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4일 오후 2시 부산가톨릭대 베리타스관에서 '부산시 호스피스 완화 케어센터 개소식과 사업 선포식'을 연다.

부산시는 새로운 '생애 말기 돌봄 패러다임'으로 암 말기 진단 초기부터 보건소를 통해 포괄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방식을 개발했다.

이 사업은 2008년 금정구보건소, 부산가톨릭대, 부산지역 암센터를 주축으로 시작됐다.

 

7년 동안의 준비 단계를 거쳐 올해부터 부산가톨릭대에 호스피스 완화 케어센터를 설치하고, 부산시 전체 16개 구·군 보건소에 확대 적용하게 됐다.

24일 개소식과 사업 선포식은 자문위원과 자원봉사단 위촉장 수여, 사업수행인증현판식 증정, 사업소개와 선포 순으로 진행된다.

중증 질환을 앓는 부산 시민이라면 누구나 관할구 보건소 또는 호스피스 완화 케어센터(☎051-510-0787)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센터에서는 보건소 의사, 사회복지사, 종교인, 자원봉사자와 호스피스 완화 간호사가 팀을 이뤄 신체적·심리적 돌봄을 제공한다.

일상 활동이 가능한 말기 환자에게는 부산가톨릭대 데이케어센터에서 주간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에게는 삶의 활기를 불어넣어 주고, 가족에게는 휴식의 시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20일 "이번에 개발한 보건소 중심 호스피스 완화 케어는 생애 말기 환자를 과도한 연명 의료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익숙한 환경에서 가족과 격리되지 않도록 배려함으로써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온하고 품위 있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20/0200000000AKR20150420036100051.HTML?input=1179m

------

부산, 전국 첫 공공형 ‘생애말기 돌봄서비스’
자원봉사자 등 올 300명 돌봐… 오늘 호스피스케어센터 개소식

“마지막으로 가장 하고 싶은 일이 뭐예요, 지금 만나보고 싶은 사람은요?”

전국 최초로 공공형 ‘생애말기 돌봄(호스피스) 서비스’가 부산에서 시작된다. 지금까지 민간 의료기관 중심으로 해오던 생애말기 환자 호스피스 서비스를 자원봉사자, 간호사, 사회복지사, 목회자, 의사 등이 네트워크를 형성해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무료 시행하는 것. 올해에만 300여 명의 환자가 편안한 여생을 마칠 수 있도록 신체·심리적 돌봄서비스가 시행돼 사회적으로 과도한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부산시는 24일 금정구 부산가톨릭대 베리타스관에서 ‘부산시 호스피스 완화케어센터 개소식’을 했다. 대도시 중 고령인구가 가장 많은 부산시는 7년간 준비 끝에 암 말기 진단 초기부터 보건소 등을 통해 포괄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운영 방식을 마련했다.

사업은 지난 2008년부터 부산가톨릭대와 부산 지역 암센터가 준비해 시범서비스를 거쳐 센터까지 마련하고, 시내 전체 16개 구·군 보건소와 연계해 시행하는 것이다.

센터에는 간호사 7명과 사회복지사, 코디네이터 등 호스피스 전담요원 11명이 상시 현장근무를 하게 된다. 또 의사, 종교인(신부·목사·스님)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들과 메리놀·성모·보훈병원 등 6개 협력병원이 각종 서비스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일단 자원봉사자 및 간호사들이 가정에서 환자를 만나 성심껏 돌보면서 ‘가장 하고 싶은 일’ 등을 상담하고 실제 소원이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출처: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42401071327098001

---------

[건강한 시민, 행복한 부산] 5. 부산시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전국 최초 공공형 호스피스케어 말기 환자에 '마지막 행복' 선물

▲ 지난해 부산시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간호사가 말기 질환을 겪고 있는 부산 해운대구 한 주민을 찾아 아로마 발 마사지를 하고 있다. 부산시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제공

#사례1-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을 하는 남편을 수발 중인 김숙희(66·가명) 씨. 김 씨도 파킨슨병, 유방암, 갑상선암 환자다. 김 씨는 병원비로 인한 생활고와 통증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왔다. 그런 그가 최근 웃음을 되찾았다. 그는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의 간호사를 만나 마음속 우울함을 털어버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례2-남편과 사별 후 고등학생 아들을 혼자 키우는 김진녀(48·가명) 씨. 김 씨는 췌장암 말기 환자로 6개월의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항암치료도 받았지만 고통만 더해갔다. 그런 그가 공공형 호스피스완화케어 서비스를 통해 6개월을 넘기고 아들과 남은 삶을 행복하게 보내고 있다.
 
