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12일 국내 웹 환경 개선과 인터넷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차세대 웹 표준 HTML5 확산 추진계획'을 내놨다.

HTML5는 텍스트와 하이퍼링크만 표시되던 기존 웹문서에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까지 구현되도록 진화된 '웹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한다.

HTML5는 무엇보다 액티브X 등 설치 프로그램이나 모바일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지 않아도 웹상에서 동영상,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어떤 브라우저에서도 쓸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MS 액티브X의 장막을 걷어내는 한편, 애플,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의 모바일 OS로의 종속을 막을 수 있는 비장의 카드로 'HTML5 확산 전략'을 꺼낸 이유다.

◇HTML5 확산 팔 걷은 정부…인터넷 리더 재도약

먼저 방통위는 웹사이트에서 액티브X 필요없이 공인인증서, 안전결제 등을 직접 불러올 수 있는 '웹 기반 전자 서명' 기술을 개발, 오는 2014년까지 국제 표준화를 추진키로 했다. 차세대 웹 기술인 HTML5의 표준화를 통해 액티브X 없이도 공인증서를 쓸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표준화에 성공할 경우, 금융위원회,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온라인 쇼핑 등 전자상거래에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전문인력 양성도 본격 추진된다. 대학생, 특성화고 및 일반인 대상의 교육을 실시해 2017년까지 HTML5 전문인력 3000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17년 기준 HTML5 관련 인력 수요가 3만여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정부와 기관간 매칭 펀드 형태로 2015년까지 주요 공공기관 사이트 15개와 중소기업 185개를 선정해 기존 웹사이트에 대한 HTML5로의 전환을 지원키로 했다.

또 구글 안드로이드, 애플 앱스토어 등 플랫폼 제약 없이 하나의 앱을 여러 곳에서 공유할 수 있는 '웹 앱 유통 시스템'과 IPTV, 디지털TV, 스마트TV 등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통합 TV 웹 플랫폼' 등 HTML5 플래그십 프로젝트도 진행해나갈 예정이다.

중소 벤처 ICT기업에게 HTML5 관련 기술과 정보, 장비, 컨설팅까지 제공하는 'HTML5 지원센터'도 설치, 운용된다.

박재문 방통위 네트워크정책국장은 "HTML5 확산을 통해 국내 웹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특정 제품에 상관없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구글, 애플이 장악한 OS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겠다"며 "아울러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 콘텐츠, 서비스 기업이 맘껏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는 지금 HTML5 전환 중…국내는 걸음마 수준





글로벌 ICT기업들은 최근 경쟁적으로 HTML5를 도입하고 있다. 우선 구글 크롬, 애플 사파리, 모질라, 심지어 액티브X 기술을 써왔던 MS조차 최신 웹브라우저에 HTML5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구글은 안드로이드, 지메일, 유튜브 등 주력 사이트들을 HTML5로 전환하고 있으며, 애플 역시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플래시를 지원하지 않고 HTML5를 이용해 브라우저에서 비디오, 오디오를 지원토록 적용했다. 페이스북도 이용자들이 앱스토어에서 앱을 내려받지 않아도 페이스북을 사용할 수 있는 HTML5 기반 스파르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미국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HTML5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이 2009년 300만대에서 2016년 15억6000만대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국내에선 HTML5 표준 적용이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HTML5 전문 마켓플레이스인 '크롬 웹스토어' 중 국내 제품 비중은 0.5% 미만에 그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지난 30년간 세계 인터넷 강국으로 도약했지만, 비표준 기술인 액티브X를 남발하는 바람에 글로벌 표준과 동떨어진 '웹의 갈라파고스'를 자초했다"며 "HTML5가 현재 국내 액티브X 기술을 전면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HTML5 적용이 확대되면 이를 줄여나가는데 적잖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http://blog.paran.com/blog/detail/postBoard.kth?pmcId=shopdwg1&blogDataId=44198861&hrefMark=

 

http://blog.paran.com/shopdwg1/44198861

'유용_공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션사용시 안심클릭 결제 시 오류시  (1) 2012.09.23
액티브X 필요없는 공인인증서 나온다  (0) 2012.07.12
키폰의 원리  (0) 2012.06.13
전기공사-누전 점검  (0) 2012.06.13
정수기 원리와 구조  (0) 2012.05.3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ktnt2002&from=postList&categoryNo=70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 누전점검 요령 ]

1. 전기 고장 여부의 점검
2. 전기 누전 차단기가 자동 차단시 누전의 상태와 과부하 상태 전선의 합선 <쇼트> 상태
3. 누전 차단기 불량 및 오동작 상태로 점검을 한다

○ 누전 차단기의 차단이 누전으로 인한 차단은 - 누전 매가로 점검이 된다

○ 전선의 절연상태가 좋은 상태에서 - 누전 차단기 차단은 오동작 또는 누전 차단기 불량으로 한다

○ 차단기의 부하의 전선의 합선/쇼트 상태의 차단은 -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에서
   전원선 2가닥이 붙은 상태가 된다

또는 전자제품의 전선의 심이 붙은 상태다

○ 과부하의 상태에서 차단이 되는 경우는 차단기의 암페어 보다 사용하는 부하 설비의
   암페어가 많을시 또는 차단기의 암페어의 절반의 암페어 사용에 차단기가 차단이 되는
   것도 차단기의 오동작으로 장기간 사용시 생기는 현상이다

--> 이 경우에는 누전 차단기 교체를 한다


[ 고객 방문후 분전반의 점검을 하게 된다 ]


01. 메인 누전 차단기 설치 상태 확인

02. 분기의 차단기는 배선용 차단기 - 2회로의 차단기 2개

03. 메인 누전 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 2개를 모두 OFF 시킨다

04. 접지선이 없는 상태다

05. 분전반 메인의 전원선 중 < 중성선을 찾는다 > 중성선에 매가의 리드선 1개를 대고
    분기의 차단기의 단자에 매가의 리드선 1개를 대어 본다

06. 절연상태가 좋지 않다 - 누전의 상태다

07. 누전이 되는 배선용 차단기는 차단을 한다

08. 다음 분전반의 메인의 차단기를 ON 시킨다

09. 배선용 차단기 1개도 ON을 시킨다

10. 전기 사용은 가정집 일부만 사용하게 된다

11 건축 전기 공사의 작업시 전등 회로와 콘센트 회로 분리
   - 안방과 주방을 1회로의 차단기로 사용
   - 다른 전기 시설을 1회로의 차단기로 사용하는 가정집의 전기 시설이다

