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귀농을 하기 전에 미리 체험해볼 수는 없나요?"


지난달 29일부터 3일동안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연합뉴스·농림축산식품부 공동 주최로 열린 '2016 미래창조 귀농귀촌 박람회'에는 호기심 가득한 눈빛으로 유익한 정보를 얻으려는 예비 귀농인과 일반 관람객 3만 여명이 몰렸다.


이들은 75개 지방자치단체들이 마련한 부스 중에서 평소 귀농 후보지로 염두에 두고 있던 지자체의 부스에 들러 진지한 표정으로 조언을 들었다.


예비 귀농인들의 질문은 주로 지자체의 주택·창업 자금 융자 정책, 주거지·농지 확보, 귀농 사전 체험, 농업기술 습득, 지역별 특화 작목, 빈집 현황 및 개조 방법 등에 집중됐다.


'인생 2막'을 놓고 결단해야 하는 예비 귀농인들로서는 궁금한 게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이민'에 버금가는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5년전 전남 곡성으로 귀농해 흑염소 농장을 운영하는 조동근씨는 "귀농은 꿈이 아니라 현실"이라며 "이민간다고 생각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귀농 인구가 늘수록 각종 정보와 지원책에 대한 수요는 다채로워지고 있고, 이에 발 맞춰 정부와 지자체의 귀농·귀촌 지원 정책도 정교한 체계를 갖춰가고 있다. 


우선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통합정보제공 체계 구축과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최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귀농귀촌인이 농촌의 활용 가능한 자원과 지원정책, 창업에 필요한 기술 수준 등의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통합적 정보제공 체계를 구축하겠다"며 "귀농귀촌에 대한 통계와 정착 실태에 대한 최신 정보를 토대로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동시에, 성장가능성이 높은 귀농귀촌인에 대한 맞춤형 지원 체계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귀농·귀촌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단계별 지원이 필수적이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과정을 ▲탐색 ▲준비 ▲실행 3단계로 나눠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먼저 도시민이 귀농·귀촌에 관심을 두고 탐색하는 단계에서는 예비 귀농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을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서울 양재동에 있는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1899-9097)에서 종합적인 귀농·귀촌 상담과 교육을 한다.


센터에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주택·창업 자금 융자, 농지·주거지 확보, 농가실습, 지역별 작목·빈집 현황 등 귀농귀촌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또 귀농귀촌아카데미, 주문형 교육, 소그룹 강의 등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귀농귀촌종합센터 외에도 전국 37개 기관에서 국비 70∼80%, 수강생 자부담 20∼30%로 다양한 귀농·귀촌 수요에 맞춘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물론 귀농귀촌 박람회에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다.


(지난 2일 충북 제천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를 찾은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


정보 수집을 어느 정도 마친 예비 귀농인에게는 준비 단계의 지원이 이어진다. 


1년간 가족과 함께 체류하면서 농촌을 체험하고 실습교육을 할 수 있는 인큐베이팅 사업인 체류형 농업창업지원 센터가 금산, 제천, 영주, 홍천, 구례, 고창, 영천, 함양 등 8개 시·군에 마련돼있다.


또 지난달 기준으로 전국 57개 군에 마련된 255개 '귀농인의 집'에서 월 10만~20만원의 입주비를 내고 일정 기간 거주하면서 거주지나 영농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실행 중이다. 


농업창업, 주택 구입 및 신축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것도 준비 단계에서 이뤄진다. 선배 귀농인이나 농업 전문가를 연결해 상담을 해주는 '귀농닥터' 제도도 운영 중이다.


실행 단계에 접어든 귀농인을 위해서는 선도 농업인이 운영하는 농장에서 영농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선도 농업인 농장에서 5개월간 영농기술을 습득하면 선도 농업인에게 매달 40만원, 교육생에게 80만원을 지원한다


또 기술교육 비용과 이사비용, 주택 수리비,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돼 있다. 정부는 귀농인의 창업과 주택 구매에 금리 2%로 최대 3억5천만원을 융자 지원한다. 한도는 창업자금 3억원, 주택 구매·신축 5천만원이다. 


지자체별 자금 지원 규모는 다소 차이가 있다. 전북 완주군의 경우 주택 신축·매입 비용으로 500만원, 농지 매입·임차에 250만원, 이주비로 50만원, 교육훈련비로 30만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만 18~39세 귀농인에게 월 80만원의 창업 안정자금을 지원하는 청년 농산업 창업 지원, 농업인과 인근 농촌 및 도시의 구직자를 연계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농산업 구인구직 연계 시스템도 구축돼있다.

 

출처: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03/0200000000AKR20160503091200030.HTML?input=1179m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