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무선공유기 설치방법
무선공유기는 구입시에 동봉된 설명서나 CD를 넣고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보다 더 간단하고 쉽게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내용대로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위는 많이 사용하는 ipTIME 무선공유기입니다.
대부분의 공유기는 WAN포트와 LAN포트로 구성이 되어있죠.
ipTIME 공유기의 포트가 위처럼 표기되어 있으며, 일부 공유기는 WAN포트가 Internet으로,
LAN포트는 컴퓨터로 표기되어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는 데스크탑 본체의 뒷면모습이며 오른쪽은 확대한 사진입니다.
대부분 USB포트 바로옆에 랜선을 꽂는 포트가 있으며, 일부 컴퓨터는 맨아래에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인터넷회선(원선)을 무선공유기의 WAN포트에 연결.
(데스크탑 본체에 꽂혀있는 랜선을 빼서 무선공유기의 WAN포트에 연결)
데스크탑 본체에 물려있는 랜선이 인터넷회선이 되겠죠?
광랜이라면 벽면 전화콘센트에서 나온 랜선이겠고,
케이블인터넷이나 ADSL, VDSL 이라면 모뎀에서 나온 랜선이 되겠습니다.
2. 또다른 랜선으로 무선공유기의 1번 LAN포트와 데스크탑을 연결.
3. 모뎀, 무선공유기, 데스크탑의 모든 전원을 끕니다.(모뎀이 없는광랜의 경우 모뎀은 제외)
4. 약 1분뒤 모뎀, 무선공유기, 데스크탑의 전원을 차례로 켭니다.
이렇게만 하면 공유기나 데스크탑에 따로 설정을 하지않아도 데스크탑은 인터넷이 됩니다
무선공유기가 맥주소값을 자동으로 가져와서 설정이 끝나는것이죠.
5. 이제 무선으로 사용할 노트북(넷북)의 시작-설정-제어판에서
네트워크연결을 열면 [로컬영역연결]과 [무선네트워크]등의 아이콘이 나오는데,
[무선네트워크]아이콘을 열어서 무선신호가 잡히는지 확인한 후, 무선인터넷을 즐기면 됩니다.
[무선네트워크]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노트북화면 맨 아래의 컴퓨터모양의 아이콘에 마우스를 대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사용가능한 무선네트워크 보기]를 클릭하시면됩니다.
스마트폰에서는 Wi-Fi 검색을 하시면되겠구요.
-이때, 자신의 무선공유기 모델명의 무선네트워크가 잡혀야 정상입니다.
무선네트워크가 잡히지 않는다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무선공유기 바로 근처로
가져가서도 무선신호가 잡히는지 확인해야 하구요.
노트북(스마트폰)을 무선공유기 근처에 가져갔을때는 무선신호가 잡히고, 다른방으로
가져갔을때는 무선신호가 안잡히거나 무선신호가 너무 약하게 잡힌다면 안타깝지만
그 방에서는 무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무선공유기 사용시 몇미터까지 사용이 가능한지를 물어오시는데,
대부분 가정집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는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무선공유기와 노트북(스마트폰등)의 위치를 일직선상에 놓고 봤을 때,
벽이 있느냐 없느냐가 가장 큰 결정을 합니다.
그러니, 무선신호가 잡히지 않는다면 아쉽지만 랜선을 무선공유기에 연결해서
유선상태로 사용해야합니다. (스마트폰은 유선연결불가)
랜선이 방에서 방으로 이어지니 미관상은 보기싫지만 가장 원초적인 방법이 가장
안정적인 인터넷을 하는것이 되니까요.
랜선이 방과방으로 오가는것이 정 보기싫다면 단자함공유를 하는것도 좋은방법입니다.
2002년 이후에 건축된 모든건물에는 전화단자함이란것이 있는데요.
이 전화단자함안에는 벽속배관을 통해서 거실과 모든방의 벽면에 있는 전화콘센트까지
랜선이 벽속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전화단자함안에 유선공유기를 설치하게되면 거실이나 방의 벽면에 있는
전화콘센트에 랜선으로 컴퓨터(노트북)를 연결해두면 유선인터넷이 가능하게됩니다.
랜선은 벽속배관으로 들어가있는 상태이므로 랜선이 눈에 안보여서 깔끔하고,
유선인터넷이라 속도가 가장 잘 나오며, 안정적인 인터넷사용이 가능해지는것이지요.
또한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테블릿PC등의 무선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방에는
저렴한 무선공유기를 그방의 전화콘센트에 연결해두면 그방에서만큼은
무선인터넷(와이파이)속도또한 가장 잘 나오게됩니다.