12. 누전이 되는 회로는 - 안방 주방 보일러실 전기의 사용하는 전기 누전이다

13. 누전을 찾기 위하여 콘센트 스위치를 뜯게 된다

14, 먼저 주방 콘센트를 뜯고 안방 스위치를 뜯게 된다
    안반 스위치에서 아래로 콘센트 옆으로 보일러 온도 조절기가 있다

15. 보일러실의 전원은 안방 스위치를 거쳐서 바로옆 온도조절기 박스에서 보일러실
    콘센트로 연결 상태다

18. 보일러실 전원선을 안방에서 단선을 시킨다 -- 누전 점검시 정상으로 절연상태가 된다

19. 보일러실 콘센트의 누전으로 확인이 된다

20. 보일러실 콘센트 바로위에서 콘센트의 박스로 물방울이 뜰어지고 있다
    콘센트를 뜯고 콘센트를 확인 하고 보니 콘센트내부에는 물이 고여 있는 것이다

21. 콘센트를 물이 닺지 않게 보일러 보다 조금 높게 설치를 하고 마감을 한다

22. 분전반의 배선용 차단기 부하의 전선을 절연 상태 하기로 한다
    절연상태가 양호하다

23. 분전반의 차단기를 머두 올린다
    전기는 정상 작동이 된다

○ 누전은 보일러실 콘센트에 물이 들어간 상태의 전기 누전으로 확인이 된것이다

○ 매입형 콘센트를 노출의 콘센트로 보일러실 보다 높은 위치에 콘센트를 설치한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tnt2002&logNo=50021066196 


 

누전으로 고장시 누전매가 사용

건물의 누전시 누전의 매가로 부하측의 누전을 확인을 한다.

 

이때에 분전반은 목재 등에 고정이 되여 있는 상태며 접지가 없는

 

분전반으로 되여 잇다면 접지를 하여야 누전을 확인을 할수가 있다

 

이경우에는 리드선을 전원측 마이너스 선에다 대고 누전을 찾으면 된다

 

마이너스 선을 구별 하는 방법은 매가에 볼트로 작동하게 한다음

 

리드선 1개를 주변의 벽이나 샷시 등에 대고 전원측의 단자에 다른 리드선으로

 

단자에 대면 눈금이나 바늘이 조금이라도 올라가면 플러스 선이므로 반대의

 

단자에 대어보면 눈금이나 바늘이 움직이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은 단자가

 

중성선으로 마이너스 선으로 보며 누전 확인은 마이너스 단자와 부하의 전선에

 

대어보면 바늘이 끋까지 올라가면 누전이 되며 차단기를 올리면 차단이 된다

 

절연 상태가 아주 좋지 않은 상태로 보면 된다.

 

 

 

 

 

건물의 누전시 누전의 매가로 부하측의 누전을 확인을 한다.

 

이때에 분전반은 목재 등에 고정이 되여 있는 상태며 접지가 없는

 

분전반으로 되여 잇다면 접지를 하여야 누전을 확인을 할수가 있다

 

이경우에는 리드선을 전원측 마이너스 선에다 대고 누전을 찾으면 된다

 

마이너스 선을 구별 하는 방법은 매가에 볼트로 작동하게 한다음

 

리드선 1개를 주변의 벽이나 샷시 등에 대고 전원측의 단자에 다른 리드선으로

 

단자에 대면 눈금이나 바늘이 조금이라도 올라가면 플러스 선이므로 반대의

 

단자에 대어보면 눈금이나 바늘이 움직이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은 단자가

 

중성선으로 마이너스 선으로 보며 누전 확인은 마이너스 단자와 부하의 전선에

 

대어보면 바늘이 끋까지 올라가면 누전이 되며 차단기를 올리면 차단이 된다

 

절연 상태가 아주 좋지 않은 상태로 보면 된다.

 

 

 누전차단기 동작원리

1. 자기장 발생 : 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선주변으로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2. 자기장 상쇄 : 흐르는 전선은 하나는 들어가고(→) 하나는 들어(←)옵니다. 이 두 선이 만나면 서로 상쇄되어 자기장이 소멸됩니다.

3. 힘의 불균형 : 전선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할 때는 힘의 균형에 의해서 변화가 전혀 없던 것이 누전으로 인하여 일부가 다른 곳으로 흘러갔을 때 들어가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의 차이가 생깁니다. 그럼 힘의 불균형에 의해 다시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4. 증폭 : 힘의 불균형에 의해 생긴 힘은 차단기를 트립시킬 정도의 힘을 가지지 못합니다.

실제로 누전차단기를 동작시키지 않고 흘릴 수 있는 최대의 전류로 꼬마전구보다 적은 다이오드 하나도 켜지 못합니다.

5. 동작 : 아주 미미하게 힘의 불균형이 생겼을 때 그 힘만으로는 차단기를 동작시키지 못하므로 힘을 증가시키는 증폭장치를 설치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킵니다.

 

★ 누전차단기 동작

1. 누전에 의한 동작 : 회로에 혹은 기기에 물기가 차거나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누전이 되었을 때 동작됩니다.

2. 과부하에 의한 동작 : 일반 차단기의 기능도 겸한 것이기 때문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 동작이 됩니다.

3. 결선오류에 의한 동작 : 병렬연결 또는 다른 차단기와의 오결선

4. 기타 오동작에 의한 동작 : 하단 별도 설명 

 

★ 누전 원인

1. 가전제품에 의한 누전 : 세탁기, 냉장고, 가스오븐렌지, 어항, 정수기 등등

2. 습기에 의한 누전 :

  ☞ 겨울철 결빙현상에 의한 누전

  ☞ 누수에 의한 전기기구 습기 유입

3. 콘센트에 의한 누전 :

  ☞ 기구부착상태 불량으로 인한 전선 눌림현상

  ☞ 오래된 기구에 분진과 이물질이 끼어 생기는 누전.

4. 선로이상에 의한 누전 : 전선에 생긴 상처에 의한 누전 발생 현상 

 

★ 누전차단기 오동작 원인

1. 외부의 강한 서지 유입 : 번개의 의한 고조파나 서지 또는 외부의 강한 전자파 같은 것의 유입으로 동작될 수 있습니다. : 재 투입으로 정상동작

2. 노후에 의한 예민해지 차단기 : 차단기가 오래되면 동작 정확성이 떨어지고 또한 기계적으로도 많이 이완이 됩니다. 해서 내부나 혹은 외부의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누전차단기 교체

 

★ 가정에서 누전차단기 동작시 대처방안

1. 분전반(두꺼비집)에서 동작된 누전차단기를 다시 올린다.

