 것이며, 낮은 금리를 바탕으로 주택수요가 개선되고 있어 미국의 금리인상을 뒷받침하는 지표가 될 것이다. 금일 발표되는 미국의 11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전월 보다 개선된 99.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7일 블랙프라이데이를 시작으로 미국의 연말소비에 관심이 증대될 것이며, 이를 엿볼 수 있는 지수는 금일 발표되는 소비자신뢰지수가 될 것이다.

    미국의 연말소비 시즌을 앞두고 전반적으로 분위기는 좋지 않다. 하지만 연말소비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지난 주에 이어 위험자산 선호성향 지속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국의 전미소매협회는 올해 미국의 연말소비는 과거 10년 평균(3.1%)을 상회하는 3.7% 증가를 전망하고 있다.

    시장은 모멘텀을 찾기 위해 이에 대한 관심을 지속할 것이며, 금일 발표되는 소비자신뢰지수가 이를 뒷받침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금주에는 인덱스 상품을 중심으로 대응해야 하며, 해외투자처는 정책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유럽 ETF에 지속적으로 관심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원·달러 환율의 하락압력이 금주 높아질 수 있어 내수주 중 소비와 배당주 관련된 종목인 TIGER 중국소비테마, ARIRANG 고배당주를 중심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51124135929422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