전화단자함은 아파트나 빌라같은 경우, 신발장안이나 주방의 벽면에 A4크기정도로
문을 열고닫을수 있도록 되어있으니 한번 찾아보시구요.
네이버에 단자함공유 검색하시면 설치에 관한 자료가 여럿나오니 참고하세요.
----------------------------------------------------------------------------
소규모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공유기 밑에 공유기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공유기를 설치하다보면 DHCP 라는게 있는데요,
아이피를 할당해주는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 아이피를 할당해주는게 공유기라고 보시면 되는데, 공유기 아래에 공유기가 또 달려있으면서
같은 대역이 설정 되어있다면 충돌이 발생합니다.
충돌을 피하는방법을 포스팅 해볼게요!
두가지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공유기 접속방법은 http://blog.naver.com/dispire/220383587125 참고하시
구요
![](http://static.naver.net/blank.gif)
공유기의 내부아이피주소를 기본 192.168.0.1에서 1.1로 변경한뒤 시스템을 재시작해주고
사설아이피 할당을 허용한뒤.
공유기1의 lan포트에서 공유기 2의 wan포트로 가면 됩니다.
다른 한방법은 허브 모드로 돌리는 방법인데 , 허브란 DHCP 즉 아이피할당하는 기능이 없는 그냥 칸만 늘려주는 장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방법은
허브에는 DHCP가 없다고 말씀드렸다 시피, DHCP 서버를 중지하시고
아이피대역을 충돌이 안나게 바꿔주신뒤.
1번 공유기의 lan 포트에서 2번공유기의 wan 포트가 아닌 lan포트로 연결하시고,
UPUN 기능을 꺼주시면 허브모드로 돌아갑니다~
[출처] 소규모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공유기 밑에 공유기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
한 집에 컴퓨터가 둘 이상있는 집에서 어떻게 하면 한대의
사용료를 내고 모든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나
아주 간단합니다.
10만원 미만으로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인터넷 사용뿐만 아니라
각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인터넷공유기"라고 불리는 Router 를 구입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 나가면 4Port (Port 란 공유할 수 있는 자리라고 해두지요)
짜리가 저렴하게 수요자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4Port 짜리 Router 는 일반적으로 3대까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rt 는 4개지만 그 중 하나는 WAN(Wide Area Network) 이라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인터넷 케이블을 끼는데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3개의 Port 에 PC 또는 다른 Network 장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8Port 짜리 Hub (분배기) 를 인터넷 공유기의 한 Port 에 연결하면
또 다른 7대의 PC 또는 장비를 물릴 수 있습니다.
이야기가 너무 길면 어지러우니 간단히 요약하여 설명드리면
만약 집에 4대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하면 구입해야 하는 것은
1. 4 Port 인터넷공유기 (Router) 1대 (사양은 10/100 Switch 로 구입하세요)
2. 4 Port 분배기 (Hub 허브) 1 대 (사양은 10/100 Switch 로 구입하세요)
3. 네트웍 케이블을 PC 숫자 보다 하나더 구입하세요.
물론 하나는 30센티 정도로 짧아도 되지만 나머지 PC 숫자 만큼의 케이블은
Hub 가 노이게 될 장소에서 설치된 PC 까지 닿을 수 있는 만큼 길어야 합니다.
4. 장비에 전원을 공급할 콘센트를 알맞게 구입합니다.
이제 설치는 ... 간단합니다.
1. 외부에서 들어와 기존 한대의 PC 로 입력되던 케이블을 인터넷 공유기의
WAN 이라고 레이블이 써 있는 곳에 끼웁니다.
2. 30센티 정도의 짧은 네트웍 케이블은 인터넷 공유기와 Hub 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3. 자 ~ 이제 각 PC 의 뒤에 네트웍 케이블을 끼우고 그 끝을 인터넷 공유기의
빈 Port 나 Hub 의 빈 Port 에 끼우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1. 인터넷 공유기에 전원을 넣고
2. Hub 에 전원을 넣고
3. PC 에 전원을 넣으면 됩니다.
만약에 인터넷 이 안 되면 다음과 같이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Windows 화면의 좌측 하단에 Start (시작) 버튼을 누르고 잘 보면 Run 이라고 되어
있는 것이 있는데
거기다 IPCONFIG /Release 라고 입력하고 Enter 를 누릅니다.
그리고 다시 IPCONFIG /Renew 라고 입력하고 Enter 를 누릅니다.
그러고 다시 인터넷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안되면 가까운 곳에 있는 컴 잘 아는 분에게 기술적 도움을 청합니다.