  ☞ 두어 번 정도는 직접 올려보고 이상이 없으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그러나 계속 동작이 되면 반드시 전문가를 불러서 점검을 받습니다.

2. 간단한 응급조치후 사용법

  ☞ 분전반의 누전차단기 뒤에 있는 차단기를 전부 내린 다음 누전차단기를 올려놓고 하나씩 올려본다. 누전차단기를 떨어트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올라간 차단기만 올려서 사용하고 고장이 있는 것만 내려놓고 전문가를 기다립니다.

  ☞ 가정용이 아니거나 혹은 복잡한 분전반은 함부러 만지면 큰일 나므로 주의하시고 모르겠으면 전문가가 올 때까지 절대 접근금지.

 

★ 평상시 누전차단기 점검방법

1. 분전반을 연다.

2. 누전차단기에 붙어있는 콩알만한 단추를 누른다.

3.  떨어진 차단기를 다시 올린다.

4. 분전반 문을 닫는다. 총 점검예상시간 : 대략 2초

 ☞ 빨간 단추를 눌렀을 때 누전차단기가 안 떨어지면 불량이므로 전문가 불러서 교체하시면 됩니다.

 

★ 전기점검자의 자세.

 - 전기에 한해서는 의사와 똑 같다.

 - 전기기사보다 사용하는 사람이 더 잘 안다. 항상 물어보자.

 - 5감(촉,시,후,청,미)을 전부 이용하라.

 - 서둘지 말자. 섣부른 판단은 오진의 첫단추이다.

 - 때론 장기전을 각오해야 한다. (실제 한달이상 점검한 사례도 있음)

 

 

 

 

* 누전 점검시 주의사항.


- 메가 테스트 할 때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내린 후에 체크하세요.


- 누전차단기가 올려져 있으면 메가테스팅에 오류가 생길 수 있음.


- 작업후 차단기 올리기 전에 반드시 점검했던 곳의 복구가 완벽한가 확인 후에 올리세요.



* 누전 점검시 숙지사항.


1. 누전체크용 임시 접지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 수도꼭지, 철배관, 샷시창틀 등..



2. 설비기준에 나와있는 절연저항 기준치


- 110V : 0.1MΩ이상


- 220V : 0.2MΩ이상


- 380V : 0.4MΩ이상



3. 점검할 때 절연저항 기준


- 신축 : 15~50MΩ 이상은 잡아줘야 한다.


- 일반적으로 : 2MΩ이상은 기본으로 잡아줘야 한다.


- 전기제품 : 최소한 1MΩ이상은 잡아줘야 한다. 



4. 누전차단기에 명시된 규격설명


- 부하용량 30A : 정상적인 부하를 30A까지는 흘릴수 있다.


- 정격감도전류 30mA : 누전되는 전류가 0.03A이상 흘리면 차단된다.


- 정격부동작전류 15mA : 누전되는 전류가 15mA이하에서는 차단되지 않는다.


- 동작시간 0.03초이내 : 누설전류가 생겼을 때 동작되는 시간.


- 정격차단전류 1.5KA : 단락(숏트)이 발생했을 때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류가 흐르는데 

1.5KA까지는 차단기에 손상이 없이 차단능력이 있다는 말. 

(정격차단전류 이상 흘렀을 때 차단기가 손상을 입거나 때론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 

참고 : 노래방의 경우 2.5KA이상을 사용함.


 


누전되는 유형.


1. 전기제품에서의 누전


- 세탁기, 냉장고, 가스오븐, 어항등... 기기 내에 분진과 습기로 인한 누전


2. 결빙현상에 의한 누전


- 겨울철 외기온도와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로 인한 누전.


3. 스위치, 콘센트 불량에 의한 누전


- 노후로 인한 절연불량(분진, 이물질)


- 습기로 인한 콘센트 절연불량


- 나사못 조일 때 전선손상


- 기구 부착시 전선 눌림


- 조립상태 불량으로 인한 접불성 누전


- 자가 조립 설치한 멀티콘센트 전선 눌림에 의한 누전


4. 누수로 인한 등기구 침수


5. 전선 손상으로 인한 누전

- 눈에 보이지 않는 손상이 대부분


6. 누전아닌 누전 

- 누전차단기 병령 연결 혹은 다른 누전차단기와 교차시켜 연결할 때 누전으로 인식되어 차단.

출처:http://issuecollecter.tistory.com/540

 

------------

 

다른 법 은 없구요 오직 누전 차단기가 저절로 떨어지면 누전으로 봐야 하며 찻는 방법은

메가 테스트 (일명: 메가) 로 메가링 을 하여 야합니다 물논 간단 한 측정은 후크메가 혹은그냥전기 테스트기계도

가능 하지만 감도 가 별로 이므로 반드시 메거 테스트 를 사용하는데 분전반에서 한선은 접지 혹은 분전함에 물려둔채로 반드시 차단 기 가 네려진 상태 에서 다른한선은 부하측 선로 에 찍어 보면되며 이때 만약 테스터기 눈금에서

1/3 이상 눈금이 뜨면누전 이며 실무에선 보통 절반이상 을 누전으로 봅니다 끝까지 나오면 무한대 라고 하여

누전이 심각 한상태로 반드시 공사 해야 하며 부하에 전등 안정기 불량 혹은 모터 불량시 누전으로 나올수 있읍니다

 

-------------------

아파트 차단기가 떨어졌습니다. 올리면 바로 떨어지네요. 

관리실에 신고했더니...누전이랍니다.

며칠 기다려보고 그래도 안돼면, 업자 불러서  천정 띁어서 찿아야 한다네여 .

전기누전이야 잡는다 쳐도, 천정까지 띁으면....도배도 다시해야되고...장난이 아니져~~~

 

<누전잡기>

누전차단기 올리면 , 바로 떨어진다면....누전이 걸린거...

