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카카오드라이버' 대리운전기사 모집 시작택시기사용 앱 출시, 면접 통해 선발...운전경력 1년 이상이면 지원 가능

 

카카오가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의 출시를 앞두고 기사회원 모집을 시작했다.

현업 대리운전 기사가 얼마나 이 서비스에 호응해주느냐에 따라 카카오의 대리운전사업 성공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카카오의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의 홍보 이미지.
카카오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버전으로 개발한 ‘카카오드라이버’의 기사용 애플리케이션(앱)을 7일 출시했다.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 기사용 앱을 통해 카카오드라이버에 참가하려는 대리운전기사를 모집하는 작업도 시작했다.

‘2종 보통’ 이상의 운전면허를 소유한 기사 가운데 운전경력이 1년 이상이면 카카오드라이버 기사로 지원할 수 있다.

카카오는 경력과 지역, 법인소속에 상관없이 기사회원 신청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대리운전사업체에 소속된 기사라 할지라도 카카오드라이버 기사회원이 되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카카오는 회원신청을 한 기사와 면접(인터뷰)을 진행해 카카오드라이버 기사로 등록할지를 결정하는데 면접은 서비스업과 인사관리 경력이 있는 외부 전문가집단이 맡는다.

카카오드라이버사업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기사회원의 높은 호응이 수반돼야 한다.

지난해 출시했던 카카오택시가 출시 초반부터 흥행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것도 기사회원의 가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 기사회원 모집률을 높이기 위해 기사용 앱 출시와 함께 100만 원 상당의 백화점 상품권과 실물교환 모바일 상품권 등을 경품으로 내걸었다.

또 기존 대리운전업체보다 나은 혜택을 내걸며 '서비스사업의 첫 고객은 사업 종사자'라는 점을 강조했다.

카카오는 지역에 따라 운행요금의 최대 40%에 이르던 운행수수료를 지역에 관계없이 20%로 고정했다.

또 대리운전기사가 매년 납부해야 했던 약 100만 원 가량의 보험료를 대신 납부해주기로 했고 매월 4~5만 원 가량 들어가는 대리운전 프로그램 사용요금도 받지 않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

 

출처: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04

 

----------

카카오 대리운전 ] 무엇이 문제인가?

 



카카오 대리운전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카카오 대리운전,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OTO변화인지,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인지 양쪽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카카오가 대리운전 시장에 도입한 이유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카카오 택시의 성공적인 안착

작년 진출한 카카오 택시는 이미 1000만건이 넘는 호출을 기록하며, 이미 사용자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서비스가 되었습니다. 특히 여성들의 안전을 강조하여 젊은 여성들의 사용도가 높은데요. 당장 모임이 끝나면 하나둘 핸드폰을 꺼내 카카오 택시를 호출하는 모습은 어렵지 않게 볼 수 가 있게 되었습니다. 



카카오 대리운전 시장을 넘보다

상황이 이렇게 되다보니 카카오에게 있어서 기존에 오프라인에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만, 온라인 분야가 정돈되지 않은 사업 진출에 큰 매력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카카오택시도 콜택시 서비스가 이미 상용화되어 있었지만 여러 불편함과 카카오라는 사용자들 포섭하면서 시장을 독식하게 된 것이죠. 대리운전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미 서비스가 존재하시면 카카오라는 광범위한 온라인 사용자를 기반으로 시장을 확장한 것이죠.



조만간 대리운전 외에 퀵서비스와 카카오 헤어샵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이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안겨주는것이기 때문에 좋겠지만, 결국 대기업이 온라인을 통해서 영세업자들의 밥그릇을 모조리 빼앗아 가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찬반이 엇갈리는 카카오의 대리운전 시장 진출

기존 대리운전 업체들은 과도한 수수료로 대리기사들의 처우가 무척이나 낮았습니다. 게다가 여러개 업체가 통일되지 않아 통화연결이 늦게 되거나 콜이 붐비는 시간에는 찾기가 쉽지않을 때도 있었습니다. 이 부분을 카카오에서 개선해서 카카오 대리운전을 출시하는 것이죠.