부산 각 보건소와 연계  
증상관리·마사지·미용 등  
무료 돌봄 서비스 제공  
사별 가족 아픔도 치유 

■전국 최초 공공형 서비스
 

최근 각종 말기 암, 난치병 등으로 시한부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행복한 여생을 보증하는 '공공형 호스피스완화케어 서비스'가 눈길을 끌고 있다. 가족이 없고 열악한 경제 상황에 처해 '외로운 죽음'을 맞이하는 시민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부산시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는 각종 말기 질환으로 고통받는 시민들에게 부산지역 각 보건소와 연계해 무료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피스완화케어 서비스'를 실시한다.

센터는 호스피스완화 전문교육을 받은 간호사와 사회복지사를 부산지역 각 보건소로 파견해 보건소에 등록된 말기 암 등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말기증상관리, 아로마 마사지, 심리상담, 미용, 청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상자들의 병이 갑작스레 악화할 경우에는 부산시 의료전문기관과 연계해 치료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센터는 '소원 들어주기 프로그램', '나들이 지원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호스피스완화케어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들이 답답한 실내를 벗어나 자연을 만끽하며 질병의 고통을 잊도록 돕는다.  

부산지역 각 보건소와 연계한 공공형 호스피스완화케어 서비스는 2009년 전국 최초로 부산에서 실시됐다. 당시 센터는 금정구, 부산진구 보건소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를 파견해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후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산시 16개 구·군 보건소 전체로 서비스를 확대해 실시하고 있다.

서비스 수혜자는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2010년 50명에서 지난해 490명으로 10배가량 늘었다. 지난해 부산시 전체 보건소에 등록된 말기 암 대상자 1천167명 중 41.9%(490명)가 서비스 혜택을 받고 있다. 특히 센터는 지난해 저소득층 303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공형 서비스'의 역할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김숙남 센터장은 "올해는 서비스 수혜자를 600명으로 늘리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겠다"며 "누구도 소외받지 않고 모두가 행복하게 여생을 마감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별 가족'의 아픔도 치유 

센터는 가족들이 사별의 아픔을 조기에 씻어내고 일상에 복귀하도록 사별 가족모임 '옹달샘'을 만들어 운영한다. 가족들은 두 달에 한 번씩 센터에 모여 서로의 경험을 나누도 아픔을 보듬는다. 옹달샘에 참여하는 손기훈 씨(70·가명)는 "주위 사람들은 빨리 잊고 예전으로 돌아오라고만 한다"면서 "서로의 마음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해주는 옹달샘 가족들을 통해 큰 위로를 받는다"고 말했다.

센터는 사별한 가정을 위한 방문 서비스도 제공한다. 가족들이 사별 이후 우울증을 겪지 않도록 센터의 간호사들이 정기적으로 사별 가정을 방문해 심리 상담을 진행한다. 
또 센터는 사별 이후 50일, 100일, 200일, 1년이 되면 각 가정에게 위로와 지지의 글이 담긴 편지를 발송한다. 이를 위해 센터와 지역의 간호학과 교수들이 직접 편지에 담길 내용을 정하고, 지역의 자원봉사자들이 직접 손편지를 작성한다. 

센터 관계자는 "사별 가정 중에서는 열악한 경제 상황에 처한 경우가 많다"면서 "이들이 좌절하거나 우울감에 젖지 않도록 사후 관리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부산시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051-510-0785. 

스크랩 글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면 ㅎㅎ 하단에 댓글 하나 부탁 합니다

방문하셨다면  위쪽 공감 클릭 한번만 이라도  부탁 

무플은 아 정말 싫어요.. ㅋㅋㅋ