2차측 두선 다 분리후 잘 올라가면 --> 누전차단기 고장으로 교체하면됨

 

1. 누전차단기 2차측  두선 다 분리후 메거로 측정하니...양선 다 0 옴 (누전차단기 올리면 바로 떨어지죠~~~)

2. 전기스위치 모두 끄고 해도 양선 다 0옴

3. 안방 건너방 거실...전등에 접속된 두 선 제거 해도 , 마찬가지 양성 0옴 (이유는 끝부분에 ^^ )

4. 베란다등 전원 분리하려고 보니 벽속에 풀박스가 있고,  접속점이 있네여~~~~

전원선 조인된거 풀고 쟀더니 (도면에 붉는색)  정상. 추적해보니 열선에서 누전됐습니다. ^^

 

 

베란다등 띁어내니 뒷쪽에 풀박스 가 있습니다. ^^

 풀박스 내 회로도

 

 

아파트같은곳은  접속점이  천정에 있지 않습니다.  벽속에 풀박스가 매립돼있고, 거기서 접속해서 씁니다.

천정에 있다면...몽창 뜯어야 하니까요....대략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된거 같습니다.

풀박스는 벽속에 있으니....이거 찿으면 성공입니다.  베란다등 뒤에 있을 수도 있고, 스위치박스에 있을수도 있겠죠.

천정엔 누수가 되지 않는 한  누전이 없다고 봐도 되겠네요. 

 

 위에서 본  결선도.   (노란 동그라미가 전등. 풀박스에서 접속은 위 그림 참고하세요)

누전차단기에서 나와 천정으로 한바퀴 빙 돌지만, 천정에서 접속해 풀박스로 내려오네요 ^^.

 

 

  옆에서 본 결선도 

 

 

 

원래 누전되면 누전된선에만 0옴 나와야 하는데...양선에 다 나오는 이유는????

맞습니다. 전등만 연결됐다면 ... 전등 스위치 모두 끄면 한선만 나오는게 맞습니다.

(스위치에서 누전이 아닌이상)

하지만 전등선에는 전등뿐아니라....인터폰, 도어폰 같은게 연결돼 있죠.

이런 기기들은 저압을 쓰기 때문에, 저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트랜스를 쓰는데...

이 트랜스 1차측 타고 누전성분이 유입되서 양선에 0옴 나오는겁니다. ^^

 

그러므로  

한선이 누전돼도....양선에 다 나올 수 있습니다.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전기 공사 - 전공 - 초급자 전등 결선 ?

 

* 전기 초급자의 전등 결선의 상식

 

전기 공사 전공으로 처음 작업을 시작 하고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전등 결선을 알게 된다

 

선임자는 전공의 초급자에게 전등의 결선 방법을 알려준다

 

1.,전등의 스위치 결선은 - 전원선 2가닥중 플러스 전선 1가닥을 자른 다음 스위치를

    설치 한다  - 이렇게 설명 한다

2, 다음의 설명은 - 스위치의 전선은 스위치 박스에서 - 전등으로 바로 간다

3, 다음 - 전원선 2가닥중 - 플러스 전선은 스위치 전선과 스위치를 부착 한다

4. 다음 - 전원선 2가닥중 중성선/마이너스 -전선은 - 전등으로 간다

5, 전등은 스위치선과 중성선과 조명등을 설치 한다

6. 전원선은 전등 회로의 전선이며 - 분전반에서 전등의 설치 장소에 필요한 전원 선이다

7, 이론 적으로 또는 그림으로 알려줄 경우에 사용 한다

 

* 전기 공사의 전공은 이러한 상식을 설명 또는 그림으로 알려주면 금방 알것으로 본다

1, 전공 초급자의 작업시 전등의 배선 작업을 하게 한다

2, 전선의 배선의 작업시 - 초급자는 어찌 할지를 모른다

3,이유는 전등의 결선은 알것 같은데 스위치 전선관 전등에서 다른 전등으로 의 전선관

   속으로 전선의 가닥수를  어떠한 전선으로 작업을 하여야 하는지 이해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4, 전등 스위치가  1개 2개 3개의 스위치의 배선의 방식을 알수가 없는 경우가 생긴다

5, 전기 공사 전공의 작업자는 - 상급자의  보조 작업시 전등 박스에서 다른 전등으로

    작업과 전선의 가닥수 전선의 규격 스위치의 전선의 규격 가닥수 스위치가 여러개의

    작업시 또는 단로의 스위치와 3로 스위치의 전선의 가닥수와 전원 그리고 전등의 연결

    등의 작업시 상급자의 작업을 살펴보아야 직접 작업시 도움이 된다

 

** 전기 공사 - 전공 - 초급자를 위하여 ??

 

 

 

콘크리트의 전기 작업에서 중요한 작업의 부분은 전기 박스의 청소 입니다

 

전기 작업자는 전기 박스의 청소를 우선으로 합니다

전기 초급자가 작업시 전기 박스의 청소에 대하여 선임자의 지시가 없는 상태에서 전기 박스의 청소와 마감 까지의 박스 청소는 문제가 있습니다

 

건물 전기의 사용자를 위하여 전기 박스의 청소는 콘크리트 작업전 부터 작업 후 까지 다음은 전선의 작업후 미장의 작업전과 후의 청소에 대한 사전 준비의 작업을 합니다

 

전기 박스의 청소가 왜 우선으로 하느냐는 전기 박스의 청소를 위하고 전선관 속으로 콘크리트 세멘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게 하기위하여 콘크리트의 작업전 철근에 박스를 고정후 전선관 작업을 합니다

 

전선관 작업이 끋나면 전기 스위치 콘센트 전화 단자함 등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테프 처리를 합니다

 

콘크리트 작업후 <판넬/폼 > 철거후 전기 박스의 테프를 뜯고 전선의 작업을 합니다

다음 다시 미장의 작업시 전선의 박스에 세멘이 들어 가지 못하게 세멘  종이등으로 마감을 합니다

 

미장의 작업후 도배 작업전 까지 전기 박스의 내부를 청소 합니다

박스의 청소는 전기 사용자를 위하여 그리고 전선보호를 위하여 청소를 합니다

 

청소후 스위치 콘센트의 기구를 부착 합니다

 

** 주의는 전기 공사후 전기 박스를 뜯고 전선의 교체 추가 시공시 청소에 의하여

      전선의 교체의 가능성을 알수가 있습니다

** 청소가 잘된 건축에는 전선의 교체가 가능 하지만 청소가 되지 않은 건축의 전선은

     교체가 어렵습니다

** 전선관 속의 전선과 이물질에 의하여 전선은 움직이지도 못하므로 교체는 불가 합니다

      박스의 청소는 전기 작업자의 상식으로 하지만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http://cafe.daum.net/baie4444

