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은 대형마트 등장과 시설 노후화 등으로 20여년 가까이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말 대구 서문시장과 올해 초 여수 교동시장에 연이은 대형 화재까지 터져 어려움을 더했다. 그럼에도 정유년 새해, 전통시장은 희망을 꿈꾼다. 서민의 삶을 담은 전통시장의 부활은 전체 경기 회복과 맞닿아 있다. 2017년이 그 도약의 발판이 되길 기대하는 상인들의 이야기를 모았다. 서울시내 전통시장 11곳 상인 50명을 만나 필요한 정부 지원정책을 묻고 그들의 꿈을 들었다.


본문이미지


# "매출은 다달이 떨어지는데 월세는 올라. 어떡하겠어. 밥이라도 먹고 살자는 마음으로 버텨야지."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20년간 이불 장사를 한 김정미씨(44). 지난해 1월부터 급격히 꺾인 매출에 속이 탄다. 성수기인 10월마저도 월 매출이 전년 평균대비 5분의 1까지 떨어졌다. 구청·시청이 복지관 등에 보내는 이불 선물을 주문받아 간신히 버텼다.


장사가 안되는 것보다 더 무서운 게 있다. 멈출 줄 모르고 증가하는 가게 임대료다. 


"10평(33.06㎡)짜리 가게 월세가 400만원이 넘어. 2~3년에 한 번 재계약 때마다 오르지. 다른 상인들도 비슷해. 10명 중 8명은 속이 말이 아닐거야."


# 1980, 90년대 강남에서 잘 나가던 대표 시장으로 꼽혔던 송파구 새마을시장. 2000년대 들어 기존 아파트 단지가 재개발되고 대형 마트가 잇따라 들어서면서 상황은 180도 바뀌었다.


롯데백화점,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업체뿐 아니라 개인이 운영하는 100평(330.58㎡)이 넘는 대형 마트만 주변에 17개다. 


새마을시장 초창기인 1980년에 금은방을 연 임재복 새마을시장 상인회장(60)은 "88올림픽 때는 아침부터 사람으로 골목이 터져나갔다"고 회상했다. 2010년부터 프로야구 인기로 근처 잠실야구장 관람객들이 유입되면서 회복하는가 했지만 침체기에서 벗어나지는 못했다. 


임 회장은 "상인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절반으로 줄었다"고 전했다. 


본문이미지


명절을 맞아 찾은 서울 시내 전통시장 경기는 영하 10도 아래로 뚝 떨어지는 요즘 날씨처럼 얼어붙어 있었다. 매해 발표되는 정부의 지원책에도 치솟는 임대료와 각종 재해에 취약한 유통구조, 시설 노후화 등 고질적 문제는 여전하다. 서울 각 지역 동네시장 11곳에서 만난 상인들은 말 그대로 '버텨'가고 있다. 


◇ 임대료는 오르고 경기는 안 좋고 


전통시장 상인들이 가장 많이 꼽은 어려움은 역시 임대료였다. 줄어드는 매출보다 많이 늘어나는 임대료가 무섭다고들 말했다.


국내외 관광객 사이에서 입소문을 탄 종로구 통인시장은 임대료 급등이 심한 편이다. 시장이 유명해졌다 싶으면 건물주는 월세를 두세 배씩 올리기 때문이다. 


통인시장에서 즉석요리 포장전문점을 운영하는 박상화씨(57)는 "주택을 개조해서 식당이든 가게든 만들면 공급이 많아지니까 임대료가 내려갈 테지만 개발을 못하게 묶인 지역들은 그럴 수가 없다"면서 상점 임대료 증가세와 정부의 도시개발정책도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서민들의 지갑도 여전히 열리지 않는 분위기다. 양천구 목3동시장에서 과일 노점삼을 하는 김복식씨(68)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절반밖에 안된다"며 "과일은 꼭 사 먹어야 할 품목도 아니라서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 대형마트는 넘지 못할 산…김영란법에 시장 상인도 타격


대형마트 등장으로 꺾인 전통시장 매출은 회복 불가 상태다. 여기에 늘어가는 대형 쇼핑몰은 전통시장 상인들의 새로운 걱정거리다. 


망원시장에서 떡집을 운영하는 최태규씨(56)는 "상암동에 들어설 복합 쇼핑몰이 제일 큰 걱정"이라며 "일반 마트와 달리 쇼핑몰은 하루 종일 노는 공간이니까 시장으로 오는 손님 더 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정부의 미흡한 대응을 지적하는 의견도 나온다. 오르는 물가는 잡지 못하고 일명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으로 전통시장 상인만 잡는다는 소리다.


중구 인현시장에서 40년 가까이 국수 장사를 한 김기성씨(58)는 "설탕, 식용유 등이 다 오르는데 정부는 가만히 있고 사재기 단속도 없다"며 "김영란법 때문에 타격만 입었다"고 말했다. 선물 상한선(5만원) 규제에 맞는 선물세트를 만들기 위해 대량 유통되는 수입산 재료들은 백화점 등 대형 유통점에만 들어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장 상인들이 손해를 본다는 설명이다.


출처 : 머니투데이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