그 중에 "작은산"도 있습니다. ㅎㅎㅎ
그 날 보니까 Nam 님은 두 대 사용료를 다 내신다고 하는데
설치하고 1년이면 본전 찾고 다음 해 부터는 다 이익입니다.
저는 집에는 PC 4대와 프린터 2대가 모두 1대의 4Port 인터넷 공유기
와 1대의 8Port Hub 그리고 1대의 프린터 공유기로 다 연결되어 아무
문제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천하는 제품은 D-Link 사에서 나온 제품이 아주 신뢰성이 있더군요.
-----------------------------------------------
인터넷모뎀, 공유기 어떤 것이 문제인지 헷갈릴 때 ,인터넷 접속이 안될때
인터넷을 좀 더 빠른 것으로 바꿨는데 서비스업체는 그대로인데 인터넷 연결이 잘 안 되는 현상이 설치하고 3일 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첫째 날은 인터넷 사용 중에 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있어서 모뎀을 교체해서 해결이 되었는데, 지금은 공유기 밑에 연결된 컴퓨터들 중 한 대가 추가로 켜지거나, 밤에 공유기와 모뎀을 껏다가 아침에 다시 켜면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증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업체측에서는 컴퓨터 한 대만 연결했을 때는 이상이 없기 때문에 공유기 문제로 돌리고 있는 상태라 오늘 퇴근하면 다른 공유기를 설치해서 결과를 봐야 할 것같습니다.
모뎀 또는 공유기 문제인지 아니면 기기 호환성 문제인지 애매하여 참고가 될 듯하여 정리하였습니다.
현재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네트워크 연결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DXR9420은 유무선공유기입니다. 현재 홈 그룹 연결이나 무선네트워크 연결, 공유기 연결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공유기 다음 단계에서 끊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유기나 랜카드 문제라면 아래 그림과 같은 결과가 나타아야 합니다. 네트워크 연결과 공유기 연결이 끊어진 것입니다.
1번 그림 상태에서 윈도 7의 윈도우즈 네트워크 진단도구를 실행해 봤습니다. 결과는 컴퓨터는 올바른 구성으로 표시되고 장치 또는 리소스(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물론 여기서 장치는 인터넷 모뎀이 될 수도 있고 유무선 공유기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1번 그림의 DXR9420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창이 열리는데 DXR9420 아이콘에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장치 웹 페이지 보기'를 선택합니다.
유무선공유기 설정 페이지을 여는 것입니다. 기존에 인터넷 주소 창에 192.168.10.1(이 주소는 공유기마다 다릅니다.)로 입력해서 접근하는 것과 같습니다.
공유기 설정페이지가 열리면 현재 연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WAN 상태를 보면 DHCP 연결이 성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모뎀에서 공유기에 IP 할당에 성공한 것입니다. 다만, 할당된 IP 주소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공인 IP가 아니라 모뎀에서 사용하는 가상 IP라는 것입니다. 192.168.100.20 (인터넷 모뎀 IP는 192.168.100.1입니다)
DNS 서버는 정상으로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것이 할당되었습니다.
어쨌든 이 상태에서 연결 해제를 실행하고 다시 연결을 시도하면 인터넷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연결 해제하고 다시 연결했을 때 WAN 상태입니다. 똑같이 DHCP 연결 성공인데 이번에는 IP 주소가 아까와는 다릅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공인 IP가 할당된 것입니다.
이 상황만 봤을 때는 분명 인터넷 모뎀 또는 회선 문제로 보입니다만, 컴퓨터 한 대만 연결했을 때는 별 문제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100% 장담하기는 어렵습니다.
다시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하면 홈 네트워크와 인터넷이 정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뎀과 공유기 전원을 껐다 켜면 맨 처음 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확실한 결론은 공유기를 다른 것으로 교체한 다음에 나오겠지만, 지금 상황으로 봐서는 인터넷 모뎀과 공유기 연결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보이는데, 둘다 고장이 아니라면 모뎀과 공유기가 서로 충돌 즉 호환성 문제로 봐야할 것같습니다.
정확한 결과는 공유기 교체 후 내일 쯤에 본문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크랩_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 컴퓨터 사용 제한 이젠 공유기로 끝내버리자 (0) | 2015.12.19 |
---|---|
아파트 인터넷단자함 공유기 설치하기/단자함 공유방법,110블럭단자함,통신테스터기,랜케이블,RAN (2) | 2015.12.19 |
사무실 키폰(인터넷전화기) 무상 제공, 네트워크 공사 지원 (0) | 2015.12.19 |
Windows 윈도우 속도 올리기. 윈도우 최적화,윈도우설정 (2) | 2015.12.19 |
시간강사보다 햄버거집 알바가 편했다는 한 남자 (0) | 2015.12.18 |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