 

 

------------------------

 

 

 

출처: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Hs5E&articleno=4523547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 사무실 내부의 형광등 결선과 스위치의 결선 -

 

* 사무실 형광등 전선과 스위치의 전선 ,

 

1, 사무실 내부의 형광등 설치가 칸막이 없이 내부 전체의 스위치의 위치가 동일 전선관 및 같은 스위치 박스로 작동시 전선의 결선 방법

 

2, 분전반에서 형광등 전등 박스로 전원선 2가닥을 전등 박스로 가게 한다 한다

 - 접지선 생략 -

 

3, 전원선 2가닥중 < 상선 / 플러스 > 전선 1가닥은 - 형광등 스위치의 박스로 가게 한다

    전등 형광등 연결에는 < 상선 / 플러스 > 전선은 연결하지 않는다

 

4, 전원선 2가닥중 < 중성선 > 1가닥은 - 전등선 형광등 2가닥중 1가닥과 연결을 한다

    형광등 전체에 해당 된다

 

5, 형광등 2가닥중 남은 1가닥은 형광등 스위치의 전선이므로 스위치의 박스로 가게 한다

    형광등의 갯수를 몇게로 하며 어느형광등을 동시 작동 하게 하는지 확인을 한다

    같은 작동의 형광등의 1가닥은 스위치의 전선과 결선 한다

 

6,형광등 스위치의 결선은 - 스위치의 갯수와 스위치의 전원선 < 상선 /플러스 > 전선은 스위치 갯수의 전체의 스위치에 연결 한다

 

7, 스위치의 갯수는 스위치의 용량에 맞게 설치 한다

 

* 전등 스위치의 위치가 사무실 내부의 다른 위치에 스위치가 있다면 - 상선 / 플러스 전선은 위치가 다른 스위치의 박스에 가게 한다

 

* 전원선은 분전반에서 전등 회로가 1회로의 경우에는 천정 전체의 전등 선 - 형광등  2가닥중 1가닥에는 중성선이 연결 되어야 한다

 

* 스위치의 갯수는 전체의 형광등 갯수에 맞게 스위치를 분배 한다

 

** 전등 회로 차단기가 2개 또는 3개의 전등 회로의 결선은 달라진다

 

 

 

 

 

 

자세한것은 보지 안고는 잘 모르겠구요.

 

통상 전등 배선시 1회로(s/w 1개) 일 경우는 2가닥이 같은 배관에 들어가고

 

2회로(s/w 2개)인경우는  공통선 한가닥과 개별 2가닥으로 모두 3가닥이 한배관 안에 들어간답니다.

 

자세이 모르실 때는 외주 작업 주시는게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듯 하구요.

 

참고용으로  보충 해드립니다.(단, 분전반 전원에서 s/w로 가는 1가닥 전선은 제외 한겁니다.분전반과s/w방향으로 같은 배관내에 들어갈수도 있습니다.)

 

수고 하세요.

 

 

 

 220v 는 약전 아닙니다 강전이 구요 약전과 강전의 차이는 강전은 말그대로 강해서 감전으로 죽을수 있는전기구요 약전은 감전해도 안죽고 또다른 구분은 건전지나 전자제품 내 기판의 전기등을 약전, 배전반 분전반 전기제품에는 강전입니다.(전자:약전, 전기: 강전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http://cafe.daum.net/hyoungdong50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원래 CCTV를 구축하려면 고가의 돔형 카메라와 DVR장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저같은 학생에겐 그런걸 구매한 돈이 없었죠.

 

학교 연구실?을 빌려 쓰게 되었는데 가끔 친구들도 놀러오는데, 제가 모르는 친구의 친구들도 따라오더군요.

그러면서 마우스랑 USB메모리를 여러번 분실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컴퓨터를 켜놓고 다니기도 하고 덜렁거리는 성격이 있어 가끔 인두를 켜놓고 오기도 합니다(30분 지나면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이 있지만...).

 

아무튼 화재예방과, 각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CCTV를 최대한 저렴하게 구축해 보기로 했습니다.

 

재료 : 버리는 PC(또는 노트북), USB 웹캠, USB 연장 케이블

 

컴퓨터는 USB웹캠의 영상을 받아 녹화하고 웹에 접속되어 원격 제어만 하면 되므로 성능이 나빠도 좋습니다.

사진에 노트북은 저희 아버지께서 회사에서 사용하던 노트북인데 불용떨어진것 2006년에 20만원에 매각되서 바로 구매해버렸습니다.

성능은 256 RAM, 1GB 인텔 CPU 이정도입니다. 무선랜도 없어요.

삼성 노트북이네요 ㅎ

 

작년까지 네트워크 장비 콘솔 접속하는 용도로 잘 쓰다가 갑자기 화면이 깨지더군요.

그래서 이번에 CCTV구축하면서 모니터는 때버렸습니다.

 

 



 

윕켐을 그냥 책상에 놓던 천장에 붙이던 마음대로 하시면 되요.

저는 천장에 붙이고 싶어 나사를 박을 수 있도록 구멍을 뚫었습니다.

 



 

배선을 천장으로 넘기기 위해 덕트?(정확한 명칭을 까먹음)를 뜯었습니다.

예전에 공군에 있을때 통신병이었는데 CP에서 인트라넷 회선 추가하면서 천장 뜯는도중에 쥐똥이 떨어져 입에 들어갔던 아련한? 추억이 떠오르네요 ㅋㅋㅋㅋ

아무튼 끔찍한 기억이 있어 정말 조심히 다루었는데 다행이 우리학교는 쥐는 안사나보네요 ㅋㅋ

 



 

진짜 뭔가 마음에 안듭니다.

천장에는 시공하다 남기고간 각종 쓰레기들이 있어요.

장갑부터 해서 망치도 있고 담배곽도 있네요.

천장 덕트?가 석고로 되어 있어 부숴질 수 있는데 다행이 덕트 남는것도 천장에 버리고 갔더군요 ㅋㅋ

 

 



 

노트북을 대충 설치하고...

천장을 다 뜯습니다.

사실 군대에 있을땐 천장을 5~7칸 마다 하나씩 뜯습니다.

멀리있어도 다 케이블 연결됩니다.

요비생이라고 케이블 끌어내는것도 있고 그냥 짬 안되면 저 덕트 위로 올라가서 케이블을 감아 있는힘껏 목표지점으로 던지면 됩니다.

