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정의선 부회장 - 로빈스 CEO
차량 네트워크기술 개발합의
"품질·안전 등 완벽혁신 기대"
구글 등 IT업체와 경쟁 대비
독자노선 대신 협력모델 구축
![]() |
19일 현대자동차그룹 양재사옥 회의실에서 현대차 정의선 부회장(왼쪽 두번째)과 시스코 척 로빈스 CEO(세번째)가 악수하고 있다. 현대차는 19일 커넥티드 카의 핵심 기술을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시스코와 협업해 개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와 시스코는 획기적 속도의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및 차량 내 여러 장치와 개별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한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는 데 공동의 노력을 펼칠 계획이다. 현대차 제공 |
[디지털타임스 노재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업체인 시스코와 협력해 스마트카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미래 자동차 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다.
이번 시스코와 협력은 현대차가 그동안 고수해온 독자노선을 버리고 협력모델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구글과 애플 등 스마트카 시장 진출을 노리는 IT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연합전선 구축이 절실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현대차는 19일 서울 양재동 본사 사옥에서 정의선 부회장과 척 로빈스 시스코 CEO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호 협력을 통해 커넥티드카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시간과 공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확장하게 될 미래 커넥티드카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놀랍고 새로운 생활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미래 모빌리티(이동성)의 품질과 안전, 보안 측면에서도 완벽한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부회장은 이어 "이번 협업은 현대차가 주도하는 미래 커넥티드카 및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조기에 현실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척 로빈스 시스코 CEO는 "이번 협업을 통한 기술적 혁신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파괴, 즉 디지털화를 통한 파괴적 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라면서 "커넥티드 카, 보안 그리고 대용량 커뮤니케이션 전 부문에 걸친 기술에서 앞선 양사의 경쟁력이 업계 선두 플랫폼을 구축하는 핵심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에 따라 양사는 획기적 속도의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및 차량 내 여러 장치와 개별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한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는 데 공동의 노력을 펼친다. 양사는 국내 벤처기업에 커넥티드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를 맡겨 커넥티드카에 대한 기초 연구도 함께 진행한다. 현대차는 시스코와 우선 차량 네트워크 개발에 집중한 뒤 추후 양사 간 상호 협의로 협력 분야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앞서 현대차는 이달 초 커넥티드카 개발 전략과 기본 개발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개발 콘셉트인 '초연결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통신 기술과 차량을 융합하는 차원을 넘어 자동차 자체가 곧 생활이 되는 '카 투 라이프'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차는 커넥티드카를 바탕으로 지능형 원격 지원 서비스, 완벽한 자율주행, 스마트 트래픽, 모빌리티 허브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출처: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42002100151808001
----------------------------
독자노선 고수했던 현대차, 미래차는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시스코와 차량 네트워크 기술 개발
스마트 홈·스마트 오피스도 글로벌 가전업체와 협업 구상
지능형 자동차개발을 위한 글로벌 車업체 IT 협업은 대세
19일 현대차는 커넥티드카의 핵심 기술을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시스코(Cisco)와 협업해 개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 시스코 협업으로 커넥티드카 속도낼듯
|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커넥티드카의 핵심 기초 기술로, 클라우드, 빅데이터, 보안 기술로 구성되는 커넥티드 카 통합 인프라 개발도 빠른 속도로 구체화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양사는 국내 벤처업체에 커넥티드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를 맡겨 커넥티드카에 대한 기초 연구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시스코와 우선 차량 네트워크 개발에 집중한 뒤, 추후 양사간 상호 협의 하에 협력 분야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양사 간 합의가 우선돼야 하겠지만 시스코는 네트워크 보안에 있어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인 만큼 이에 대한 추가적인 협업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현대차는 커넥티드카 개발 세부 분야별로 글로벌 전문 기업들과의 협업 가능성에 대해 실무선 검토에 나서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커넥티드카 서비스 부문 확대를 위해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가전 업체들과의 협업도 구상하고 있다.