하지만 카카오 또한 20%라는 수수료를 아무런 댓가없이 받아가는 것이죠. 물론 카카오에서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하는것 알지만 온라인으로 운영되고 카카오페이로 결제하면 수수료까지 받는데 20%는 터무니없이 높다고 생각이 되기는 합니다. 또한 이런식으로 제약을 받지 않는다면 카카오가 빼앗아가는 시장은 비단 콜택시와 대리운전 시장만의 일은 아닐 것입니다. 



카카오의 영세시장 진출

과연 무엇이 맞는가...



일부 대리기사들은 악덕업체들 때문에

오히려 카카오를 방기는 분위기입니다.



생계가 걸려있는 대리업체들은

카카오와 치열한 공방전을 버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퀵서비스,배달,청소대행까지

모든 분야에서 카카오가 시장진입을 시도할 예정인데요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는 사회에서

가능하면 기존 악덕 수수료를 챙기는 업체들을

몰아내고 그 혜택을 카카오가 아닌

그 분야 종사자들에게 나눠줘야하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카카오 또한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

전국민이 사용해준 덕분 아닌가요?

그렇다면 기업의 이익은 조금 낮추더라도

서비스 환경을 개선해주는 역할을 한다면

사용자가 늘어날 것이고 기업 이익 또한

충분하게 가져갈 수 있을 것이라 보여집니다.


지금처럼 자기 주머니에 들어가는 돈만 생각해서

사업을 확장해나간다면 언젠가는 사용자들이

등을 돌리지 않을까요?



예전 프리첼, 싸이월드, 다음카페 모두 그런 이유로

사용자들이 일순간에 등을 돌려버렸고,

이후에 회복하지 못하는 타격을 입었다는 것을

카카오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출처:http://justcuration.tistory.com/223

 

----

[카카오대리운전] 이대로 괜찮은가









카카오에서 택시에 이어 대리운전시장까지 진출한다고하여

기존대리업체들의 반발 

대리기사님들의 지지가 있어

상반된 반응을 보였었죠



기존대리업체의 반응은 어찌보면 당연한것이지요


그렇다면 대리기사님들은 왜 지지를 하느냐면

보험료와 프로그램비용을 면제해줍니다


기존업체에서는 보험료+프로그램비용 

 월 10만원이상씩은 납부를 해야합니다 

그러나 카카오대리운전은 그게 없습니다

운행수수료만 존재합니다



물론 기존업체를 더 편하다고 생각하시는 기사님들도 계십니다







제가 대리운전을 하면서 손님과의 대화중 일부를 각색했습니다


손님 - 저도 15년전에 대리운전했었어요

나 - 정말요? 그때는 대리운전비용이 얼마였어요?

손님 - 지금하고 똑같아요 만원이요

나- 예? 진짜요?


속으로는 적잖이 놀랬습니다

광주에 제한된 이야기일수도 있고, 손님 술드시고 착각하신걸수도 있습니다

다음날 다른손님한테도 물어보니 그렇다고 한거봐서는 틀린이야기는 아닌가 봅니다













다음카카오에서 전국마다 모두 다른 대리운전비용을 통일시키겠다고 하였습니다

15,000원으로요



그런데 기존업체는 그대로 10,000원에 운행하게 됩니다

손님들 말에 의하면 어느 업체는 한콜당 

손님계좌로 2,000~3,000원씩 바로 보내준다는 대리업체도 있다고합니다







이렇게 가격적으로 카대리가 기존업체와 경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가격 외적으로는 카대리가 좋은 부분은 많지만요


 

출처: YTNNews   https://www.youtube.com/channel/UChlgI3UHCOnwUGzWzbJ3H5w

 

출처:http://simpsonthink.tistory.com/43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