군부대는 천장 시맨트부터 덕트까지 5~6M나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무실보다 더 큰 공간이 위에 숨겨져 있는경우이지요... 저는 벙커에 살았거든요 ㅋㅋ

 

아무튼 몸을 저 위로 올려 던지면 멀리 가는데 저는 이제 민간인이니까 저 속으로는 못올라가겠더군요. ㅋ

소심하게 팔만 넣을거라 2칸에 한칸식 뜯어냈습니다.

 

 


 

 이렇게 하면 됩니다. 이해 되셨죠? ㅋㅋ

 참고로 USB길이가 길어지면 노이즈가 끼어서 그런지 화질이나 캠 이름이 다르게 인식되더군요.

 USB리피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10M정도라 무난하게 되더군요.

 



 

 군대라면 피스못으로 어디든 그냥 박아버리지만...

여긴 학교라 소심하게 덕트와 함께 뚤려있는 구멍에 박습니다.

 



 


 틈새를 살짝 깎아 케이블도 정리합니다.

 

 

 

 

제 노트북은 USB 1.1입니다.

그래서 USB 2.0카드가 있어 이를 활용했습니다.

문제는 USB 2.0카드는 전원이 딸리는지 화질이 나쁘더군요.

그냥 USB 1.1포트도 잘 되었습니다.

 

 

 

나 카메라요! 하고 제대로 광고하고 있네요 ㅋ

 

 

자 이제 CCTV를 녹화하고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겠죠? 

 

 

TeamViewer와 Debut Video Capture Software를 준비합니다. 

TeamViewer는 상업용과 개인용 버전이 있는데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목적에 따라 알아서 설치하시구요~ 

www.teamviewer.com 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Debut Video Capture Software는 저는 구글에서 검색하다 우연히 이 프로그램을 발견하고 설치하게 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프리웨어인지 아닌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은 알아서 찾아 쓰시구요.^^

 

설치과정은 패스하겠습니다.

 

 팀뷰어를 설치하고 띄운 화면입니다.

 팀뷰어라는게 그냥 실행할 수도 있고, 설치할 수도 있는데 CCTV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PC부팅시 자동 실행과 기존 설정내용을 저장해야 하므로 설치하도록 합니다.

 관련 동의사항에 채크하고 회원가입도 합니다(회원가입이 되지 않으면 CCTV PC가 켜저도 자동실행이 되지 않아요.).

 

 

 

 

캡처 그림처럼 프로필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그림처럼 영구접속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원격지에서 비번만 치고 들어갈 수 있음.

회원 로그인과 각 개별 pc의 암호는 별도입니다.

원래 패스워드가 자동생성되는데 외우기 곤란하므로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그 외 화면을 보고 필요한 설정을 적용합니다.

팀뷰어는 정말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원격지에서 말을 하면 cctv PC근처에 방송(경고?)해주는것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캡처에서 빼먹은게 있는데 반드시 "일반"탭에 들어가서 Windows와 함게 Teamviewer 시작을 채크해주셔야 부팅시 자동 실행됩니다.

 

이 과정은 원격지 pc에서도 해줍니다.

 

참고로 팀 뷰어가 설치되고 나서는 CCTV PC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저는 감시용으로 사용할 거라 모니터는 때버렸지만 방문자에 대한 일종의 경고 목적?도 필요하다면 모니터도 폼으로 달아두어야 겠지요.

 

 

컴퓨터 사양을 보니.. 어우.. 제가 초등학교 90년대 후반에 사용하던 PC보다 성능이 구립니다.

1기가 팬티엄3CPU에 256램이라...

거기다 USB 1.1입니다.

그래도 CCTV로 쓰기에 특히 1채널만 사용한다면 너무나 충분한 사양입니다.



USB캠을 연결합니다.

USB드라이버가 필요할 수도 있겠죠.

저는 자동으로 드라이버 찾아주는 프로그램이 해주었습니다. 칩셋이나 그래픽카드도 자동으로 잡아주고 유명하던데 명칭을 까먹었네요.



 
해상도를 설정하구... OUTPUT탭에는 출력파일 형식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원격지 PC라던지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메일로도 보낼 수 있네요.

이건 머리아플것 같아 우선 패스~

 



 

캠을 거꾸로 달았기 때문에 반드시 IMAGE MIRROR, FLIP을 채크해주어야 합니다.

실내에서 사용할것이므로 Indoor, 우리나라 전기는 60Hz이므로 형광등도 60Hz로 점멸하겠죠? 그래서 60Hz선택.

(참고로 가끔 다큐같은것 보면 인도? 상점을 배경으로 하거나 일본같은데서는 형광등이 깜빡이는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있는데, 그것은 카메라는 60Hz로 동작하고, 현지 전기는 50Hz이기 때문에 형광등이 깜빡여 보이는것입니다. OLED화면이나 브라운관 TV, LED전광판은 스캔 타이밍이 다 달라 깜빡이는것처럼 보이는곳이 많구요.)

 

 



빨간 버튼을 눌러줍니다.

 

 



년월일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쉬운영어여서 저도 다행이 잘 입력했습니다.

백그라운드 컬러 입혀주는게 좋더군요.

OSD(OㅗㄴS크린D스플레이)라고도 불린다고 하네요.



일단 이렇게 까지 완성...

레코드만 누르면 녹화가 시작됩니다.

근데 화질이 영...;; 

(화질이 나빳던 이유를 알아보니 캠 앞에 랜즈 돌리는게 있더군요. 그걸 돌려서 촛점을 맞추시면 됩니다. 캠 자체가 근거리 용으로 만들어졌으므로 캠 모델에 따라서 설정이 촛점 설정이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캡 영상에 구석에서 듀얼모니터 앞에서 작업하고 있는게 저입니다.

지금 위 이미지 캡처할 때 모습이 그대로 찍힌거죠. 

왼쪽은 제 친구가 찬조출연했네요 ㅎ 잘 안보이죠...ㅎ 캠에 약간만 투자하시거나 랜즈를 조절하세요,

 

 

 

이 프로그램은 다른 설정은 다 저장되고 편리한데 딱 하나가 저장이 안됩니다. 유일한 단점? ㅠㅠ

매번 타이핑 하기 힘드므로 메모장에 저장해 배경에 저장해 두면 쉽게 적용할 수 있겠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원격감시하는것도 해보죠!

 

 

 

구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Teamviewer를 검색합니다.

