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전경련, 2014 소득분위별 근로자 임금 발표…"중간순위 연봉 2465만원"
또 지난해 평균연봉은 3240만원이며, 임금근로자 100명 중 소득 상위 50번째 근로자의 연봉(중위소득)은 2465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9일 이같은 내용의 '2014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임금 분석'을 발표했다. 이는 고용노동부가 1404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의 원시 데이터를 활용한 것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고용주,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은 6408만원 이상이었고, 상위 20%는 4586만원~6408만원, 상위30%는 3600만원~4586만원이었다. 전체 평균연봉이 3240만원인 가운데 소득분위별 평균연봉은 10분위(상위10%이상)는 9287만원, 9분위(10~20%)는 5390만원, 8분위(20~30%)는 4030만원, 7분위(30~40%)는 3256만원, 6분위(40~50%)는 2708만원 등으로 조사됐다. 또 5분위(50~60%)는 2284만원, 4분위(60~70%)는 1920만원, 3분위(70~80%)는 1594만원, 2분위(80~90%)는 1216만원, 1분위(90~100%)는 584만원이었다.
9분위(10~20%)의 총연봉 비중은 16.7%이며, 8분위(20~30%)는 13.1%, 7분위(30~40%)는 9.5%, 6분위(40~50%)는 8.4%, 5분위(50~60%)는 7.1%, 4분위(60~70%)는 5.9%, 3분위(70~80%)는 5.1%, 2분위(80~90%)는 3.7%, 1분위(90~100%)는 1.8%였다. 연봉금액별 근로자수 분포를 살펴보면, 연봉이 ‘1억원 이상’인 근로자는 35만 1381명(2.5%), ‘1억미만∼8000만원’은 42만 5107명(3.0%), ‘8000만원미만∼6000만원’은 88만 6140명(6.3%), ‘6000만원미만∼4000만원’은 191만 1739명(13.6%), ‘4000만원미만∼2000만원’은 523만 6490명(37.3%) ‘2000만원미만’은 524만 3576명(37.3%)으로 분석되었다. 이철행 전경련 고용복지팀장은 "동일한 원시 데이터를 활용한 고용부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6278만원, 중소기업 정규직은 3323만원 이었다"라며, "이는 각각 임금근로자 중 소득 상위 10.5%, 35.7%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출처:http://news.mt.co.kr/mtview.php?no=2015120909225063015&type=1 -------------------------------------------------------------------------------------------------- 임금근로자 평균연봉 3240만원..."상위 10%는 6408만원 이상"
임금근로자 평균연봉 3240만원 [TV리포트] 임금근로자의 2014년도 평균연봉은 324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근로자 100명 중 소득 상위 50번째 근로자의 연봉(중위소득)은 2천465만원으로 평균치보다 낮았다. 전경련은 9일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의 1,404만명에 대한 원시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한 '2014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임금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용주,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근로자 연봉은 6,408만원 이상이었고 상위 20%는 4,586만∼6,408만원, 상위 30%는 3,600만∼4,586만원이었다. 소득분위별 평균연봉은 10분위(상위 10% 이상) 9,287만원, 9분위(10∼20%) 5,390만원, 8분위(20∼30%) 4,030만원, 7분위(30∼40%) 3,256만원, 6분위(40∼50%) 2,708만원, 5분위(50∼60%) 2,284만원, 4분위(60∼70%) 1,920만원, 3분위(70∼80%) 1,594만원, 2분위(80∼90%)는 1,216만원, 1분위(90∼100%) 584만원이었다. 상위 10% 이상의 총연봉은 임금근로자 전체 연봉의 28.7%를 차지했다. 연봉금액별 근로자수 분포를 보면 연봉이 '1억원 이상'인 근로자는 35만1천381명(2.5%), '1억원 미만∼8천만원'은 42만5천107명(3.0%), '8천만원 미만∼6천만원'은 88만6천140명(6.3%), '6천만원 미만∼4천만원'은 191만1천739명(13.6%)으로 나타났다. 또 '4천만원 미만∼2천만원'은 523만6천490명(37.3%), '2천만원 미만'은 524만3천576명(37.3%)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동일한 원시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결과를 보면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6,278만원, 중소기업 정규직은 3,323만원이었다"며 "이는 각각 임금근로자 중 소득 상위 10.5%, 35.7%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3천240만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용주와 자영업자를 제외한 임금근로자 중 상위 10%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6천408만원 이상이었고 상위 20%는 4천586만원에서 6천408만원이었습니다. 또 연봉 1억원 이상인 근로자는 전체의 2.5%인 35만여명이었고 2천만원 미만의 저임금 근로자는 37.3%인 524만여명이었습니다. 출처: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51209144145799
|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사법부는 왜 신뢰를 잃었을까? (0) | 2015.12.11 |
---|---|
국세청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대상자확인과 신청방법, 수령금액 알아보기. (0) | 2015.12.11 |
타이젠·삼성페이·녹스…삼성전자, SW 고도화 나선다,라온시큐어의녹스 (0) | 2015.12.10 |
센서·3D프린팅 등 스마트제조 기술수준 88%까지 끌어올린다 (0) | 2015.12.10 |
공인인증서 지문 인식 스마트폰 없으면 소용없다,간편결제시스템,'액티브X' 없이 공인인증 (0) | 2015.12.10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