현대차가 커넥티드카 등 미래 지능형 자동차 개발만큼은 IT 전문 기업들과 적극적인 협업 전략을 펼치는 것은 이 분야의 기술들을 조기에 확보하고 상용화함으로써 미래 자동차 시장을 개척하는 선도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 기술들은 혁신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자칫하다가는 미래 자동차 개발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앞서 구글과 애플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차량에서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오토’와 ‘카플레이’를 양산차에 적용하기도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친환경차는 독자개발을 통해 세계적 수준을 넘어설 수 있는 자신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커넥티드카 개발에 있어 IT 전문 기업들과의 협업은 양 기업 간 전문 분야가 완전히 달라 상호 보완 효과가 크며, 이에 따른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車업체 IT기업과 합종연횡 강화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은 최근들어 IT 전문 기업들과 협업을 강화하는 추세다. 포드는 아마존과 스마트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손잡았으며, 폭스바겐은 LG전자, 볼보와 르노닛산은 마이크로소프트, BMW는 삼성전자와 카-커넥티비티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또 GM은 미국의 차량 공유업체에 투자했으며, 도요타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합작해 빅데이터 분석회사인 ‘도요타커넥티드’를 설립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IT업체와 공동개발을 꾀하고 있는 다른 완성차업체와 다르게 시스코라는 네트워크 전문기업과 손을 잡았다는 데 차이점이 있다.
현대차와 시스코는 기술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스코는 네트워크 장비 기술과 함께 이 분야 보안 관련 기술력도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차는 시스코와의 협업을 통해 시스코의 우수한 네트워크 기술 노하우 외에도 커넥티드카가 놓쳐서는 안될 보안 관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스코 역시 현대차와 자동차 네트워크에 대한 협업을 통해 지금까지 도전하지 못했던 자동차 부문의 사물인터넷 시장에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와 시스코처럼 서로 사업분야가 완전히 다른 기업 간의 협업은 오히려 상호보완 관계가 더욱 뚜렷해져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라며 “혁신을 추구하는 양 기업간의 협업을 자동차 업계는 물론 IT업계에서도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11&newsid=02269766612617760&DCD=A00301&OutLnkChk=Y
------
韓 찾은 시스코 대표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파괴' 이끌 것"
로빈스 대표,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와 회동…IoT 협력 방안 논의
"기술 혁신은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파괴, 다시 말해 디지털화를 통한 파괴적 변화를 이끌 것입니다."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 기업 시스코의 척 로빈스 대표(사진)가 19일 국내 대표 기업 현대차를 찾아 한 말이다. 지난해 7월 시스코 수장에 오른 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은 로빈스 대표가 재계 총수들과 연쇄 회동을 갖고 ICT(정보통신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날 시스코는 "로빈스 대표가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에서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과 만나 커넥티드 카 핵심 기술인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공동 개발키로 하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차량 내부에서 이뤄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술로, 기존 차량 네트워크에 비해 향상된 데이터 속도와 전송 기술 등이 필요하다. 현대차는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을 공급하는 시스코의 선진 기술을 접목할 것으로 보인다.
로빈스 대표는 "커넥티드 카, 보안, 대용량 커뮤니케이션 전 부문에 걸친 기술에서 앞선 현대차와 시스코의 경쟁력이 업계 선두 플랫폼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스코는 보안 상 이유를 들어 로빈스 대표의 한국 일정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로빈스 대표가 정 부회장을 비롯 최태원 SK그룹 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등 재계 인사들과 회동할 것으로 전해졌다. ICT 관련 정부 부처 고위관계자, KT, SK텔레콤 대표 등 통신사 대표와의 회동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스코 관계자는 "대표의 일정은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어 공개할 수 없다"며 "국내에서 예정된 일정은 소화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로빈스 대표는 재계 총수들과 만나 국내 스타트업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현대차 정 부회장과 만난 로빈스 대표는 커넥티드 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해당 스타트업을 찾아 기술진과 연구 진행 상황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시스코는 앞으로 모든 사물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는 개념으로 사물인터넷(IoT) 대신 만물인터넷(IoE)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사물 간 연결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연결해 데이터로 만드는데 집중하겠다는 취지다.
국내 IT업계 관계자는 "커넥티드 카를 비롯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클라우드 등의 영역에 IoE 솔루션을 적용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전략을 갖고 있는 시스코가 국내 ICT 기업과의 협력을 본격적으로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출처: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41910301390026&outlink=1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3D프린터 등 첨단 ICT 세상에 '장애란 없다' (0) | 2016.04.20 |
---|---|
'산업을 바꿀 기술' 몰라보고 걷어찬 한국 ,신산업 (0) | 2016.04.20 |
카카오톡 창에서 바로 송금 서비스 (0) | 2016.04.19 |
누가 샤오미에 '가성비 갑' 수식어를 붙였나 ,사오미 밥솥 (0) | 2016.04.19 |
하반기부터 보안카드·OTP 없어도 자동이체 가능 (0) | 2016.04.19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