설치 후 실행하면 로그인 창이 뜨는데 PC상에서 가입했던 ID를 이용합니다.



 

연결된 PC들이 뜨지요.

CCTV를 선택 후 아까 CCTV PC에서 영구 비밀번호 설정한 것을 입력합니다.

ID는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가로로 보면 이렇게...

그런데 화질이 더 나빠졌네요?

오른쪽 하단에 설정 들어가서 "속도 최적화" -> "품질 최적화"를 선택하면 PC에서 보는것과 동일한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너스 팁!!!

CCTV컴퓨터가 부팅시 자동으로 원격프로그램이 실행되지만.

정전 후 복구시에는?

 

저같은 경우는 구형 노트북을 사용했고 배터리가 있으므로 정전되더라도 계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일반 PC라던지 노트북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그냥 전원이 꺼지겠죠.

이 팁 자체가 공짜로 CCTV구축하자인데, 비싼 UPS를 달 수도 없는 노릇이구요.

 

그래서 컴퓨터가 꺼진 경우 원격으로 혹은 자동으로 켤 수 있는 몇가지 팁을 알려드리죠.

 

 

제 PC의 경우는 전원이 꺼졌다 다시 들어온 경우 어떻게 할지 선택하는 기능이 있네요.

보통 일반적으로는 전원을 넣어도 자동으로 켜지지 않도록 되어있죠.

하지만 서버목적이나 24시간 돌아가는 경우는 자동으로 켜져야 겠죠?

Last state는 마지막 컴퓨터 상태에 따라 켜지거나 꺼진상태를 유지하나 봅니다.

 

WOL이라는게 있더군요. Wake on Lan.

그러니까 LAN으로 원격지 PC를 켜는것입니다.

물론 대기전원은 공급되어야 하죠.

 

저도 컴맹이라 위에 화면을 잘못찍었어요.

생각해보니 저거는 부팅 관련 메뉴인것 같구요.

WOL이라던지 관련 메뉴항목이 있는데 그걸 Enable하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원격지에서 어플로 켜면 되지요.

wol로 검색하면 여러개 나오는데 비슷비슷합니다.

노트북은 참고로 원격지에서 켜지지 않네요.

PC는 대기전원에 LAN이 표함되지만 노트북은 LAN까지 꺼지더군요.

 

 

아무튼 공짜로 CCTV설치하기 마무리 짓겠습니다~~ ㅋ

 

 

 

결론 : 버려지는 노트북과 사용하지 않는 웹캠으로 손쉽게 CCTV를 구축하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단점 : 웹캠의 사양에 따라 화질이 많이 달라진다. 보통 웹캠은 근거리용이므로 실내용이라도 화질이 나빠보일 수 있다.

장점 : 너무나 저렴한 가격.

 

랜즈를 돌리니 어느정도 화질이 개선되었는데 그래도 멀리있는 사람은 얼굴 알아보기도 어렵더군요.

그래도 여기는 학교니까 들어오는 사람이 통제가 어느정도 되서 대충 이미지나 행동만 봐도 누가 누구인지는 알겠더군요 ㅎ

저렴한 만큼 영상 품질에는 조금 아쉽겠지만 그래도 뭐 이정도면 전 OK입니다.

 

버리는 노트북과 USB 웹캠으로 공짜 CCTV 설치하기(스마트폰으로 원격 감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ma9nice&logNo=140154817923

 

 

 

http://www.joycom.co.kr/388


'유용_공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초급자의 전등 결선의 상식,스위치결선법  (3) 2012.05.28
형광등 결선방법 좀 알켜주세요  (3) 2012.05.28
색상표  (0) 2012.05.03
유용한 윈도우 명령어 모음  (1) 2012.04.24
부팅 디스크  (0) 2012.01.04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색상표 유용_공개자료 2012. 5. 3. 14:34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시면 간혹 필요한 기능을 찾지 못하고 끙끙거릴때가 있습니다.

 

누구나 그런 경험이 있을 거구요. 그럴때 어떻게 할까요?

 

그럴 경우 윈도우 실행창에 직접 명령어를 입력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md라는 컴맨드 창을 띄우는 연습을 해 보겠습니다. ^^

 

 

윈도우 버전마다 그 모양이 조금씩 틀리지만 저렇게 보여드리면 다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

 

따라하기 참 쉽죠이~

 

검은 색 윈도우창이 cmd명령어로 실행시킨 일명 컴맨드 창입니다.

 

이 cmd창에서 실행시키고 사용할 수 있는 쉬운 명령어들은 cmd창에서 help라고 입력하시고 앤터를 치시면 쭈욱 나옵니다.

 

한번 어떤게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윈도우-->실행 에서 구동할 수 있는 윈도우 프로그램들은 굉장히 많습니다.

 

MS에서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깔려있지 않은 프로그램들도 정확한 위치와 실행 프로그램명만 알고 있으면 실행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윈도우에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들을 본다면...

 

regedit : 레지스트리 편집기

taskmgr : Windows 작업 관리자


cmd : 도스창 로딩

calc : 계산기 로딩

osk : 가상키보드 로딩

charmap : 문자표 로딩

mspaint : 그림판 로딩

sndvol32 : 마스터 볼륨창 로딩

iexplore : 인터넷 익스플로어

msconfig :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cleanmgr : 디스크 정리 로딩

magnify : 돋보기창 로딩

mstsc : 원격 데스크톱 연결

services.msc : 윈도우 서비스창 로딩


appwiz.cpl: 프로그램 추가/제거

desk.cpl : 디스플레이 정보

firewall.cpl : 방화벽 설정

inetcpl.cpl : 인터넷 옵션

main.cpl : 마우스 등록정보

mmsys.cpl: 사운드 및 오디오 등록정보

ncpa.cpl : 네트워크 연결 정보

nusrmgr.cpl : 사용자 계정

nvcpl.cpl : 사용자 정의 해상도 관리

odbccp32.cp l: ODBC 데이터 원본 관리자

powercfg.cpl : 전원 옵션 등록 정보

sysdm.cpl : 시스템 등록 정보

timedate.cpl : 날짜 및 시간 등록 정보

wscui.cpl : Windows 보안 센터

wuaucpl.cpl : Windows 자동 업데이트

 

sfc(시스템 파일 검사기)

-시스템 파일을 검사한후 깨지거난 손실된 파일을 원본 압축파일에서 찾아서 복원시켜줌

단,윈2000에서는 cmd실행 후 sfc사용- 마지막 설정된 값을 다음 윈도우부팅시 곧바로 실행됨[수정]

 


sfc /Scannow

컴퓨터에서의 오류, 불량파일을 검색해서 초기의 문제가 없던 원본 파일로 바꾸어 주는 명령어

 


xcopy

Copy 명령어 보다 더 범위적으로 큰 복사를 할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심지어 하드의 OS 까지도 복사를 하죠.

