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여러분 부자되세요"
기억하시겠지요. 2001년 연말부터 이듬해까지, 인기를 모은 광고 문구입니다.
IMF 사태를 어느 정도 극복하고, 2002 월드컵에 대한 기대로 들떠 있던 시기. 앞서 몇 년 동안의 질곡 속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고픈 욕망이 투영된 덕담이기도 했습니다.
'부자' 대한민국에서 부자로 살아가려면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할까.
최근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순자산 9억 9000만 원, 그러니까 10억 원 정도는 있어야 대한민국 상위 1%, 부자의 자격이 주어집니다.
'10억'… 지난해 직장인 평균 연봉은 3170만 원이니까 32년을 한푼도 안 쓰고 꼬박 모아야 벌 수 있는 돈입니다. 뭐 이런 단순계산도 이젠 좀 지겨워지긴 했습니다만 말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어른들에게 부자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을 물었더니 절반에 가까운 44%가 부모 재력 등 유산을 꼽았고, 로또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의 100대 부자 가운데 84명이 상속 부자라니까, 당연한 결과겠지요.
이런 세상의 이치를, 요즘 아이들은 더 잘 아는 것 같습니다.
"10억이 생긴다면 죄를 짓고 1년 정도 감옥에 가도 괜찮은가?"
그렇다고 말한 아이들은 이만큼이었습니다.
초등학생 17% 중학생 39% 고등학생은 반이 넘는 56%. 질문 한 번 고약하지만, 어쨌든 답이 이렇게 나오니 할 말이 없게 됐습니다.
철이 들수록. 세상을 알아갈수록 돈의 힘을 알게 되고 부모의 어려움을 짐작하게 되면서… 10억이라는 것이 이 사회에서 어떤 의미인지, 그 돈을 정직하게 모으려면,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려야 하는지, 그리고 정직하지 않은 돈을 가져가도 별 탈 없이 잘 살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그것에 대해 아이들이 내놓은 대답이겠지요.
그래서 수저계급론, 열정페이, 갑질 그리고 헬조선… 올 한해 우리 사회를 뒤흔들었던 키워드들이었습니다.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
관객들이 뽑은 영화 '베테랑'의 명대사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선 돈이 없으면 가오도 없다는 걸 아이들은 어른들을 보고 배우나 봅니다.
"우린 결국 서로에게 정의를 부탁해야 하는 존재다"
권석천 중앙일보 논설위원의 칼럼집에 나온 한 구절입니다.
정의는 저절로 주어지는 것도. 누군가 쥐여주는 것도 아닌 우리 스스로가 지키고 만들어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양심과 10억을 바꾸겠다는 아이들. 어쩌면, 아이들이 그 고약한 질문에 내놓은 신랄한 답변은 '어른들이여, 정의를 부탁해!'라는 외침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동영상출처: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136278
------------------
상위 1% 부자 기준은?…순자산 9억9000만원
2011년 미국을 휩쓴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 시위 이후 ‘부(富)의 불평등’은 자본주의의 병폐를 상징하는 대명사가 됐다. 특히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가 소득과 부의 불균형을 다룬 저서, ‘21세기 자본’으로 화제가 된 이후 미국과 유럽에선 상위 1%나 10% 계층이 갖고 있는 자산이 전체의 몇 %를 차지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다.
반면 국내에선 관련 통계나 연구방법론의 부재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상위 1%나 10% 부자의 기준이 무엇이고 이들이 전체 부 가운데 몇 %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컨센서스(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흔히 통용되는 기준은 투자은행인 메릴린치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 부 보고서(Global Wealth Report)’가 정한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작년 기준 18만2000명)이지만, 이 기준에 해당하는 계층의 자산이 우리나라 전체의 몇 %인지는 알 수 없는 상태다. 최근 인터넷에서 회자되는 ‘수저계급론’은 최상위 계층인 금수저(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부자란 뜻)의 기준을 자산 20억원 또는 가구 연 수입 2억원 이상으로 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출처나 근거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인 명의 재산 10억원 이상 ‘금수저’ 40만명
국내에서 소득분배를 연구해온 동국대 김낙년 교수가 29일 발표한 ‘한국의 부의 불평등, 2000-2013’이란 논문은 상속세와 금융소득종합과세, 종합부동산세 등 국세청의 세금 자료를 토대로 상위 1%와 10%, 하위 50% 등 각 계층이 갖고 있는 재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분석한 국내 첫 연구로 주목받는다.
연구에 따르면, 자산 상위 10% 계층에 들려면 개인 기준으로 최소 2억2400만원의 순자산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 계층의 평균 순자산은 6억2400만원가량으로 조사됐다. 소득 최상위층인 상위 1%에 들려면 순자산이 9억9000만원을 넘어야 했다. 상위 1%의 평균 순자산은 평균 24억37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인구 3950만명(2013년 기준) 중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본인 명의로 보유한 ‘금수저’가 약 40만명에 달한다는 뜻이다. 이는 스위스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가 최근 발간한 ‘연례부자보고서’와도 비슷한 규모다. 이 보고서는 한국인 ‘백만장자’(자산 100만달러·약 11억원 이상)의 숫자를 31만3000만명, 자산 5000만달러(약573억원) 숫자를 1800명으로 추산했다.
◇빈부 간 격차 점점 커져
부자가 많아지는 것 자체는 나쁠 게 없지만, 문제는 자산의 쏠림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논문에 따르면 상위 10% 계층이 보유한 자산은 글로벌 금융 위기를 전후해 63.2%에서 6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하위 50%가 보유한 자산은 2.3%에서 1.7%로 떨어졌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크레디트스위스 조사에서는 전 세계 자산의 50.4%를 상위 1%의 부자들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2008년 세계 경제 위기 후 소득불평등 현상이 꾸준히 진행돼왔으며, 특히 상위 부자들의 자산이 늘어나는 속도가 중산층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의 연구 결과는 지니계수를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의 소득불평등도와도 궤를 같이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한국의 지니계수는 0.30으로 34개 회원국 가운데 중간에 해당한다. 일본(0.34), 영국(0.35), 미국(0.40)보다는 낫고, 북유럽 국가보다는 소득불평등이 심한 편이다. 김 교수가 이번 논문에서 자산을 기준으로 비교한 불평등도 역시 이와 비슷하다. 상위 10%가 자산의 66%를 보유해 미국
출처:http://blog.daum.net/richconsulting/16873839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 소녀..자산 1조 5762억원(포브스),최연소갑부 (0) | 2016.03.02 |
---|---|
예금은 뚝뚝, 대출금리 찔끔 인하… “담합?” 의혹의 시선 (0) | 2016.03.02 |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후기 평점 결말 - 5포 세대=성실 + 비참 (0) | 2016.02.25 |
500조 국민연금, 금융투자 99%…임대주택 등 공공투자 늘려야 '논쟁' (0) | 2016.02.23 |
테러방지법 직권상정…야당 47년만 필리버스터 돌입 (0) | 2016.02.23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