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대란'에 이어 식용유도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남미에서 발생한 홍수로 아르헨티나 등 주요 산지의 콩 재배량이 줄고 품질도 떨어지면서 업소용 제품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으며 공급을 중단한 업체도 나오고 있다.


해당 식용유가 대부분 업소에 B2B(기업간 거래)로 공급되는 제품들이어서, 조류 인플루엔자(AI) 사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치킨집 등은 또 다른 어려움을 겪게 됐다.


3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동원F&B와 대상 등 아르헨티나에서 대두 원유를 수입해 B2B용 식용유를 공급하는 업체들은 최근 납품을 중단했다.


아르헨티나산 대두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데다 홍수로 수분 함량이 높아 식용유로 만들 경우 품질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오뚜기와 롯데푸드 등은 공급은 계속하고 있지만 지난달 말 가격을 약 9% 올렸다.


롯데푸드 관계자는 "업소용 식용유는 원래 수익이 나지 않는 품목인데, 품질 문제로 대두 원유를 평상시보다 여러 번 정제해야 하고 공급 물량도 줄면서 불가피하게 가격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2만4천원 정도였던 18ℓ 식용유 한 통의 도매가격은 최근 2천~3천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CJ제일제당은 이달 말 7~8% 업소용 식용유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대두 가격 상승과 환율 등의 영향으로 제조원가가 약 18% 인상돼 업소용 식용유에 한해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아직 가정용 식용유 인상 계획을 밝힌 업체는 없지만 대두 가격이 안정되지 않으면 가정용 제품도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식용유 인상을 계기로 외식업소에서 음식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도 있어 서민물가에 부담이 계속되고 있다.





출처 : 연합뉴스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세계에서 스위스가 외국인 근로자에 가장 많은 임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글로벌 금융그룹 HSBC홀딩스에 따르면, 스위스가 외국인 근로자에 제공하는 연간 임금이 세계 평균의 약 2배에 달한다고 블룸버그가 2일 보도했다.


HSBC홀딩스의 조사에 따르면 스위스 거주 외국인 노동자가 받는 임금은 연간 평균 18만8275달러(2억2738만원)에 이른다. 세계 평균의 2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전세계 국가 중 가장 높다. 스위스에는 UBS그룹, 노바티스, 글렌코어 본사가 위치한다. 


HSBC의 딘 블랙번 국외거주 부문 팀장은 "스위스는 높은 임금과 훌륭한 직장 문화로 이번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HSBC가 진행한 이번 설문조사는 100개국에서 온 외국인 2만6871명을 대상으로 조사됐다.




HSBC의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 중 69%가 스위스에서 삶과 일의 균형이 보다 개선됐다고 대답했다. 61%는 직장문화가 그들의 자국보다 더 나아졌다고 대답했다.


스위스의 뒤를 이어 독일과 스웨덴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들 국가의 연간 평균 임금은 글로벌 평균보다 같거나 낮았다. 상위 10위권 국가 중 6개를 유럽국가들이 차지했다. 


블랙번 팀장은 "스위스와 독일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재정적 측면 뿐만 아니라 직업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HSBC는 스위스가 높은 임금을 제공하는 만큼 거주 비용도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스위스 신문 NZZ(Neue Zuercher Zeitung)는 스위스에서 식품 물가는 유럽 평균보다 70% 더 높으며 헬스케어 관련 지출 역시 유럽 평균보다 2배 이상을 웃돈다고 밝혔다.


한편 경력 개발에 가장 도움이 되는 곳이라고 뽑힌 아시아 국가로 싱가포르와 홍콩이 선정되었으며 전체 응답자들의 각각 62%, 68%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싱가포르에 사는 외국인의 30%, 홍콩 거주 외국인의 50%가 일과 삶의 균형이 보다 악화됐다고 대답했다.


출처 : 뉴스1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자영업자가 하루 평균 약 3천명씩 늘어났지만 살아남는 자영업자는 3명 중 1명꼴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2일 국세청이 발간한 '2016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2014년 창업해 2015년 처음으로 부가가치세를 신고한 개인사업자는 106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산술적으로 보면 2014년 하루 평균 3천명이 새롭게 자영업체를 차린 셈이다. 


반면 지난해 기준으로 폐업한 개인사업자는 73만9천명이었다. 매일 2천명씩 사업을 접은 것이다. 


결국, 자영업에 뛰어든 사람 중 3분의 1만 살아남은 꼴이다. 


신규 개인사업자를 업종별로 보면 14개 대분류 중 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 소매업, 음식업 등 4가지 업종에 73.5%가 몰려 있었다. 


세탁소, 이·미용실, 고용알선, 여행사, 교육기관 운영 등을 아우르는 서비스업 자영업자가 20만9천명(19.6%) 신규 등록해 가장 많았다. 


자신이 소유한 건물·토지 등을 빌려주거나 정수기 등 개인용·산업용 용품을 대여하는 부동산·임대업이 20만5천명(19.2%)으로 그다음이었다. 소매업은 17.6%(18만8천명), 음식업은 17.1%(18만2천명)였다. 


그러나 폐업 자영업자 역시 이들 업종이었다. 


음식점업 폐업 자영업자가 15만3천명으로, 전체의 20.6%에 달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소매업 19.9%(14만7천명), 서비스업 19.7%(14만6천명) 순이었다. 


부동산·임대업은 12.3%(9만1천명)로 4번째였다.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것은 은퇴 후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와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청년들이 창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소매업, 음식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점에 비춰볼 때 특별한 기술이 없고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 위주로 이들이 몰리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기가 좋지 않은 데다 시장이 과포화된 상태여서 살아남는 자영업자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양새다.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최근 보고서에서 "경기가 둔화하면 일자리가 부족해 창업으로 내몰리거나 한계상황에 처한 자영업자들이 일자리 부족으로 내몰린 상태에서 자영업이 증가할 수 있다"며 "그런 상황에서는 자영업 증가가 가계부채 악화요인이자 일자리 질에 적신호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출처 : 연합뉴스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