하드 디스크의 클론이나 OS 복사 목적으로 쓰이는 명령어 입니다. ex) XCOPY C: D:

 


oobe/msoobe /a

자기 윈도우가 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주는 윈도우 정품 확인 명령어 입니다.

 


rcimiby.exe/LaunchRA

Windows에서 기본으로 제공해 주고 있는 msn 메신저 기능으로 상대에게 원격지원요구 할때 사용 되는 명령어

 


regedit

레지스터리를 수정 창을 열어준다.

 


ping

상대방 ip로 연결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dxdiag

다이렉트X 버전을 확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shutdown -a

XP에서만 사용 되는 명령어로서 바이러스 또는 악성 코드 때문에 컴이 자동종료 안되게 막아주는 명령어

 

 

 

msconfig(시작프로그램 제어등 많은기능 제공) 단, 윈2000은 지원 안함

 


sysedit(autoexec.bat , config.sys ,win.ini, system.ini 시스템구성편집기)

 


cmd(도스명령프롬프트 실행) 단,윈98은 command

 


telnet open 사이트주소(텔넷접속명령어)

 


netstat -na(현재 열린포트와 TCP/IP 프로토콜정보를 보여줌)

-열린포트로 트라이목마형 바이러스 침투 유무확인가능

 


winipcfg(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보여줌)

단, 윈2000은 ipconfig로 변경됨

 


systray(사운드 볼륨설정 노란색 스피커 아이콘을 트라이목록에 띄움)

 

  

 


Windows XP에서의 관리 프로그램 입니다

시작-실행후 다음의 내용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와 시스템 도구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창

eventvwr.msc - Windows 메세지가 담긴 도구

gpedit.msc - PC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 정책을 편집

perfmon.msc - 시스템 성능 감시 및 로그와 경고 도구

secpol.msc - PC보안 정책 정의 도구

devmgmt.msc - 장치 관리자 도구

dfrg.msc - 디스크 조각 모음 도구

fsmgmt.msc - 공유 폴더 보기 도구

lusrmgr.msc - 현재 사용자 도구

rsop.msc - 정책의 결과 집합 도구

service.msc - 서비스 도구

 


tsshutdn.exe

만약 PC가 자신이 지정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이 있다면, 상당히 편리 하겠죠?

여기 아주 단순하지만, 이러한 것들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간단한 기능을 여러분에게 소개시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소개시켜 드리는 기능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PC가 자동으로 종료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정하는 시간은 초단위로 진행이 됩니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tsshutdn.exe라는 것으로 시작→실행(단축키는 윈도키+R)을 통해 호출할 수 있습니다.

 


tsshutdown은 앞에서 설명을 드린 것 처럼 PC가 종료되는 시간을 초단위로 입력을 해주어야만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1분후에 종료가 되기를 원한다면 1분은 60초 이므로 뒤에 60이라는 숫자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30분이라면 1800초이므로 뒤에 1800이라는 숫자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tsshutdown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이 됩니다. 만약 자동종료를 원치 않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Ctrl]+[C]를 눌러 취소해 주시면 됩니다.

tsshutdn은 종료시간 30초전에 최종 확인을 하므로 역시 원치 않는 경우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control userpasswords2

regsvr32 msvcp71.dll

drwatson

tracert daum.net

 

 

 

 


calc (계산기)

charmap 문자표

cleanmgr 디스크정리

clipbrd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 표시)

cmd(도스명령프롬프트 실행) 단, 윈98은 command

control (제어판)

dfrg.msc 디스크 조각모음

dxdiag (다이렉트X 진단도구 및 그래픽과 사운드의 세부정보를 보여줌)

eudcedit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explorer 탐색기

magnify 돋보기

mobsync 동기화

msconfig(시작프로그램 제어등 많은기능 제공)

msinfo32 시스템정보

mstsc 원격 데스크톱 연결

netstat -na(현재 열린포트와 TCP/IP 프로토콜정보를 보여줌)

         열린포트로 트라이목마형 바이러스 침투 유무확인가능

notepad 메모장

ntbackup 백업 및 복원 마법사

osk 화상키보드

pbrush 또는 mspaint (그림판)

ping 사이트주소(핑테스트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연결 유무 확인)

regedit(레지스트리 편집기)

sfc(시스템 파일 검사기)

   - 시스템 파일을 검사한후 깨지거난 손실된 파일을 원본 압축파일에서 찾아서 복원시켜줌

     단, 윈2000에서는 cmd실행 후 sfc사용 - 마지막 설정된 값을 다음 윈도우부팅시 곧바로 실행됨[수정]

sndrec32 녹음기

sndvol32 (시스템 사운드 등록정보,볼륨조절)

sysedit(autoexec.bat, config.sys, win.ini, system.ini 시스템구성편집기)

systray(사운드 볼륨설정 노란색 스피커 아이콘을 트라이목록에 띄움)

telnet open 사이트주소(텔넷접속명령어)

tourstart (윈도우 기능안내 html 문서표시)

wab 주소록

winipcfg(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보여줌) 단, 윈2000은 ipconfig로 변경됨

winmine (지뢰찾기)

winver (윈도우 버전확인)

wmplayer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wordpad 워드패드

wscui.cpl 보안센터

wupdmgr 윈도우업데이트

 


[MSC 명령어]

certmgr.msc : 인증서 관리

ciadv.msc : 인덱싱 서비스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frg.msc : 디스크 조각 모음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이벤트 로그)

fsmgmt.msc : 공유 폴더 (공유 폴더 관리)

gpedit.msc : 그룹 정책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ntmsmgr.msc : Removable Storage

ntmsoprq.msc : 이동식 저장소 운영자 요청

perfmon.msc : 성능

rsop.msc : 정책의 결과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 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wmimgmt.msc : WMI 서비스 구성

comexp.msc : comexp 구성 요소 서비스

control userpasswords2 : 사용자 계정

인터넷 옵션 Inetcpl.cpl

이런것들이 있습니다.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